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tical Pathway for Spinal Stenosis Patients

척추관 협착증 환자 진료 프로세스 개발

  • 이환모 (연세대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호중 (연세사랑병원) ;
  • 김긍년 (연세대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안풍기 (연세대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천자혜 (세브란스병원 적정진료관리실) ;
  • 신현주 (세브란스병원 적정진료관리실) ;
  • 김양수 (세브란스병원 간호국) ;
  • 신혜선 (세브란스병원 가정간호사업소) ;
  • 김인숙 (세브란스병원 보험심사팀) ;
  • 정혜경 (세브란스병원 의료정보팀) ;
  • 김영아 (세브란스병원 의료정보팀) ;
  • 채형기 (세브란스병원 입원원무팀) ;
  • 박인영 (강남세브란스병원 적정진료관리실)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연구배경: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척추관 협착증 환자들은 주로 60세 이상의 고령환자로 장기간의 입원 시 기회 감염의 증대와 불필요한 의료비의 증대를 가져오게 되며, 수술 후 환자들의 재원일수의 증가는 병원의 병상가동률을 감소시키고, 전공의에게는 불필요한 업무를 증가시킨다. 연구목적: 비용 효과면에서 최적화된 진료 지침의 개발은 불필요한 의료비의 감소 및 Hospital Induced Complication을 줄여 환자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각 환자에 대한 전공의 업무를 줄일 수 있다. 의료기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2,075병상의 종합전문요양기관 연구방법: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의 척추관 협착증 환자의 처방을 비교하여 최적의 표준진료지침을 개발하고 최종적으로 CP Master Program(EMR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환자에게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CP 적용 전, 후 비교를 통해 재원일수는 3.8일이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라 병상 가동률 및 진료수익이 증가했으리라고 예상되며 현재 비교 검토 중이다. 또한, CP 개발 및 CP Master Program의 사용을 통한 전공의 업무 감소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