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노년층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3초

50대 이상 장노년층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구강 건강 결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OHQoL) and Oral Health Outcome in Adults over 50 Years Old)

  • 조영식;임순연;황혜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05-310
    • /
    • 2011
  • 50대 이상 장 노년층 성인들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Oral-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HRQoL)과 건강 결과(health outcome)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148명을 편의추출하여 구강검사와 면접조사를 통해 OHIP-14(Oral health impact profile-14)와 인지 건강 및 구강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분산분석, 교차분석, 상관분석 등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OHIP-14의 모든 문항에 대해 조사 대상자 중 9.5%가 전혀 문제나 불편감을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가장 문제를 많이 느끼는 차원은 '신체적 통증'(69,8%)과 '심리적 불편감'(63.5%)으로 나타났다. 2. 평가 구강건강 상태에 따른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을 비교한 결과 우식경험치아수, 잔존치아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045), 치주상태와 틀니사용여부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조사 대상자의 43.9%(N=65)가 자신이 '건강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으며, 43.9%(N=65)가 자신의 구강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생각하고 있고, 54.7%(N=81)가 자신의 구강건강상태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4. 조사 대상자가 느끼는 인지 건강상태에 따른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비교한 결과 인지 건강상태, 인지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5. 조사 대상자의 인지 건강상태와 OHIP-14 점수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나(r=0.326, p<0.01), 인지 건강상태와 우식경험치아수, 잔존치아수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양봉농가의 경영형태와 기술수준 분석 (Analysis of Honeybee-Keeping Management Types and Skills Level in Korea)

  • 김안식;김석은;김계웅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1호
    • /
    • pp.59-66
    • /
    • 2011
  • 본 조사연구는 2008년 1년간 우리나라 253개 양봉농가의 설문 조사를 통하여 경영형태를 분석하고 기술 및 기반수준을 평가하여 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경영지표 설정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봉농가의 평균 봉군관리 수는 145.89군으로 조사되었다. 관리자의 연령별로는 통계적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는데 55세 미만 연령그룹에서 평균 191.68군으로 가장 많이 사육하고 있었으나, 연령이 많을수록 봉군 수는 적게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 별로도 고도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는데, 15년 이상 고경력 농가에 평균 175.96군을 사육하고 있었으며, 경력이 높은 농가에서는 더욱 많은 봉군을 관리하고 있었다. 거주지별과 학력별간 모두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경영형태별로는 고도로 유의한 차이(p<0.001)가 인정되었는데 고정양봉은 평균 82.99군 이었으나 이동양봉은 220.18군을 경영관리하고 있었다. 양봉장은 농가주변(57.8%)에서 가장 많이 위치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은 산간지(30.3%)에서 양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별 양봉장의 위치 분석에서는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는데, 산간지는 젊은 연령층(36.9%)에서 많이 사육하는 반면에 농가주변은 노년층(65.4%)에서 주로 많이 사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별 분석에서도 고도로 유의한 차이(p<0.001)가 인정되었는데 산간지(40.0%)에서는 산간마을 거주자가 많이 사육하고 있는 반면에 농가주변에서는 산간마을이나 중소마을 거주자 서로 모두 비슷하게 사육하고 있었다. 그러나 경력별, 학력별 및 형태별간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양봉농가는 부업고정양봉(35.7%)으로 경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연령층별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는데, 젊은 연령그룹에서는 전업이동양봉(38.8%)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년층에서는 부업고정양봉(43.2%)을 주로 경영하고 있었다. 경력별로도 고도의 유의성(p<0.001)이 인정되었는데, 저경력 층에서는 부업 고정양봉(46.6%) 경영이었으나 고경력 층 그룹은 전업 이동양봉(40.3%)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거주지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봉농가는 벌꿀은 물론 프로폴리스, 종봉 분양, 화분, 로열 젤리, 매개봉군 순으로 양봉 생산물을 생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5년 이하 저경력 층은 주로 프로폴리스, 화분 등을 생산한 반면에 고경력 층에서는 주로 프로폴리스, 분양 종봉 등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간마을 양봉 농가는 주로 프로폴리스, 화분 등을 얻고 있으나, 중소마을 양봉 농가는 프로폴리스, 분양 종봉 등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정과 이동양봉농가 모두 프로폴리스, 화분 등을 주로 많이 생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양봉농가 기술보유 수준 및 기반수준은 5점만점 중 각각 평균 3.11점과 2.86점으로 모두 중등수준으로 평가되었다. 경력별간에는 기술수준이나 기반수준 모두 고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저경력보다 고경력 농가에서 기술수준 평균3.33점과 기반수준 평균 3.02점으로 더 높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연령층간이나 거주지간의 기술수준이나 기반수준평가 모두 서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장·노년층 여성의 의복제작을 위한 어깨형태 연구 - 한국인과 미국인의 비교 - (Investigation on the Shoulder Shap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Women Age over 55 for Apparel)

