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기기억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s it necessary to distinguish semantic memory from episodic memory\ulcorner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은 필요한가)

  • 이정모;박희경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1 no.3_4
    • /
    • pp.33-43
    • /
    • 2000
  • The distinction between short-term store (STS) and long-term store (LTS) has been made in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processing. Memory system theorists have argued that memory could be conceived as multiple memory systems beyond the concept of a single LTS. Popular memory system models are Schacter & Tulving (994)'s multiple memory systems and Squire (987)'s the taxonomy of long-term memory. Those m models agree that amnesic patients have intact STS but impaired LTS and have preserved implicit memory. However. there is a debate about the nature of the long-term memory impairment. One model considers amnesic deficit as a selective episodic memory impairment. whereas the other sees the deficits as both episodic and semantic memory impairment. At present, it remains unclear that episodic memory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semantic memory in terms of retrieval oper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declarative memory and nondeclarative memory would be the alternative way to reflect explicit memory and implicit memory. The research focused on the function of frontal lobe might give clues to the debate about the nature of LTS.

  • PDF

선물의 수익률과 변동성에 대한 장기기억 효과 분석

  • Lee, Jeong-Hyeong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4a
    • /
    • pp.103-110
    • /
    • 2004
  • 본 논문에서 한국선물시장의 변동성과 수익률에 대한 장기기억의 경험적 근거를 보이기 위해 일별 수익률과 변동성에 대하여 장기기억성의 추정과 검정을 실시하였다. Geweke and Porter-Hudak(1983)의 반비모수적 추정법을 이용하여 장기기억모수를 추정하였으며 추정결과 수익률은 장기기억효과가 없었으며, 변동성에서 장기기억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ractional Differencing, Long-memory Dynamics, and Asset Pricing (분수차분 장기기억과정과 증권의 가격결정)

  • Rhee, Il-Ki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8 no.1
    • /
    • pp.1-21
    • /
    • 2001
  • 주가가 장기기억과정에 의하여 생성되면 주가과정에 가해진 충격은 쌍곡선감소율로 소멸한다. 따라서 충격의 영향이 대단히 느리게 감소하여 충격이 지속성을 가진다. 반면 주가가 단기 기억과정을 따르면 지수율로 감소하여 소멸한다. 지수율감소는 충격의 영향을 급속히 소멸시키므로 충격의 영향이 조만간 소멸한다. 따라서 충격으로 변화된 주가는 평균으로 회귀한다. 충격의 영향이 영원히 존재하는 과정도 존재한다. 장기기억과정은 쪽거리차분과정 또는 분수차분과정이다. 차분모수가 분수일 것이 요구되는 시계열은 장기기억과정이다. 주가가 장기기억과정에 의하여 생성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정하였다. 장기기억과정을 형성시키는 차분모수는 분수차분모수이다. 일별 주가지수의 수익률을 사용하여 차분모수를 추정하였는 바 그 값이 0에 근접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Kospi, Nasdaq과 Mib30은 장기기억모수가 0에 접근하고 있으나 0이 아니다. 따라서 이 지수들은 장기기억과정에 의하여 생성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Dow Jones, S&P 500와 Dax는 장기기억모수가 0이라는 가설이 기각되지 않고 있어 이 지수들은 단기기억과정을 따르고 있다. 따라서 평균회귀과정에 의하여 생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Value-at-Risk Estimation of the KOSPI Returns by Employing Long-Memory Volatility Models (장기기억 변동성 모형을 이용한 KOSPI 수익률의 Value-at-Risk의 추정)

  • Oh, Jeongjun;Kim, Sunggo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6 no.1
    • /
    • pp.163-185
    • /
    • 2013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need to employ long-memory volatility models in terms of Value-at-Risk(VaR) estimation. We estimate the VaR of the KOSPI returns using long-memory volatility models such as FIGARCH and FIEGARCH; in addition, via back-testing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obtained VaR with short memory processes such as GARCH and EGARCH. Back-testing says that there exists a long-memory property in the volatility process of KOSPI returns and that it is essential to employ long-memory volatility models for the right estimation of VaR.

세 국가(國歌)의 복잡도 및 장기기억 속성의 비교

  • Park, Yeong-Seon;Cha, Gyeong-Jun;Park, H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221-226
    • /
    • 2005
  • 우리나라의 애국가(愛國歌), 일본(Kimigayo) 그리고 미국국가(The star-spangled Banner) 등에 대해서 악보가 갖는 고유정보를 카오스적 접근 방법인 근사엔트로피(approximate entropy)와 허스트(Hurst) 지수를 이용하여 각각 음계(scale)의 복잡도(複雜度)와 장기기억속성(長期 記憶 屬性)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던 바, 애국가가 상대적으로 복잡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세 국가 모두 장기 기억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속적인(persistent) 성향은 일본국가가 가장 컸다.

