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기요양환자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5초

척추관 협착증 환자 진료 프로세스 개발 (Critical Pathway for Spinal Stenosis Patients)

  • 이환모;김호중;김긍년;안풍기;천자혜;신현주;김양수;신혜선;김인숙;정혜경;김영아;채형기;박인영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3-86
    • /
    • 2009
  • 연구배경: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척추관 협착증 환자들은 주로 60세 이상의 고령환자로 장기간의 입원 시 기회 감염의 증대와 불필요한 의료비의 증대를 가져오게 되며, 수술 후 환자들의 재원일수의 증가는 병원의 병상가동률을 감소시키고, 전공의에게는 불필요한 업무를 증가시킨다. 연구목적: 비용 효과면에서 최적화된 진료 지침의 개발은 불필요한 의료비의 감소 및 Hospital Induced Complication을 줄여 환자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각 환자에 대한 전공의 업무를 줄일 수 있다. 의료기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2,075병상의 종합전문요양기관 연구방법: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의 척추관 협착증 환자의 처방을 비교하여 최적의 표준진료지침을 개발하고 최종적으로 CP Master Program(EMR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환자에게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CP 적용 전, 후 비교를 통해 재원일수는 3.8일이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라 병상 가동률 및 진료수익이 증가했으리라고 예상되며 현재 비교 검토 중이다. 또한, CP 개발 및 CP Master Program의 사용을 통한 전공의 업무 감소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 PDF

다중센서를 적용한 자동배변처리기용 제어기 설계 (Controller Design for Automatic Evacuation Disposal System with Multi-sensors)

  • 문인혁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71-77
    • /
    • 2011
  • 이 논문은 장기요양환자의 배변 간병에 사용하는, 흡입, 수집, 세정 그리고 건조가 가능한 자동배변처리기용 제어기의 설계를 제안한다. 자동배변처리기는 소변과 대변을 구분하고, 간병인의 최소 노력만으로도 배설물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중센서를 채택하여 대변과 소변의 분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분리된 배설물은 각각 정해진 방법으로 처리함으로써 효율적 배변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인공 대변과 소변을 이용한 일련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자동배변처리기와 제어기가 효율적인 배변 간병을 실현할 수 있음을 보인다.

DCM(Dementia Care Mapping)을 활용한 한국 요양시설에서의 사람중심케어 실천의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f Person Centered Care Practice in Korean Long-term Care Facilities using DCM(Dementia Care Mapping) as a tool)

  • 김동선
    • 한국노년학
    • /
    • 제41권2호
    • /
    • pp.197-215
    • /
    • 2021
  • 본 연구는 요양시설거주 치매환자들의 삶의 질을 사정하기 위해 개발된 DCM(Dementai Care Mapping)을 활용, 국내 장기요양시설에서의 사람중심케어 실천 정도 및 특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CM은 훈련받은 매퍼가 시설거주 치매노인을 관찰 사정하는 도구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장기요양 시설 종사자들의 자기보고식 평가척도로 변용하였다. DCM의 개념을 34개의 문항으로 조작화하였으며 브래포드치매팀의 검토를 거쳐 총화평정척도로 만들었다. 본 척도의 신뢰도는 .88로 신뢰할 만 하며, 이를 국내 시설 종사자 3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평균점수는 3.77점(5점 척도)으로 나왔다. DCM의 하위카테고리 별 평균 점수는 애착(4.02), 편안함(3.95), 포용(3.89), 정체성(3.67), 주체성(3.41)으로 나타났다. 국내 요양서비스가 대상자의 안전과 편안함에 초점을 맞춘 신체수발에 주력하며 종사자와 대상자간에 애착이 형성되고 있지만, 개별적 케어(정체성)부족이나 대상자의 삶에서 의미있는 활동이 부족한 점(주체성)에서 사람중심케어가 취약함이 드러났다. 한편, DCM척도에 의한 사람중심케어의 특성을 조직 및 개인 특성에 따라 살펴보면, 시설의 규모가 작을수록 사람중심케어 실천이 높으며 공립과 민간시설간의 차이는 없었다. 또한 시설장과 직접 서비스제공자의 사람중심케어 실천이 높으며 경력이 1~2년인 종사자들의 사람중심케어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요양서비스에서 사람중심케어의 실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유니트케어의 적용, 시설에서 직접 서비스제공자뿐 아니라 간호, 사회복지사등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한 사람중심케어 교육 실시를 제언한다. 국내 요양서비스의 질평가에서도 사람중심케어의 관점이 강화돼야 하며 이를 위해 DCM 또는 직접 관찰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대안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형DCM척도의 활용을 제언한다.

