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기이식환자

Search Result 16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망막의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은 에이즈 환자의 실명 초래

  • 최준용
    • RED RIBBON
    • /
    • s.66
    • /
    • pp.14-15
    • /
    • 2005
  •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CMV)는 헤르페스바이러스에 속하는 바이러스이다. 대부분의 성인이 CMV를 보유하고 있으나, 면역 기능이 정상인 사람에서는 CMV로 인한 질병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에이즈 환자, 장기이식환자, 골수이식환자 등과 같이 면역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CMV에 의한 폐렴, 망막염, 장염 등의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 PDF

The Effects of Tacrolimus versus Cyclosporine on Acute Graft Rejection Episode and Acute Renal Dysfunction Following Pancreas Transplantation (췌장이식환자에서 Tacrolimus와 Cyclosporine이 급성거부반응과 신장장애에 미치는 영향)

  • Oh, Jung Mi;Klassen, David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 /
    • v.9 no.2
    • /
    • pp.81-87
    • /
    • 1999
  • 췌장이식의 성공률은 지난 10년 동안 상당히 상승되었다. International Pancreas Transplant Registry에 따르면 1995년 이래 미국에서만 매년 1,000건 이상의 췌장이식이 실시되고 있다. 장기이식후 나타나는 급성 거부반응은 이식 후 6개월 이내에 가장 높은 빈도수로 나타난다. 췌장이식환자에서는 신장을 이식한 것보다 두배나 높은 거부반응을 나타나며 이로 인한 입원율의 증가 항림프제(antilyinphocyte) 사용과 감염의 증가로 이환율이 높다. 더구나 Cyclosporine (CsA)을 기초로 한 면역억제제요법의 사용은 높은 급성 거부반응률(acute graft rejection)을 초래하여 이식한 장기의 조직손실이 문제가 되고 있다. 새로운 면역억제제인 Tacrolimus (FK506)의 사용은 이식환자에서의 거부반응을 감소시켜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acrolimus는 neutral macrolide로 cyclic peptide인 CsA과는 화학 구조는 매우 다르나 비슷한 면역억제 효과를 보인다. 하지만 Tacrolimus의 사용시 신경독성, 신독성, 특히 고혈당증의 발생률이 높아 일부 이식센터에서는 장기 이식 후에 사용하기를 꺼리기도 한다. 하지만 여러 연구논문에서 간과 신장 이식 후 급성 거부반응 예방에 Tacrolimus는 CsA에 비해 이점이 있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결과적으로, 현재 췌장이식 후 Tacrolimus를 기초로 한 면역억제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94-1996년 사이에 Tacrolimus 또는 CsA를 기초로 한 면역억제요법을 투여 받은 췌장이식환자 101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Tacrolimus (n=54)와 CsA(n=57)의 급성 거부반응 예방 효과와 신부전 발생률을 비교하였다. 모든 환자는 항림프구 약물, Azathioprine, Prednisone을 이식 후 면역억제제로 투여 받았다 기준선으로부터 $20\%$ 이상의 혈청 creatinine의 상승이 있는 환자에서는 급성 신부전으로 정의하였고 신장생검법으로 거부반응을 진단하였다 Matched-pair analysis에 따르면 췌장이식환자의 6개월 생존율은 CsA군에서 $97\%$, Tacrolimus군에서 $96\%$로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p=0.57), 6개월간의 이식한 췌장의 보존율은 CsA군에서는 $88\%, Tacrolimus에서 $91\%$.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9). 췌장이식 후 6개월 동안 Tacrolimus의 사용은 생검으로 증명되는(biopsy-proven) 급성 거부반응의 발생빈도는 CsA보다 유의하게 낮았을 뿐만 아니라 (p<0.05) 거부반응 증상의 심각도 또한 감소시켰다 (p=0.03). 급성거부반응 발생빈도의 감소로 Tacrolimus군에서 antilymphocyte 치료가 유의하게 줄어들었다(p=0.01). CsA군에서 Tacrolimus보다 신부전의 발생률이 높았으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췌장이식후의 최적의 면역억제요법의 결정하기 위해서는 향후 Tacrolimus와 CsA을 비교하는 전향적 무작위 연구가 필요하다.

  • PDF

The Single Lung Transplantation for End-Stage Emphysema by Functional Criteria (말기 폐기종 환자에서 기능적 기준에 의한 일측 폐이식술)

  • 조현민;백효채;김도형;강두영;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6 no.2
    • /
    • pp.101-104
    • /
    • 2003
  • Although lung transplantation has been accepted 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end-stage pulmonary emphysema, it is not only very hard to find a donor but also to obtain a relatively healthy lung. Furthermore, it is more difficult to match the size of the allograft, considering the height, the weight, and the size of the thoracic cage. The single lung transplatations for the end-stage emphysema have been more commonly performed than bilateral lung transplantation due to the shortage of the donors and the long-term survival rate of the single lung transplantations has shown no reasonable difference compared with that of the bilateral lung transplantationh. Recently, the functional criteria based on a comparison of predicted TLCs(Total Lung Capacities) of the donor and recipient according to height, sex and age, have been accepted at a more suitable.