  • PDF

Forecasting Long-Memory Volatility of the Australian Futures Market (호주 선물시장의 장기기억 변동성 예측)

  • Kang, Sang Hoon;Yoon, Seong-Mi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4 no.2
    • /
    • pp.25-40
    • /
    • 2010
  • Accurate forecasting of volatility is of considerable interest in financial volatility research, particularly in regard to portfolio allocation, option pricing and risk management because volatility is equal to market risk. So, we attempted to delineate a model with good ability to forecast and identified stylized features of volatility, with a focus on volatility persistence or long memory in the Australian futures market. In this context, we assessed the long-memory property in the volatility of index futures contracts using three conditional volatility models, namely the GARCH, IGARCH and FIGARCH models. We found that the FIGARCH model better captures the long-memory property than do the GARCH and IGARCH models. Additionally, we found that the FIGARCH model provides superior performance in one-day-ahead volatility forecasts. As discussed in this paper, the FIGARCH model should prove a useful technique in forecasting the long-memory volatility in the Australian index futures market.

주가시계열의 무한분산과 장기의존성

  • Lee, Il-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2 no.1
    • /
    • pp.1-17
    • /
    • 2006
  • 쇄신의 분산이 무한인 주가시계열이 장기의존성 과정에 의하여 생성되고 있는가 또는 생성되고 있지 않는가를 검정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가 쇄신의 분산이 유한한 경우에 한정하여 장기의존성 주가 과정에 대한 장기기억성이 검토되어왔다. 이 논문에서는 쇄신의 분산이 유한한 경우와 무한한 경우에 다같이 적용되는 방법들을 한국종합주가지수의 일별수익률에 적용하여 장기기억 모수를 추정 검정한다. 추정방법으로서는 분수 가우스 잡음, 가우스 분수적분 자기회기 이동평균, 선형 분수안정잡음 등이 형성되는 상황에 절대값 방법, 분수 방법과 총량화 Whittle 방법을 사용한다. 한국종합주가지수의 일별대수수익률 시계열은 분산이 무한한 경우에도 장기의존성과정에 의하여 생성되고 있다. 극치가 존재해도 장기기억과정이 형성 되고 있다.

  • PDF

쪽거리와 장기기억

  • Lee, Il-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2 no.1
    • /
    • pp.1-17
    • /
    • 1995
  • 경제에 미친 충격이 경제에 일시적 영향을 미치고 사라지며 그 영향력이 곧 소멸하고 마는 경우와 영구히 존속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경제에 불현듯 다가와 영향력을 행사한 충격이 일시적으로 존재하고 사라지느냐 아니면 영원히 또는 장기적으로 존재하느냐 하는 것은 경제 현상을 시계열적으로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충격이 경제 내에 장기기억으로 존재한다면 경제 현상은 경제가 시작되는 순간부터 현재까지의 충격들의 결합적 집합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적분확률과정의 모수 d가 정수를 갖지 않고 비정수를 갖을 때의 ARIMA(p, d, g)process, 즉 ARFIMA(p, d, q)process의 비정수차분 모수 d를 추정 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비정수차 분모수의 추정과 검정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주가가 충격을 받았을 때 이 충격을 금시 해소시키고 버리는지, 또는 장기적으로 기억하여 항상 주가에 반영시키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periodogram 방법과 lag window 방법을 다같이 사용하여 차분모수 d를 추정하고 표준오차를 계산하여 d의 추정치에 대한 기각여부를 검정한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은 충격에 대한 장기기억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발견은 충격적이다.

  • PDF

A Study on the Short Term Internet Traffic Forecasting Models on Long-Memory and Heteroscedasticity (장기기억 특성과 이분산성을 고려한 인터넷 트래픽 예측을 위한 시계열 모형 연구)

  • Sohn, H.G.;Kim, S.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6 no.6
    • /
    • pp.1053-1061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time series forecasting models for internet traffic with long memory and heteroscedasticity. To control and forecast traffic volume, we first introduce the traffic forecasting models which are determined by the volatility and heteroscedasticity of the traffic. We then analyze and predict the heteroscedasticity and the long memory properties for forecasting traffic volum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ffic, Fractional ARIMA model, Fractional ARIMA-GARCH model are applied and compared with the MAPE(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Criterion.

The Long Term Memory Effects of Virtual Reality Edutainment with HMD (가상현실교육게임의 장기기억효과)

  • Lee, Daeyoung;Lee, Seungje;Jeong, Eui J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8 no.2
    • /
    • pp.69-76
    • /
    • 2018
  • HMD makes big issues about virtual reality in these days. Experience of virtual reality may cause different effects with experience of real world, so this is the reason why comparison studies are needed. There are many works about usefulness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but most of studies were considered as special training. This study was started for the long term memory effect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game. Difference study of memory between real world education game and virtual reality education game shows virtual reality system has smaller diminution of memory than real world. And environment existence was defined as a main effect of long term memory through the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