뇌졸중 환자 보호자의 SF-8을 이용한 신체건강관련 삶의 질 융복합적 연구 (A Convergent Study of the Physical 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SF-8 of Stroke Patient's Caregiver)

  • 김영란;김영일;김민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19-127
    • /
    • 2017
  • 본 연구는 청주시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7개의 종합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입원환자의 보호자 226명을 대상으로 부양부담감 및 우울감과 신체건강관련 삶의 질을 융복합적으로 파악하고자 조사하였다. 삶의 질은 HRQoL의 단축형인 SF-8을 이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환자의 일상생활 의존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뇌졸중 환자 보호자의 신체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노인 장기 요양 보험제도 및 간병인 제도와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보호자 없는 병실을 확대 운영하여 보호자의 간병시간을 줄이고, 질환에 대한 교육과 가족지지모임을 통해 회복에 대한 기대를 높일 필요가 있다.

국악장단을 이용한 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sic Therapy Using Korean Traditional Rhythmic Modes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 주민애;박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22-232
    • /
    • 2017
  • 본 연구는 국악장단을 이용한 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B시에 소재하는 요양원의 장기요양보호 적용을 받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치매진단 환자 13명이며, 상지기능평가(MFT), 일상생활동작, 인지기능검사(관리기능)에 대해 음악치료 전 후의 점수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악장단의 청각적 자극은 치매노인의 상지기능 향상에 유의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일상생활은 물론 치매평가의 관리기능까지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임상현장에서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국악장단을 활용한 음악중재의 타당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또한 치매노인을 위한 음악치료프로그램의 개발 시 국악장단이 이들의 신체기능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요양병원환자에게 적용한 김치유산균 함유 동치미즙의 구강간호효과: 클로르헥시딘 용액과의 비교 (The Effect of Dongchimi Juice Containing Kimchi Lactobacillus on the Oral Health of Patients at a Long-Term Care Hospital: Comparison with Chlorhexidine Solution)

  • 이승아;이동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40-550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Dongchimi juice containing kimchi Lactobacillus as an oral hygiene agent and to compare it with that of chlorhexidine solution (0.12% dilution).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in which a single group of patients was exposed to two different treatments over a period of time. The study included 32 patients hospitalized at a longterm care hospital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ugust 12, 2016 and September 28, 2016. The patients first used chlorhexidine solution as an oral care agent for 1 week. After an interval of 2 weeks, they used Dongchimi juice for 1 week. Each agent was applied 2 times a day depending on the protocol. The or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measured using Beck's Oral Exam Guide (OEG) scores. The number of pathogens in the oral cavity was counted by culture, and the patients' subjective satisfaction score for each oral agent was measur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T-test and Mann-Whitney test were performed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ongchimi juice and chlorhexidine solution by using PASW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18.0 (SPSS Inc., Chicago, IL, USA). Results: The OEG score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with the use of chlorhexidine solution and Dongchimi juice. However, decreasing number of pathogens and the subjective satisfaction score were higher with Dongchimi juice than with the chlorhexidine solu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pport the use of Dongchimi juice containing kimchi Lactobacillus as an oral hygiene agent for Korean patients.

