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기성과

Search Result 1,19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ers and the long-term orientation of Intermediaries in Korea: Using the SOR Model (수출업체와 한국 유통업체의 장기적 지향성 연구: SOR 모델을 중심으로)

  • Joon-Ho Shin
    • Korea Trade Review
    • /
    • v.48 no.3
    • /
    • pp.151-176
    • /
    • 2023
  •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role performance of local distributors within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SOR) model, while also considering the moderating influence of market competition on the organism (O) and response (R) elements. Adopting a holistic approach, the SOR model provides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analyzing how external stimuli, including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 unfairness, interact with internal psychological processes, such as perceived unfairness, to shape the long-term orientation of importing agents. Moreover, this study acknowledges the pivotal role of market competition in the operational context of local distributors. It posits that competitive market dynamics play a crucial role in intens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factors and the long-term orientation of distributors, thereby revealing contingent effects within the SOR model.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se dynamics, this study contributes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interplay among external stimuli, internal psychological processes, and market competition within the SOR framework, advancing our knowledge in this field.

Determinants for Long-term Cooperation Between Public Research Institute and SMEs (출연(연)과 중소기업의 장기적 협력을 위한 영향요인 분석: 출연(연)의 인력파견사업을 중심으로)

  • Song, Minkyoung;Park, Beom 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3
    • /
    • pp.654-665
    • /
    • 2017
  • It is major strategy for SMEs to cooperate with other companies or Public Research Institutes(PRIs) as the essential technology is getting more complicated and technological life cycle is getting short. However, It is not easy to perform a proper cooperation with SMEs for PRIs, because they are accustomed to support SMEs in the short run.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also have mainly focussed on finding determinants of performance as a consequence of temporary cooperation instead of long-term relationships among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which satisfaction is more effective to maintain the long-term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PRIs and SMEs. As a result, it has found that when SMEs satisfy from quality of input like manpower supports R&D and context of the support program over the output like technological or economical performance, they intend to continue cooperation with PRIs. And this paper shows that the performance has mediated effect rather direct effect on long-term cooperation intention. In light of all the above, to cooperate with SMEs effectively, it will be suggested that PRIs enhance quality of support process and contents instead of quantity of support based on one-time cooperation.

Discharge Measurement Characteristics Analysis in 2006 (2006년 전국 유량측정 성과 분석)

  • Han, Myoung-Sun;Hwang, Seok-Hwan;Jung, Sung-Won;Kim, Hyeong-Ryeol;Lee, Jae-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64-1869
    • /
    • 2007
  • 국내 수문자료의 경우 지금까지 자료의 정확성과 관련하여 많은 지적이 있어왔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에서는 유량자료의 정확도를 높이고 전국의 수자원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유량측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연구에 지원하였으며, 수문관측 매뉴얼을 작성하였고, 각 홍수통제소의 유량측정 과제지시어의 측정 기준 강화를 통해 유량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자료를 바탕으로 유량측정 검증시스템의 적용 결과에 따른 유량측정성과, 수위-유량관계곡선 및 유량자료의 개선된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유량측정 검증시스템은 유량측정 기준 강화에 따른 유량측정 성과 개선 파악 및 각각 유량측정성과의 기본특성 검토, 이상치 여부 판별 및 평가 등 유량측정성과의 검증, 개선된 방법론에 따른 수위-유량관계곡선의 작성, 환산된 유량자료의 평가 및 평가 결과 개선이 필요한 경우 수위-유량관계곡선을 반복 재작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해당지점의 향후 유량측정시 보완 사항을 파악함으로써 장기 수문관측의 정확도를 높이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기본이다.

  • PDF

보험설계사의 역량, 조직지원과 성과에 관한 연구

  • Lee, Sin-Bok;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161-164
    • /
    • 2021
  • 생명보험산업 중 MDRT이라는 조직은 보험설계사 중에서 뛰어난 실적을 올린 사람 중 클레임이나 사회적으로 문제점이 없는 사람들이 가입하는 모임으로 보험업계에 설계사들은 MDRT 조직의 회원을 목표로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목표는 인간 행동원인을 설명하는 가장 기본적인 동기변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취와 직접적 관련이 있다. 목표에 대한 성취는 개인적 목표와 일치할 때만 행동을 활성화 시킨다. 관련 연구들은 목표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래목표를 설정하고 달성 정도를 점검을 통해서 미래목표가 현재와 미래 간의 관계를 설정하도록 도와준다고 하였다(Miller & Brickman, 2004). 이는 보험업계에서 MDRT의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보험산업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과정에서 보험설계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제한적일 수 있으며, 조직의 지원이 실질적인 성과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보헙업에서 개인역량과 조직의 지원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며, 더불어 목표지향성은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여성창업자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Ji, Sang-Cheol;Hwang, Bo-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27-130
    • /
    • 2018
  • 국내에서는 장기 경기침체로 인해 여성들이 창업시장에 도전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 여성창업자들을 위한 민관중심의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창업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시행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여성창업자들이 창업을 통해 성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는데, 개인적인 역량이나 업무적인 역량외에 여성만의 가지고 있는 특징을 독립변수로 선택하여 여성기업의 창업성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여기에 창업기업들에게 정부가 지원하는 정책적인 요인도 조절효과로 추가하여 여성창업자의 창업성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에 참여하여 답한 내용중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부정확한 표기를 한 설문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총 212명의 여성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설문을 통해 결과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여성창업자 개인의 특성에 따라 창업성과에 (+)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창업자의 업무적 특성인 독창성, 아이디어, 자원분배역량, 지도역량, 네트워크 구축, 인맥확보등이 여성창업자의 창업성과에 모두 정 (+)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창업자만의 특성인 경력단절 유무와 결혼유무에 대해서는 회귀분석을 통한 나타난 결과는 창업성과와 무관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효과인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은 여성의 창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효과가 여성창업자의 다른 독립변수를 능가할 만한 효과로 나타나지는 않아서 정부의 여성창업자에 대한 정책지원이 좀 더 보강되고 확장되어야만 창업의 성과가 더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 PDF

