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식성

검색결과 389건 처리시간 0.021초

현대패션에 나타난 꽃 이미지의 표현특성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Floral Images in Contemporary Fashion)

  • 김선영
    • 복식
    • /
    • 제60권8호
    • /
    • pp.1-14
    • /
    • 2010
  • This study is a discussion of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design with floral images. It aims to help understand the overall trends of contemporary fashion design and textile motif design and expand the potential expression fields of originative design to natural objects such as flowers. Methodologically the study analyzed 976 pieces of data gathered from Haute Couture and Pr$\hat{e}$t-$\grave{a}$-Porter collections of 2005S/S-2009F/W, according to their types of expression. The study results show a share of 42.7% for plane type expressions by printing or weaving and a share of 51.5% for relief type expressions, compared with 5.7% for solid type expressions. However, those expressions represented elegant femininity with emphasis on formative beauty and were applied to fashion accessories or hair adornment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found from the analysis were represented by natural images, feminine elegance, and decorative aesthetics of handicrafts. Flowers in the contemporary fashion purify the internal emotions of humankind stand for personality and beauty in many different ways of expression and serve as a means of expressing more artistic values breaking out of stereotype.

현대 패션에 나타난 가면의 형태와 특성 (The Styles and Characteristics of Masks a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 김선영
    • 복식
    • /
    • 제58권4호
    • /
    • pp.13-25
    • /
    • 2008
  • This study is on the various style and characteristics of mask, and was performed empirically by reviewing the related materials such as the literature, precedent studies, fashion works, and home and foreign fashion magazin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yle of mask in the modern fashion is roughly categorized by full-covered style, half-covered style, and over-half-covered style which is covered over 50% of a face. And, mask is utilized on a hat or a dress all over, or is produced by a elaborate makeup. Mask with lots of variation has three big characteristics, which are sense of disguise, sense of ornamentation, sense of grotesquery. First, sense of disguise means deviation or tool of affectation instead of cultural standard norm through transforming or masquerading as an imagery person or animal in ancient myths, famous artistes, etc. It could be developed to express a designer's identity. Second, mask decorated with various styles and materials has sense of ornamentation, which means natural human desire of expression for beauty, and at the same time human mind longing for experience a fantastic and ideal inner world being deviated from the present world even indirectly. Third, ignoring the original format of eyes, nose, and mouth, using extraordinarily various techniques such as distortion, extreme, exaggeration, concealment, or combining with animal images, mask has sense of grotesquery inducing humor and horror simultaneously.

밀리터리 룩의 스트리트 패션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et Fashion of Military Look)

  • 한순자
    • 복식
    • /
    • 제44권
    • /
    • pp.19-36
    • /
    • 1999
  • A military uniform has two basic characters. One is functionality for field warfare and the other is decorativeness to express dignity and power to maintain systematic organization. For these purposes, the military uniform is maximizing its effects on functionality and decorativeness on each aspects of material, color, dignity, item, military ornaments and accessories. During wartime, the military uniform improved its functionality and gave much influence on normal clothing at the same tim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Military look became more diverse. In a mood for the end of century and inflated material civilization, and with nostalgia for the fast, mixed styles of fast, presents and future have come out in variety. In Street Fashion, there are many alternative trends to meet diverse desires of teenagers, and the military look has been steadily favored. The functionality and the decorativeness of military look would have met fashion sense and taste of younger generations pretty well. First, teenagers are active, and the practical materials and functional designs of military style applied to their clothes. Second, they prefer challenging and creative styles, and the decorative elements of military clothing for the colors, patterns, accessories have been applied to they clothing. We may need to understand their culture and emotion more closely and help them enjoy sound and beautiful clothing culture. The military uniform adapted itself to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and has been developed and improved, which made that possible.

  • PDF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온라인게임 유저의 과금 성향 분석 (The Study on Game Users' Payment Intention through Language Network Analysis)

  • 김은비;위정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17-130
    • /
    • 2021
  •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기능성 아이템과 장식용 아이템, 두 집단 간의 아이템 중요도 및 과금에 대한 생각을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로는 기능성 아이템을 구매하는 유저는 유료 아이템을 구매할 때 경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투력과 능력치 요소가 함유된 유료 아이템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장식용 아이템을 구매하는 유저는 자기만족감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캐릭터의 외형 변화를 통한 치장과 이러한 치장용 아이템 수집욕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아이템 구매를 통해 게임의 재미를 느끼고 있었으며, 나아가 게임 캐릭터를 통해 자기 자신의 투영과 '또 다른 나'를 인식했다,