요양병원 입원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를 활용한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장기입원 관련 요인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factors related to long-term hospitalization of inpatients using the quality assessment data for long-term care hospitals)

  • 이지윤;남은우;정형선;허민희;노진원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8-67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ong-term hospitalized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using the quality assessment data for long-term care hospitals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Methods: Among 1,376 long-term care hospital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hospitals. Multiple linear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infrastructure characteristics, medical personnel characteristics, health outcomes and the proportion of long-term hospitalized patients.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 number of patients per doctor, the number of patients per nurse, and the number of patients per nursing staff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roportion of long-term hospitalized patients. Among health outcomes, a higher proportion of patients with more than a 5% weight loss compared to the previous month and the proportion of patients showing improvement in ADL, were more likely to have a lower proportion of long-term hospitalized patients. However the proportion of diabetic patients with HbA1c test results within the appropriate rang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roportion of long-term hospitalized patient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results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long-term care hospitals. Based on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suggest screening methods for unnecessary long-term hospitalizations, such as sufficient medical personnel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in long-term care hospitals. It is also necessary to clearly separate the roles of medical institutions and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implement policies to support patients' social reintegration.

  • PDF

방문간호사의 생애말기 환자 간호사례: 오마하시스템을 활용하여 (End of life Nursing Care Through a Visiting Nurse in Long-Term Care Insurance: A Case Report using the OMAHA System)

  • 송연이;박은진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0-68
    • /
    • 2021
  • Purpose: This case report was attempted to present the process of the end of life nursing care provided by the visiting nurse. Methods: The subject was a person who was decided the long-term care Grade 1 and received a visiting nursing service, and the service was terminated on the death, and then was selected as a case with the consent of his famil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ong-term care benefit provision records and interviews with the visiting nurse. The nursing process was presented by applying the Omaha System. Results: The subject had digestion-hydration problems and respiration problems in the physiological domain, and the problems of role change, caretaking/parenting, spirituality, and grief in the psychosocial domain were identified. Depending on the problem, the end of life nursing care was provided to the subject and family members through activities on physical symptoms/signs, dietary management, end-life care, and coping skills. Conclusion: We expect that if the visiting nurse provides anticipatory guidance on the death process, the subject will be able to prepare for death comfortably with the family at home instead of vague fear of death.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인식도와 업무수행도 비교 (Perception and Work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among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 문옥년;김영임;근효근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8-12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vels of the perception and work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based on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criteria among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using questionnaires. Out of 205 criteria, 39 items relevant to patient safety were selectively adapted for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 mean scores of perception and work performance were 4.36 and 4.24 out of 5,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5.78, p<.001). The two variables were both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ose nurses who were older, married, head nurses, had many nursing experiences, and aware of Healthcare Accreditation than the other nurses.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perception and work performance in all three sub-systems. The relations between these two in the patient care system was the most highly correlated (r=.894, p<.001). The lowest scores of perception and work performances were fire-related criteria (i.e., reporting). Conclusion: Overall, subject's perception proves to be higher than their work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me viable environment and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their work performance up to the level of their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러프 하한 근사를 갖는 로컬 커버링 기반 규칙 획득 기법을 이용한 섬망 환자의 분류 방법 (A Classification Method of Delirium Patients Using Local Covering-Based Rule Acquisition Approach with Rough Lower Approximation)

  • 손창식;강원석;이종하;문경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4호
    • /
    • pp.137-144
    • /
    • 2020
  • 섬망은 의식 장애, 주의력 장애 및 언어력 장애와 같은 일시적인 인지 장애가 있는 환자, 특히 노인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정신 장애 중 하나이다. 섬망은 환자와 가족에게 고통을 주고, 통증과 같은 증상의 관리를 방해할 수 있으며 노인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장기 요양 시설에서 섬망 환자를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임상적 지식을 생성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러프 하한 근사 영역을 갖는 로컬 커버링 규칙 기법을 활용하여 섬망과 관련된 임상적 분류 지식을 추출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은 전향적 코호트 연구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섬망 기간이 12일 이상 지속될 수 있는 6가지 유용한 임상적 증거를 발견하였고, 체질량 지수, 동반질환 지수, 입원경로, 영양결핍, 감염, 수면박탈, 욕창, 기저귀 사용과 같은 8가지 인자들이 섬망 결과를 구별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분류 성능은 통계적 5-겹 교차검정 방법을 사용하여 3가지 벤치마킹 모델, 즉 ANN, RBF 커널 함수를 활용한 SVM, 랜덤 포레스트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3가지 모델 중 가장 높은 성능을 제공한 SVM 모델과 비교했을 때 정확도와 AUC 기준에서 평균 0.6%와 2.7%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