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소특정

검색결과 391건 처리시간 0.03초

지능형 감시차량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Monitoring Vehicle)

  • 이무성;손영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99-10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24시간 365일 감시가 필요한 장소 중에서 감시범위가 넓어 인력으로 감시하기에 무리가 있거나, 적은 인력으로 효율적인 감시가 필요한 경우 또는 특정된 지역의 감시가 아닌 새로운 환경에 대한 감시가 필요한 경우 사용할 수 있는 감시장비인 지능형 감시차량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설계를 바탕으로 지능형 감시차량을 제작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차량은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조종할 수 있었으며 차량이 수집한 데이터를 모두 받아볼 수 있었다. 다만 통신 거리에 대한 보안점이 있었으나 이것만 개선한다면 실제 군사, 산업, 국가기간시설 등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 PDF

소울트레인의 소울댄스 거리공연 사례 (The case of soul Dance(in Soul Train) on Busking)

  • 이영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3-334
    • /
    • 2017
  • 본 연구는 거리공연 제작과정을 통해서 소울댄스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실제사례를 통한 연구자의 공연 사례중 음악선정, 장소, 의상, 장비, 작품구성과 안무를 통해 준비를 하였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불특정 다수가 모여 있는 곳에 자유로운 거리 공연을 통하여 발전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도출 시켰으며 소셜네트워크의 도움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확산되었다. 반면 주기적인 거리공연과 젊은인 들의 인식의 변화, 예술적 성장을 전국적으로 조사연구가 필요함을 나타났다.

  • PDF

미세규모 국지 바람장 해석을 위한 Envi-met Model 활용에 관한 연구

  • 이화운;이용진;정우식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지 제13권(제2호)
    • /
    • pp.218-222
    • /
    • 2004
  • Envi-met 모델 수행과정과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모델의 바람장 패턴을 검증하기 위하여 도심내의 특정지역을 선택하였으며, 바람의 변화가 예상되는 5개 지점을 선정하여 관측하였다. 둘째, 건물에 의한 바람의 영향이 없는 장소를 1개소 선정하여 대표관측지점에서의 관측값을 모델수행의 초기값으로 선정하였다. 넷째, 관측된 데이터와 모델 수행결과 값을 비교하여 바람장의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본 모델의 적합성을 고찰하였다.

  • PDF

컴퓨터비전을 활용한 실내 자동비행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tonomous Indoor Flight using Computer Vision System)

  • 최영;김계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90-59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실내 환경에서 특정한 장소를 찾아갈 수 있는 자동비행체를, 컴퓨터비전과 스마트폰, 헬륨을 사용하여 구현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마커를 이용하여 빌딩 내 각 정점을 표시하며, 이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최단의 경로를 찾아서 그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 알고리즘과 비행체의 구조를 보인다. 실험 결과 다양한 방면으로 적용 가능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소셜 미디어에 기반한 이벤트 정보의 시공간적 시각화를 통한 추이 분석 (Trend Analysis using Spatial-Temporal Visualization of Event Information based on Social Media)

  • 오효정;윤보현;유철중;김용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65-75
    • /
    • 2014
  • 본 논문의 주안점은 다양한 매스 미디어에 나타난 이벤트(event)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이를 시간 및 장소 축으로 시각화함으로써 특정 이벤트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장소 이동의 추이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특히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소셜 미디어에 기반하여 이벤트를 추출하고 그들 간의 연속성 분석을 통해 해당 이벤트의 변화 방향성과 사회적 영향을 가늠할 수 있다. 연속성 이벤트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2년간의 뉴스 기사 및 트윗(tweet)을 수집하여 관련 도메인 선정을 위한 전수조사를 수행하였다. 수행 결과, '질병'과 '여가'도메인을 선정,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각화 방법을 적용한 사례 연구를 통해 시간 및 장소 관점에서의 시각화를 통한 추이 분석의 효용성과 제안된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특히 단순 사실기반의 연속성 시각과 결과와 사용자의 관심도가 반영된 소셜 미디어에 기반한 연속성 시각화 결과를 비교한 결과, 같은 시기의 이벤트들이라 하더라도 사회적으로 미치는 파장이 큰 장소 이동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음을 보였다.

북한의 헤테로토피아적 장소성과 점화 효과: 재미교포를 대상으로 (The Heterotopiatic Placeness of North Korea and a Priming Effect: The Case of The Korean-American)

  • 오인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07-43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헤테로토피아적 장소성을 한 측면으로 점화시킬 수 있음을 대응표본 t-test를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북한에 다양한 인도적 활동을 펼치고 있는 재미교포들은 북한의 이중적 장소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기독교적 노스탤지어와 전시도시로서 평양의 특수성에 주목한다. 북한은 한민족 공간이자 폐쇄적 독재국가이며, 고립과 폐쇄로 일관하지만 의도적으로 경제특구와 같은 개방시스템을 침투시키는 경계공간을 두고 있다. 또한 특정계급공간으로서 평양의 특수성이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헤테로토피아적 특성을 갖는다. 민족의 명산이지만 한국 관광객 총살사고가 일어난 금강산, 기네스북에 등재될 정도로 기교가 뛰어나지만 인권유린으로 이루어진 아리랑 공연, 김소월의 고향이자 '진달래 꽃'시의 배경인 동시에 핵시설로 세계에 알려진 영변이 갖는 이러한 헤테로토피아적 장소성을 점화 실험을 통해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금강산 관광은 뚜렷한 점화 효과를 발견하지 못하였고, 체제 선전을 위한 인문 경관인 아리랑 공연은 호감도가 다소 떨어졌다. 극단적인 장소성을 갖는 영변은 부정적 자극에 대한 점화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북한의 다면적 장소성이 통일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의도적으로 강조되거나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도시 공공공간 조명디자인 유형과 장소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 and Sense of Place of the Lighting Design of Urban Public Space)