나주배 적과중 유과 생즙의 염색성

  • 이상필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116-117
    • /
    • 2004
  • 천연염색은 자연의 식물, 광물, 동물 등에서 염료를 추출하여 직물에 착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합성염료가 발명되기 이전까지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의류 및 생활용품 등의 직물에 염색을 하고 인체에 장식을 하였다. 천연염색 중 대부분은 식물성 염료로서 식물의 껍질, 줄기, 열매, 뿌리 등으로부터 색소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천연염색은 그 색상이 차분하고 은은하며, 생리적 측면에서 항균성, 소취성이 있으며, 염색공정이 환경친화적인 저공해 염색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언어성에서 본 포스트모더니즘 실내디자인의 특성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Post-Modernism Interior Design inAttri Language bute)

  • 이춘섭
    • 디자인학연구
    • /
    • 18호
    • /
    • pp.15-23
    • /
    • 1996
  • 실내 공간은 공간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질료로서 결정되는 허공간으로 이 공간이 쓰임새가 가치를 결정한다. 따라서 실내가 형성하는 공간의 추상성과 각 요소들이 연합하여 하나의 공간을 이루는 특이성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표현되는 어휘와 상징체계는 다분히 전체성의 특징을 갖는다.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 경향의 실내를 언어의 과학성을 기초로 하여 상징체계를 전체성으로 분석함에 있다. 내용은 크게 3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제 1장에서는 서론 부분, 제 2장에서는 실내디자인의 특징, 제 3에서는 어휘와 코드의 정의, 어휘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과 포스트모더니즘 실내를 성격 짓는 언어학적 은유의 내용을 고찰하였으며, 제 4장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 실내디자인의 일반적인 특성과 이 특징을 이루고 있는 실내요소들 중에 근간을 이루는 전통성과 장식성 대중성을 이루는 데 필요한 실내 어휘들의 언어 성을 어휘, 코드, 은유를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끝으로 제 5장에서는 찰스 젱크스(Charles Jencks)의 시 메틱 하우스(Thematic House)서재 실내 공간을 하나의 모델로 선정하여 언어학적 분석하였다.

  • PDF

기하학적 패턴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Geometric Pattern)

  • 김신우;금기숙
    • 복식
    • /
    • 제52권1호
    • /
    • pp.53-67
    • /
    • 2002
  • 자연을 분석함으로써, 얻어진 기하학적 패턴은 이미 자연의 질서를 포함하고 있는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기본형이기 때문에 간결하며 시각적으로 명쾌감을 준다. 이러한 기하학적 패턴은 복식 디자인에 있어서 20 세기 이후 여러 디자이너의 작품을 통해 재구성되어 현대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모티브가 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법과 재료로 형성화하여 도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복식의 문양, 실루엣, 디테일에 사용되고 있는 기하학적 패턴을 연구함으로써 기하학적 패턴의 새로운 조형가치를 고찰하였다. 먼저 기하학의 용어 정의를 하였고 기하학적 패턴의 유형과 표현 기법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적 패턴의 조형미와 그것을 바탕으로 패션 이미지를 추론해 보았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 패턴을 분석해 보면 유형으로는 첫째, 기하하적 문양으로 복식디자인에 있어서 주로 평면적인 형태로 많이 나타나지만, 크기가 다르고 동일한 기하학적 패턴을 조합시킴으로서 평면적인 형태에 공간감을 부여하기도 하며, 같은 기하학적 패턴의 표면이라도 배치구조에 의해 직선 혹은 사선으로 지각되므로 전혀 다른 이미지를 주었다. 또한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적 패턴이 종류는 세로 스트라이프, 가로 스트라이프, 격자 문양, 원, 사선 스트라이프, 마름모, 사각형, 삼각형 등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둘째, 색채는 단색의 복식에 강한 대비가 이루어지는 색상으로 표현되어 역동감과 유연한 운동감을 나타났다. 셋째, 기하학적 실루엣으로 단순한 라인의 형태를 나타내거나 입체적이고 부조적인 형태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실루엣으로 사용되어 강한 조형감각을 보여주는데 원형을 이용한 실루엣이 가장 많았으며 사각형을 이용한 실루엣, 삼각형을 이용한 실루엣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기하학적인 디테일로 복식의 어느 한 부분에 장식적으로 사용되거나 입체적 형태로 부출 되어 부조적인 느낌을 주는데 소매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앞여밈, 칼라, 밑단, 주머니 순서로 장식되었다. 다섯째, 현대 패션에 표현된 기하학적 패턴의 표현기법으로는 프린팅, 퀼팅, piece기법, 패치워크, 엮기, 꼴라쥬, 아플리케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위의 분석을 토대로 기하학 패턴을 활용한 디자인에 내재된 조형의지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기하학적 패턴이 지닌 단순성과 경직성을 완화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패브릭을 조합시켜 입체적인 표면효과로 시각적인 착시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둘째, 표현기법은 입체파적 표현주의의 특성의 하나로 복시에 사용되는 소재의 왜곡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새롭고 실험적인 소재의 도입으로 인해 의외성과 부조화를 유발시키는 통시에 유희직인 일면도 지니는 일종의 그로테스크를 나타냈다. 이상에서 정립된 조형의지를 바탕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란 기하학 패턴은 절제된 단순함과 명확성으로 단순미가 유추되었고 강한 색상대비로 인한 시각적 집중효과로 주목성을 가지며 재현이 가능하므로 반복성이 유추되었다. 그리고 표준영역이 없는 창의적 표현으로 풍부한 독창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내재된 패션 이미지를 분석해 보면 정확함과 차가움의 의미를 지닌 이지적 이미지와 우주의 질서를 반영하는 상징적 이미지, 복잡한 자연으로부터 간결한 형태로의 경향성이 이루어낸 인공적 이미지를 느낄 수 있었으며, 미래적 이미지와 전통적 이미지의 상반된 개념의 이미지를 같이 내포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현대 패션에 표현된 기하학적 패턴은 복식을 조형예술 분야로 확실히 인식시키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촉매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또한 많은 디자이너들에게 창조적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영감을 주는데 중요한 모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낭만주의 복식양식의 조형성과 미적가치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aesthetic values of Romantic style dress)