  • 최미성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60-266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general body measurements and shoulder shapes of Korean and American elderly women to supply basic data for the apparel design. The anthropometrics data was collected including both direct and indirect measurements of 283 women over the age of 55 in Korean and the American women.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analysis of measurement data are the T-test, Exploratory data analysis, ANOVA and Duncan-tes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T-test indica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14 body measurement items except of waist circumference. The results of exploratory data analysis, an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shoulder slope angle and forward shoulder roll of Korean women.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dependent relationship that the bigger shoulder slope and forward shoulder roll with wide cross back shoulder of American women. Comparison of mean among the three different age groups, aged 55~59 group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lue of difference between cross back shoulders and horizontal shoulder width.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wide and forward roll shoulder needs to special pattern making like ease amount and curvature for fit and comfort for women's apparel.

장노년층의 지능정보사회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온/오프라인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Perception Expectation Anxiety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 Moderating effect of On/Offline Social Capital)

  • 임정훈;이혁준;이정화;이지훈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7-130
    • /
    • 2021
  • The Korean society is transforming into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rapidly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ut middle aged and elderly people are hard to access and accept these chang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factors affects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by moderating effect of on/offline social capital. This study analyzed data of 2,303 people between the ages over 50 from the 2018 Digital Divide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NIA) using SPSS26.0. The result showed that sex, age, education, household typ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perception, expectation, anxiety are significantly effected life satisfaction. Also on/offline social capital had moderating effect between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edes a basis for developing a success model for elderly people who accepts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lso, this study identifies the implications and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nline Community Activities on Social Capital)

  • 이환수;이나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53-163
    • /
    • 2014
  • 본 논문은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오프라인의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개인적 특성에 따라 효과가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를 이론적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9479개 대량의 연구 샘플을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과 이원 공분산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 간에 정의 관계가 성립함을 확인하였고, 나이가 많은 사람들에게서 더욱 강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이 사회적 자본을 강화한다는 기존 연구의 주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면서, 온라인의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최근의 연구들을 확장시켜 오프라인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중 장 노년층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서 온라인 활동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의 양적 질적 개선을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 활성화가 필요하며, 이러한 공동의 공간이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수리계획법을 활용한 방재자원 배치 최적화: AED 배치 사례 (Mathematical Programming and Optimization of the Resource Allocation and Deployment for Disaster Response : AED case study)

  • 황성은;이나경;장동국;신동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3-58
    • /
    • 2021
  • 노년층뿐만 아니라 청년층에 속하는 성인들 사이에서도 병원 외 심장정지(OHCA)를 겪는 심장질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자동심장충격기(AED)는 병원 외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개선하는 데 있어 긴요하다. 심장정지 생존율은 제세동 시간에 대하여 지수적으로 감소(decline exponentially)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자동심장충격기의 최적 배치에 있어 심장정지 생존율의 이러한 특성을 반영한 국내 연구가 미미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최적 입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exponential decay coverage 함수를 갖는 최대 gradual coverage 입지 모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exponential decay coverage 함수는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에 대한 과다추정을 완화한다. 향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랜덤한 행인 위치 및 이동을 반영함으로써 행인의 심정지 대응에 있어 창발적인(emergent) 특징을 식별할 수 있는 시설 입지 모델이 개발될 것으로 예측된다.

스마트융합시대 취약계층에 대한 정보격차 해소 방안 (A Study on Efficient Policies of solving the Digital Divide for Weak Layers in the Smart Phone Convergence Era)

  • 강월석;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29-38
    • /
    • 2012
  • 새롭게 다가오고 급변하는 스마트 융합환경속에서 정보격차 해소 이슈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전통적인 정보격차의 개념과 범주에 대해 정의하고 그동안 정부가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펼쳐온 노력 사항에 대해 알아보고 해외주요 국가들의 스마트 융합환경속에서의 정보격차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외 주요국과 한국과의 스마트폰 환경 하에서의 장노년층, 장애인, 저소득층등 취약 계층별 정보 격차 현상에 대해 살펴보고 특별한 차별점을 인식하려 노력하였다. 이에 따른 시사점 분석을 통해 필요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 그 달성을 위해 우리 정부나 산업계, 학계, 사회단체 등에서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인가를 제시하였다. 정보통신 일등국가로서의 위치를 계속 유지해나가는 것은 전 국민이 평등하게 정보를 공유하여 모두가 삶이 행복한 사회를 구현할 때 비로소 가능해 지는 것이라고 믿는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전략안이나 제언이 정부의 정보통신정책 마련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장노년층 스마트폰 활용능력에 따른 체질량지수 차이 (The Difference of Body Mass Index According to Smart Phone Proficiency in Koreans over the Age of 60)