생명 연장의 신기원 간이식

  • 한국간협회
    • 간의등불
    • /
    • s.18
    • /
    • pp.16-23
    • /
    • 2001
  • 치료 불가능한 말기 간질환 환자에게 새로운 간을 심어주는 수술을 하여 생명을 구하고 더 나은 삶을 누릴 수 있게 하는 간 이식에 대하여 알아본다. 아울러 한국 장기 이식의 현주소와 그 미래, 산 자와 죽은 자에 대한 보고서이기도 한 간 이식은 의학의 차원을 넘어 생명의 존재 가치에 대한 진지한 질문을 던져줄 것이다.

  • PDF

첨단과학기술현장 - 조직공학의 오늘과 내일

  • Hyeon, Won-Bo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7 s.362
    • /
    • pp.71-75
    • /
    • 1999
  • 몇해 전만 해도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신장이나 심장과 같은 인간의 조직은 장기제공자로부터 직접 이식을 받거나 또는 플라스틱, 금속 그리고 컴퓨터칩으로 만든 완전 인공부붚므오만 대체할 수 있다고 믿고 있었다. 또 많은 사람들은 생세포와 인공폴리머의 혼성물인 바이오인공장기는 결코 제작할 수 없으며 이식용 인간장기의 부족을 충당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동물의 장기를 사용하는 것 뿐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조직공학이라는 새로운 생명과학기술의 진보로 간질환 환자가 자기의 간세포와 플라스틱섬유로 만든 '네오(신)장기' 이식으로 병을 치유할 수 있고 인슐린에 의존하던 당뇨병환자가 대체용 췌장 덕에 인슐린주사를 자주 맞을 필요가 없게 되며 신장병환자는 누구든지 자기의 세포로 키운 새로운 신장을 이식할 수 있게 되어 신장투석기의 모습이 세상에서 사라지게 되는 시대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우리 몸을 형성하는 육체의 '부품'을 사고 팔 수 있는 시대가 뜻밖에도 빨리 다가올지 모른다고 생각하고 있는 과학자들도 있다.

  • PDF

Early Result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Using Multiple Arterial Grafts (다동맥이식편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의 조기성적)

  • Lee, Jae-Won;Ryu, Sang-Wan;Kim, Kun-Il;Choo, Suck-Jung;Song, Hyun;Kim, Jong-Ook;Song, Myeong-G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1
    • /
    • pp.45-50
    • /
    • 2001
  • 배경: 관상동맥우회술은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서 증상을 완화하고 급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확립되었다. 그러나 80년대에 들어와 지금까지 사용되었던 대복재정맥편에 비해 동맥이식편의 장기개통율이 월등함이 알려지면서 좌내유동맥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동맥이식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본원에서는 1998년부터 다동맥이식편을 이용하여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조기성적에 대해 대복재정맥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부터 1999년 5월까지 본원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받았던 355명의 환자중 심정지액을 이용하여 시행했던 1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76명의 단일 동맥편을 사용한 환자를 I군, 두 개 이상의 다동맥편을 사용한 77명의 환자를 II군으로 분류하여 수술전후 임상기록, 심초음파 및 관상동맥 조영술 소견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술전 양군간에는 II군의 환자가 I군의 환자에 비해 더 젊고 흡연자가 많다는 것 이외에는 통계학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술후 조기사망은 각 군에서 1례씩 있었고 환자당 문합갯수에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 이외에는 수술과정 및 술후 결과에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다동맥편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결과 본원에서 학습기(learning period)임에도 불구하고 조기성적에 있어 대복재정맥을 이용한 경우와 차이가 없었다. 물론 중기 및 장기성적에 대한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겠으나 이러한 조기성적은 동맥이식편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이 환자의 장기생존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완전 동맥이식편 관상동맥우회술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Serum Lmmunoglobulin G and M Level after Xenograft Valve or Valved Conduit Implantation (이종 조직판막 도관 혹은 판막 이식술 직후 면역 글로불린 항체 G, M의 혈중 농도 변화)

  • Kwak, Jae-Gun;Yoo, Jae-Suk;Yoon, Sun-Hee;Kim, Woong-Han;Kim, Kyung-Hwan;Kim, Yong-Ji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41 no.2
    • /
    • pp.223-228
    • /
    • 2008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peripheral blood sampling for measuring of serum immunoglobulin can predict immunological changes after xenograft implantation. Material and Method: Between March 2006 and January 2007, 19 patients were enrolled (10 xenograft implantation group, 9 control group). Through 3 peripheral blood samples, we measured changes in serum immunoglobulin G and M levels preoperatively, and 2 and 10 days postoperatively. Result: In both groups, serum immunoglobulin levels showed similar changes-they decreased 2 days postoperatively, then increased up to the baseline levels 10 days postoperatively. However, this postoperative change of immunoglobulin G and M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bsolute value or pattern between the 2 groups (Ig G; p-value=0.393, Ig M; p-value=0.193). Conclusion: We could not predict immunological changes after xenograft implantation by measuring serum immunoglobulin levels by simple blood sampling. Direct checking of ${\alpha}$-Galactose antibody may confirm an immunological reaction after xenograft impla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