  • 김정미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2호
    • /
    • pp.95-109
    • /
    • 2010
  • The goal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and the aesthetic values of Romantic style. To attain the goal of this study, the selected objects are the Romantic styles that were prevalent from the 1830s to the 1880s. The methodology for this study consists of literary research, aesthetics, dress and case study based upon the analysis of the 19th century dress. Based upon the theoretical study, two results a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Romantic style in $19^{th}$ century dress. Firs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Romantic style dress are suppression of body, fixed form, volume, and ornamentation. The suppression of body is embodied by two ways. One is tightening body parts, such as the off-the-shoulder line and the corset, and the other is applying weights on body through the wearing of layers of petticoat, crinoline and bustle. The characteristic of the fixed form created the fixed silhouettes of women's dress, for example, an X-silhouette formed with wide shoulders created by big puffed sleeves, narrow waist by corset, and wide hemline of voluminous skirt and petticoats. In addition to the X-silhouette, the bustle style created fixed h-silhouette. Volume in the women's dress were visually expressed by big puffed sleeves, a huge skirt and petticoat made with gathers, pleats and flounces, crinolines and a bustle. Ornamentation was used to express an elegant and fantastic style not only by using luxurious materials in various colors and patterns, but also by applying sumptuous details and trimmings. Second, the aesthetic values of Romantic style dress are subordination, sensuality, and maternity. Women's dress of the 19th century not only restricted free movement and symbolized men's wealth and status, but also was used as an important tool for seducing men by exposing and accentuating the sexual body, thus becoming a symbol of fertility as a metaphor of pregnancy and uterus. These aesthetic values represented in dress incorporated the contemporary requirements of women of the time.

현대건축 표면에서 나타난 앵프라맹스에 관한 연구 - 근/현대 장식성의 발현을 중심으로 - (Inframince in Contemporary Architectural Surfaces - On the Emergence of the Ornament in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

  • 박종현;이영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68-79
    • /
    • 2018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Inframince' in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 Inframince(English: infra-thin) is a concept coined by Marcel Duchamp.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term "Inframince" by Marcel Duchamp replied that the notion is impossible to define, "one can only give examples of it:". It describes fine indirect perceptions of physical phenomena. Inframince is conductor of two dimensions into three, the essential dynamic in the practice of making space. Inframince is the interval between an inhabitant and their environment that both connects and separates. This study deals with the difficult situation how Contemporary Architecture represents itself over the 20th century modernity and asks the question how it presents its ornamentality. In order to analyse contradictory situation between self-referentiality and ornamentality in Modern/Contemporary Architecture we need to survey the historical process of changing position of ornaments and its meaning in time. The article also analyze the selected works of contemporary architects like Herzog & de Meuron, Jean Nouvel, to show that the trend reversal continues now more than ever. The Architectural surface must be a different kind of media that can communicate in different way with compared to conventional ornament. If we understand Duchmp's Inframince to be the provocation of the unuseful things, and if we interpret Contemporary fact that all specific Architectural Surfaces have been dissolved in timelines, it shows us post-trend of the Surfaces via conspicuous consumption or desire.

기능성 모직물의 특성변화

  • 허영수;서승경;구강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8-192
    • /
    • 2003
  • 의복은 사람의 인체를 가려주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서 인체를 보호하는 기능 더 나아가 장식용으로 그 용도가 변화해 왔다. 요즈음에는 시대에 맞게 그리고 사회 변화에 맞게 기능, 고기능, 초고기능이라는 단어를 붙여서 섬유에 기능성을 부여하게 되었다. 이러한 용어는 단순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술 발달로 인해 인간의 만족감을 채우기 위해서 자연스럽게 된 이유도 있겠지만, 사회 변화로 인해 불가피하게 그러한 기능들을 가질 수밖에 없고 또 꼭 필요하게 되어서 그러한 용어를 사용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