  • 김준식;김정운;한소원;김연수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89-196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body mass index (BMI) to smart phone proficiency in men and women over the age of 60. Method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ith high (n=33), average (n=34), and low (n=33) smart phone proficiency. Fitness characteristics related to smart phone usage were evaluated by measuring cardiorespiratory endurance, grip strength, eye-hand coordination. As well, smart phone proficiency was evaluated b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 smart phone usability task that was composed of two categories: usage of the smartphone device itself and usage of phone applications. The differences in BMI of the subjects was analyzed by analysis of covariance adjusting for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age, smartphone usage period, eye-hand coordination, education and incom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among the three groups after adjustment of age, eye-hand coordination, smartphone usage period, education and incom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between high proficiency and low proficiency groups (high $24.88{\pm}2.46$, low $23.37{\pm}2.56$; p=0.037). Smart phone usability test results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among the three groups (high $25.18{\pm}2.58$, low $23.15{\pm}2.6$; p=0.000 and high $25.18{\pm}2.58$, middle $23.57.7{\pm}1.69$; p=0.010).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high smart phone proficiency shows increased BMI in the elderly. This study suggests that people over the age of 60 who have high smartphone proficiency should be cautious of an increased BMI score.

자기 공명 영상에서 측정한 정상 및 봉합된 회전근 개의 두께 (The Thickness of Normal and Repaired Rotator-cuff Measured in MRI)

  • 김정만;김양수;권용진;유주석;정현우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42-49
    • /
    • 2007
  • 목적: 회전근 개 전층 파열의 봉합술 후 회전근 개의 두께를 자기 공명 영상에서 측정하여 파열이 없는 젊은 층 및 장노년층 대조군과 비교하고 술 전 파열의 정도와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시행한 회전근 개 전층 파열에 대한 봉합술 시행 후 자기 공명 영상을 시행하였던 19예의 환자($45{\sim}77$세, 평균 63.3세)를 제 1군, 파열이 없는 환자들 중 제 1군과 비슷한 장,노년기 환자 23예를 제 2군($46{\sim}69$세, 평균 57.9세), 30세 이하의 청년기 환자 22예를 제 3군($18{\sim}30$세, 평균 23.3세)으로 하여 각 군의 회전근 개의 두께를 비교하였다. 제 1군에서 파열의 길이는 자기 공명 관절 조영술 사위 관상면 영상에서, 넓이는 사위 시 상면에서 측정하여 그 중 큰 값을 파열의 크기로 하였고, 회전근 개의 두께는 관절와 후외연으로부터 전방 15 mm 지점의 사위 관상면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제 1군의 파열의 크기와 술 후 회전근 개의 두께와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제 1군의 술 후 회전근 개의 평균 두께는 3.0 mm였고, 술 전 파열의 크기와 회전근 개의 두께는 반비례하였으며(P<0.001), 제 2군, 제 3군의 회전근 개의 두께는 각각 3.9 mm, 5.0 mm로 세 군의 두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회전근 개의 두께는 연령이 많을수록 작았고 전층 파열 봉합술 후 두께는 술 전 파열의 크기와 반비례하였으며 정상군에 비해 작았다.

장노년층의 디지털기기 이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the User Attitude towards Digital Device of the Middle and Older Adults on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the Utilization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

  • 김수경;신혜리;김영선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0권1호
    • /
    • pp.85-104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utilization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Using the data of 2018 Digital Divide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Baron & Kenny (1986)'s 3 step process, targeting 1,662 adults older than 55. Finding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user attitude of middle and older aged peopl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effect of user Attitude towards Digital Device of middle and older citizens is partially mediated by the utilization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hen providing informatization education in the local community to promote the use of digital devices for the elderly, efforts should be made to grasp the level and inclination of informatization individually, and furthermore present improvements for wireless devices that the elderly can easily access in their daily liv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groundwork for a practical intervention to boost positive attitude towards using digital device to enhance the utilization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nd older aged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