The Influence of Cooperation Elements on the Joint R&D Performance: Focused on IT R&D Project (공동연구성과에 협력요소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T R&D를 중심으로)

  • Oh, Jin-Hwan;Koo, Hoonyoung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3 no.1
    • /
    • pp.23-36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elements and the performance of joint R&D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collaborative efforts. Cooperation elements consist of strategic agreement, complementation of resources, trust and absorption capacity, and influence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joint 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cooperation elements and collaborative efforts on the short-term and long-term performance of the joint R&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verified that strategic agreement, complementation of resources, trust and absorption capacity constitute the second order factor of cooperation elements, which positively affects the joint R&D performance. Second, it is verified that collaborative effort play a role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int R&D performance and cooperation elements.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positive effects on short-term performance of the joint R&D can be increased through cooperative efforts. However, in the case of long-term performance,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efforts could not be confirmed.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Government R&D Projects for SMEs (중소기업 R&D지원사업의 효율성과 효과성 분석)

  • Bae, Young Im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2 no.2
    • /
    • pp.77-104
    • /
    • 2014
  • Government R&D support for SMEs is very important and the R&D budget is also increasing. This study suggests a new method for analyzing a performance of R&D programs and analyzes the performance of R&D programs funded by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using the method. We discuss new measures "efficiency" that means short-term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that means long-term performance. Weights based on the R&D programs' characteristics among the various sub-indicators of two measures were derived, and then the final scores were calculated by combining the weights with the responses on the indicators. Finally, this study tests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R&D programs statistically. As a results, efficiency of R&D programs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D programs, while effectiveness does not. Most of the efficiency scores are low, whereas the effectiveness scores are high. The results explain that the R&D programs are managed inefficiently. However, most SMEs predict a positive impact of government R&D supports on effectiveness in the long term. Government needs to t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D supports because SMEs cannot expect sustainable performance with no improvement in efficiency.

Monitoring of Long-Term Behavior of The Continuous IPC Girder Bridge (IPC거더 연속교의 장기거동 모니터링)

  • Lee, Hong-Woo;Ahn, Jeong-Seang;Kim, Kyoung-Won;Yu, Sa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04a
    • /
    • pp.349-352
    • /
    • 2008
  • IPC girder is more prestressed and has smaller sectional area than the conventional PSC-I type girder due to incremental prestressing along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continuous IPC girder bridge may have problems in serviceability and stresses at internal supports because it is very flexible. In this paper, The long-term behavior of the continuous IPC girder bridge is studied through long-term structural analysis and monitoring the deflections. The long-term behavior is monitored right before the introduction of 2nd prestressing that is the construction proces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PSC-I type girder bridge. The total station of high-precision was used in measuring the deflections.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so far, the continuous IPC girder bridges does not show remarkable long-term behavior like severe camber or deflection and the measured deflections are very similar to the results of long-term structural analysis.

  • PDF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성과와 향후 추진방향

  • 원병출;조창연;이광석;이병욱;고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1018-1025
    • /
    • 1998
  • 본 고에서는 지난 40여년간 우리나라 원자력 연구개발의 변천 및 추진과정을 시대별로 분석·정리하였다. 또한 1992년부터 착수된 원자력 연구개발 중·장기 계획의 성과와 자원 투입실적을 한국원자력연구소의 연구활동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현재 2단계 수행중인 동 계획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추진방안을 연구기획 및 관리시각에서 제시하였다.

  • PDF

미국 신용카드 시장에서의 독점금지법 사례

  • 박병형
    • Journal of Korea Fair Competition Federation
    • /
    • no.85
    • /
    • pp.2-13
    • /
    • 2002
  • 미국 신용카드 시장에서의 독점금지법 관련 사건들에서 쟁점이 되는 것은 구체적이고 명시적인 행동이나 규칙인 경우가 보통이며, 가령 가격이나 이윤과 같은 시장 성과 자체가 문제시된 경우는 없다는 점이다. 흔히 단기적인 시장성과에 대한 표면적 관측에 따라서 정책적 대응이 이루어지는 경향이 없지 않은 우리 현실에 비추어 되씹어볼만한 점이다. 장기적으로는 시장구조 요인들의 개선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겠지만, 단기적으로는 인위적인 경쟁제한 요소들의 제거에 정책목표를 한정함이 옳다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