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hape and decorative techniques of earpick during the Goryeo-Joseon Period

고려~조선시대 귀이개 형태와 장식기법

  • Received : 2021.12.09
  • Accepted : 2022.05.23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material culture of the Goryeo-Joseon Period through changes in the design and crafting of the earpick. In Chapter 2, terminology regarding earpicks is presented, and the culture of using earpicks is examined through fragmentary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Earpicks were first a personal hygiene tool, and, secondly, they played a symbolic role as a style accessory used by men, analogous to the fan carried by women of the time. In Chapter 3, earpick form are classified by period, and characteristic decorative techniques for each form are examined. During the Goryeo Dynasty, earpicks were sanitary tools, and, according to their form, they were classified into single and complex types. From Unified Silla to Goryeo, there is an angled type of connecting rod, and in the Goryeo period, there appeared earpicks with colorful decorations on the handle, completely forged earpicks with a thin and long shape, and earpicks which were part of multitools. Common decorative techniques include line expression, gold plating, cheophomun on the background, and inlay. Earpicks of the Joseon Dynasty are classified into sanitary tools or ornaments, according to their purpose of use. Sanitary tools are divided into single type and complex type, and earpicks used as ornaments include headdress, norigae, and sunchu. For earpick accessories, headdresses and norigae were used for women, and sunchu was used for men. The decorative techniques of earpick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mainly seen in the headdress earpicks. They were decorated with various colors in the Cloisonné method or bejeweled. Research on everyday tools among crafts is lacking; greater attempts to read the flow of time and approaches to material culture through everyday tools should be made.

본고는 귀이개라는 특정 공예품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통해 당대의 물질문화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 귀이개에 관한 용어 정리를 하고, 조선후기 단편적인 문헌을 통해 귀이개의 사용 문화를 살펴보았다. 귀이개는 첫 번째로 개인의 수신을 위한 위생도구였고, 두 번째로 남성들의 선추에 다는 구성품으로 상징적인 역할을 하였다. 3장에서는 시대별로 귀이개의 형태를 분류하고, 각 형태별 특징적인 장식기법을 살펴보았다. 고려시대 귀이개는 사용목적이 위생도구였으며, 형태에 따라 단독형, 복합형으로 구분된다. 단독형에는 각봉형, 손잡이형, 판형이 있으며, 복합형에는 족집게일체형, 리벳분리형이 있다. 손잡이형 귀이개에서 고려시대의 장식기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선각, 금도금, 바탕에 누정기법으로 찍은 첩호(疊弧)문, 납입사로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조선시대 귀이개는 사용목적에 따라 위생도구와 장신구로 크게 분류된다. 위생도구는 단독형, 복합형으로 나뉘고, 장신구로 사용되는 귀이개 종류로는 뒤꽂이, 노리개, 선추 등이 있다. 귀이개 장신구는 성별에 따라 여성은 뒤꽂이, 노리개로, 남성은 선추로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귀이개의 장식기법은 주로 귀이개 뒤꽂이에서 볼 수 있었다. 칠보기법으로 다양한 색을 내거나 보석감장으로 장식하였다. 그동안 공예품 중 일상도구에 관한 연구가 미진하였다. 일상도구를 통해 시대의 흐름을 읽고 물질문화에 접근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준(金敬俊) 김지남(金指南) 신이행(愼以行) 등, 1690, 「역어유해(譯語類解)」
  2. 김윤식(金允植), 1914, 「운양집(雲養集)」
  3. 박지원(燕巖集), 1932, 「연암집(燕巖集)」
  4. 서긍(徐兢), 1123, 「고려도경(高麗圖經)」
  5. 김창업(金昌業), 1713, 「연행일기(燕行日記)」
  6. 이덕무(李德懋), 1795,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7. 이익(李瀷), 「성호사설(星湖僿說)」
  8. 이해응(李海應), 1804, 「계산기정(薊山紀程)」
  9. 정조(正祖), 1760~1910, 「일성록(日省錄)」
  10. 황윤석(黃胤錫), 1829, 「이재유고(頤齋遺稿)」
  11. 강원고고문화연구원, 2014, 「영월 정양산성 1권」, p.190.
  12. 국립문화재연구소, 2021, 「고려 금속공예의 이해 2」.
  13. 울산박물관, 2013, 「학성이씨 일가 묘 출토유물」, p.187.
  14. 아모레퍼시픽미술관, 2005, 「디 아모레 뮤지움 소장품 도록」, p.126.
  15. 중앙문화재연구원, 2007, 「(利川 葛山 2地區 住宅建設事業敷地內) 利川 葛山洞遺蹟 本文」, p.20.
  16. 揚之水, 2014, 「中國古代金銀首飾1」, 古宮出版社, pp.151~152.
  17. 揚之水, 2014, 「中國古代金銀首飾2」, 古宮出版社, p.417.
  18. 陕西省考古研究院等, 2007, 「法门寺考古发掘报告」, 文物出版社, pp.205~207.
  19. 금종숙, 2019, 「김사수(金師秀, 1490~1553) 묘 출토복식 연구」, 「韓服文化」 Vol.22 No.3, 한복문화학회, p.20.
  20. 김세린, 2019, 「조선시대 금속공예 入絲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35.
  21. 김지현, 2021, 「족집게(鑷)의 유형과 사용 문화」, 「문화재」 54-3, 국립문화재연구소, pp.13~15.
  22. 노지현, 2021, 「조선 후기 백자의 박쥐문[蝙蝠文]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49~150.
  23. 박지영, 2019, 「「고려도경」 「기명」에 대한 재고」, 「한국학연구」 71,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p.53.
  24. 박지영.정소라, 2021, 「고려시대 타각(打刻)기법 금속공예품」, 「미술사학」 42, 한국미술사교육학회, p.155.
  25. 주경미, 2008, 「李成桂 發願 佛舍利莊嚴具의 硏究」, 「미술사학연구」 257, 한국미술사학회, p.51.
  26. 신동숙, 1985, 「노리개考: 삼작노리개를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5
  27. 신숙, 2016, 「한국 고대 보석장식 공예품과 국제교류」,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27.
  28. 최정애, 2010, 「조선시대 파란(칠보)색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8~23.
  29. 황지혜, 2009, 「朝鮮後期의 扇墜에 관한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9
  30. 황진경, 2015, 「中國 淸代의 부채와 朝鮮時代 부채의 扇錘에 나타난 造形的 特性과 裝身具文化에 관한 小考」, 「중국문화연구」 27, 중국문화연구학회, p.28.
  31. 马楠, 2018, 「古代 "七事"小考」, 「文物世界」 2, 山西省文物局, p.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