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ype and Sense of Place of the Lighting Design of Urban Public Space

도시 공공공간 조명디자인 유형과 장소성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6.12.18
  • Published : 2017.01.31

Abstract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ublic space, urban lighting and the sense of plac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lighting environment types with the sense of place and their characteristics. First, with the theory study as the research foundation, it extracts six spatial factors of public space lighting design and then analyzes 12 relevant cases on the basis. Finally, it divides the 12 cases into four types, Basic types, Storytelling, Interactive and Multi-Media and analyzes the core design factor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type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functionality, sustainability and aesthetics are the basic factors to realize the urban public space lighting places. Second, the six cases of "Storytelling" show that the theme of specific areas, namely the exploration of "story" is conducive for lighting design to form clear and definite environment recognition. Third, for "Interactive" and "Multi-Media", the intervention of new media technology and new lighting way has made the wide expansion of urban lighting design connotation and extension.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strengthening the urban location performance by the lighting design could improve the city image, which provide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public space lighting design.

본 논문은 도시 공공공간, 조명 디자인과 장소성과의 관련성에 의거하여, 도시 디자인에서 장소성을 표현하는 도시 조명디자인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선행 연구고찰을 토대로, 공공공간의 조명디자인의 장소성 평가를 위한 6개 디자인 평가요소를 추출하였고, 12개의 우수 조명 디자인 사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2개 사례에 대해 기본형, 은유플롯형, 인터랙티브형, 미디어 복합형 등의 4개 유형으로 공공공간 조명디자인을 분류하였고 각 유형별로 주도적인 디자인 평가요소와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기능성, 지속 가능성, 심미성은 도시 공공공간 조명을 통한 장소성을 실현시키는 기본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은유 플롯형"에 속한 사례는 6가지이며, 이 유형의 사례는 특정 지역에 대한 테마 즉 스토리텔링의 발굴이기 때문에, 조명 디자인에서도 뚜렷하고 명확한 지역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다. 셋째, "인터랙티브형"과 "미디어복합형"은, 새로운 매개 기술 및 최첨단의 조명 방식이 개입되었기 때문에, 도시 조명디자인의 의미와 외연이 광범위하게 확장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도시 공공공간의 조명디자인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여 장소성을 강화하고 도시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도시 공공공간의 조명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