  • 마동칭;윤지영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7권
    • /
    • pp.101-114
    • /
    • 2017
  • 본 논문은 도시 공공공간, 조명 디자인과 장소성과의 관련성에 의거하여, 도시 디자인에서 장소성을 표현하는 도시 조명디자인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선행 연구고찰을 토대로, 공공공간의 조명디자인의 장소성 평가를 위한 6개 디자인 평가요소를 추출하였고, 12개의 우수 조명 디자인 사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2개 사례에 대해 기본형, 은유플롯형, 인터랙티브형, 미디어 복합형 등의 4개 유형으로 공공공간 조명디자인을 분류하였고 각 유형별로 주도적인 디자인 평가요소와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기능성, 지속 가능성, 심미성은 도시 공공공간 조명을 통한 장소성을 실현시키는 기본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은유 플롯형"에 속한 사례는 6가지이며, 이 유형의 사례는 특정 지역에 대한 테마 즉 스토리텔링의 발굴이기 때문에, 조명 디자인에서도 뚜렷하고 명확한 지역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다. 셋째, "인터랙티브형"과 "미디어복합형"은, 새로운 매개 기술 및 최첨단의 조명 방식이 개입되었기 때문에, 도시 조명디자인의 의미와 외연이 광범위하게 확장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도시 공공공간의 조명디자인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여 장소성을 강화하고 도시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도시 공공공간의 조명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치서비스에 기반한 개인위치정보에 대한 감리방법 (The Audit Method for Privat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Location Services)

  • 서정호;서희명;김동수;김희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5호
    • /
    • pp.251-266
    • /
    • 2012
  • 위치정보란 특정한 물건이나 개인이 특정한 시점에 존재하거나 존재하였던 장소에 관한 정보이다.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위치정보는 단순히 장소에 관한 정보를 넘어서 개인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서비스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개인정보의 유출로 야기되는 문제는 금전적 경제적 손실을 넘어서 개인의 이동경로 혹은 개인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기 때문에 개인의 신상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개인위치정보의 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서비스들을 통제할 수 있는 가이드 등이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인의 위치정보 침해 및 유 노출을 사전에 통제하기 위해 정보시스템 분석 설계 운영 단계에서 개인위치정보에 감리를 수행할 때, 사법처리기준, 재무손실등급, 개인위치정보 중요도, 점검항목의 중요도가 포함된 점검항목을 제안하였으며, 전문가들의 설문 조사를 통하여 제안한 점검항목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지리적 표시제 도입이 지역 문화산업 진흥에 미치는 영향 -보성녹차를 사례로- (The Impact of Geographical Indication on the Promotion of Cultural Industry of a Region : A Case Study of Boseong Green Tea)

  • 서정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29-244
    • /
    • 2006
  • 지리적 표시제란 농산물 등 상품 및 그 가공품의 명성 품질 기타 특징이 본질적으로 특정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기인하는 경우 당해 상품 및 그 가공품이 그 특정지역에서 생산된 특산물임을 표시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9년에 제정된 농산물품질관리법을 통해 지리적 표시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지리적 표시제가 공식적으로 도입된 이후 최초로 인증을 얻은 보성녹차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리적 표시제가 지역 문화산업 진흥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지리적 표시제 도입 이후 지리적 표시품인 보성녹차의 제품이미지 상승과 품질향상이 이루어짐으로써 지역 특산품인 보성녹차의 재배와 생산이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녹차연계 관광산업의 개발 등을 통해 지리적 표시제가 지역 문화산업의 진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리적 표시제의 도입이 지역 특산의 국산 명품 브랜드를 육성함으로써 향후 수입자유화에 대비한 우리니라 통상정책 측면에서 유효한 대응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지리적 표시제가 지역문화 정체성 제고와 장소마케팅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공공미술을 통한 지역재생 연구 - 마을미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Regional Regeneration through Public Art - Focused on the Maeulmisul Art Project -)

  • 김소라;이병민
    • 국제지역연구
    • /
    • 제20권4호
    • /
    • pp.205-225
    • /
    • 2016
  • 최근 지역재생의 수단으로서 공공미술이 많은 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다. 문화를 통해 낙후된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제도적으로 시행된 공공미술은 단발적인 행사에 그치거나, 규격화되고 획일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보안정책으로 등장한 마을미술 프로젝트는 마을의 자산을 활용하고, 주민의 예술적 행위가 주된 요소이다. 이를 통하여 지역정체성이 강화되고, 공동체성을 회복하게 되었다. 또한, 마을미술 프로젝트를 계기로 삼아, 타 정책 및 사업과 연계를 통해 지역 활성화를 가져온 마을도 생겨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을미술 프로젝트의 장소특정성을 통한 지역정체성 강화 및 공동체 회복 과정을 살펴보고, 마을미술 프로젝트를 통하여 지역재생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