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잠재적 요인

Search Result 94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Generalized Adaptive Deep Latent Factor Recommendation Model (일반화 적응 심층 잠재요인 추천모형)

  • Kim, Jeongha;Lee, Jipyeong;Jang, Seonghyun;Cho, Yoonho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1
    • /
    • pp.249-263
    • /
    • 2023
  • Collaborative Filtering, a representative recommendation system methodology, consists of two approaches: neighbor methods and latent factor models. Among these, the latent factor model using matrix factorization decomposes the user-item interaction matrix into two lower-dimensional rectangular matrices, predicting the item's rating through the product of these matrices. Due to the factor vectors inferred from rating patterns capturing user and item characteristics, this method is superior in scalability, accuracy, and flexibility compared to neighbor-based methods. However, it has a fundamental drawback: the need to reflect the diversity of preferences of different individuals for items with no ratings. This limitation leads to repetitive and inaccurate recommendations. The Adaptive Deep Latent Factor Model (ADLFM) was developed to address this issue. This model adaptively learns the preferences for each item by using the item description, which provides a detailed summary and explanation of the item. ADLFM takes in item description as input, calculates latent vectors of the user and item, and presents a method that can reflect personal diversity using an attention score. However, due to the requirement of a dataset that includes item descriptions, the domain that can apply ADLFM is limited, resulting in generalization limitations. This study proposes a Generalized Adaptive Deep Latent Factor Recommendation Model, G-ADLFRM,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ADLFM. Firstly, we use item ID, commonly used in recommendation systems, as input instead of the item description. Additionally, we apply improved deep learning model structures such as Self-Attention, Multi-head Attention, and Multi-Conv1D. We conducted experiments on various datasets with input and model structure changes.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only the input was changed, MAE increased slightly compared to ADLFM due to accompanying information loss, resulting in decreased recommendation performance. However, the average learning speed per epoch significantly improved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processed decreased. When both the input and the model structure were changed, the best-performing Multi-Conv1d structure showed similar performance to ADLFM, sufficiently counteracting the information loss caused by the input change. We conclude that G-ADLFRM is a new, lightweight, and generalizable model that maintains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ADLFM while enabling fast learning and inference.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Determinants between Behavioral Intentions of Existing and Potential Customers in Cruise Tourism -Focusing on the Region of Incheon- (크루즈관광에서 기존-잠재 고객간 행동의도 결정요인 차이에 관한 연구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 Kim, ByungIl;Kim, HongSeop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8 no.4
    • /
    • pp.39-57
    • /
    • 2012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and marketing variables such as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which are regarded as its determinants. And then this study has suggested what service factors shall be emphasized to induce the latent customers. And it has grouped strategic Schemes on which service variables shall be focused to enhance the existing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s. This study has found, to the existing customers, only physical environments among 3 dimension components of Service quality significantly affects to the Behavioral intentions. Priorly, marketing efforts, namely, expansion of convenient facilities such as special berth construction is necessary. To the latent customer, service delivery is the most powerful factor to the behavioral intentions. Consequently, frequency of cruise calling, Facilities of shopping and eating, issues and their development of cruise goods and publicity and promotions are needed.

Validation of Science Self-Efficacy Scale for Pre-Service Teachers and Latent Mean Analysi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과학적 자기 효능감 척도 타당도 검증과 배경 변인별 잠재평균분석)

  • Lee, Hyundong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1 no.1
    • /
    • pp.65-78
    • /
    • 2022
  • This study aims to 1) verify the validity of the Science self-efficacy scale and 2) perform a latent mean analysis of the background variables about a pre-service teacher. The study uses pre-tests to analyze data from 187 pre-service teachers, which uses Tark's Science self-efficacy scale (2011). To identify the factor structu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ilot test, the expert group council revised the scale for the pre-service teachers to respond to the 3-factor structure. In the main test, 354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modified Science self-efficacy scale, an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ilot test, the pre-service teacher responded to a 3-factor instrument, but the validity of two items was examined further below.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to a 3-factor instrument on 29 items for the modified Science self-efficacy scale. The total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886 and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was analyzed as .882-.886. Finally, the latent mean analysis by gender showed that females have a higher self-regulation efficacy factor and males have a higher self-confidence factor (Cohen's d > .3). Furthermor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factor (Cohen's d > .8) between the college preparatory and science subject preference.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nsights into and contributions to the accurate scientific self-efficacy diagnosis of pre-service teachers, as well as proposes a curriculum to improve the scientific self-efficacy of prospective teachers.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Bus Service Evaluation (버스의 서비스평가 구조모형에 관한 연구)

  • 김갑수;도군섭;권대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7
    • /
    • pp.135-14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2개의 사례지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서비스평가 구조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가설로서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 등을 통해 구성된 '질적서비스에 대한 인식', '이동성에 대한 인식 '환승에 대한 인식', '경제성에 대한 인식'이란 인지서비스(Perceived service)를 나타내는 4개의 잠재변수는 '개인속성'과 '교통특성'이란 잠재변수의 영향을 받으며, 상호 구조적인 관계를 가지고 전반적인 만족도로 대표되는 '서비스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모형추정결과, 기초적합지수(GFI)가 상인·월성 0.864, 지산·범물 0.807로 나타났고, 조정 적합지수 (AGFI)는 상인·월성 0.823. 지산·범물 0.759로 나타나 적합성은 대체로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두 지역 모두에 있어서 잠재변수 간이나 잠재변수와 관측변수간의 인과계수의 유의성도 2, 3개의 인과계수를 제외하면 모두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모형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상인·월성의 경우, 운전기사에 대한 인식치가 '서비스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며, 요금수준과 더불어 직접적으로 '서비스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타 편리성, 쾌적성, 시설 및 운영성이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지산·범물의 경우, 쾌적성, 시설 및 운영성, 편리성이 '서비스평가'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질적서비스에 대한 인식'은 버스의 현행 요금수준과 대기시간에, 그리고 유의성이 높다고 할 수 없지만 이용자의 연령과 버스이용빈도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actors Associated with Latent Delinquent Classe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들의 잠재적 일탈집단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Hyun, Anna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0 no.1
    • /
    • pp.197-234
    • /
    • 2009
  • Typological theories of offending postulate that childhood-onset delinquents have a high likelihood of being serious and chronic offenders and that there are a distinct set of risk factors predicting early-onset antisocial behaviors. It is useful to empirically classify children into subgroups based on their deviant behaviors because it helps us to identify unique factors associated with each subgroup. Using the first two waves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Elementary School Data, this study aimed(a) to empirically classify 5th graders into latent delinquent subgroups, and (b) to examine the impact of individual, familiar, school, and peer factors on the latent delinquent classes. Latent class analysis yielded three latent classes based on 15 indicators of deviant behaviors - delinquent class, low-level delinquent class, & normative class. The results from multivariat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being male, reporting low self-control, coming from poor family, high association with deviant peers, and being bullied increased the risk of being in the delinquent class. Moreover, low self-control, aggression, domestic violence, low level of attachment to teachers, and deviant peers independently increased the risk of being in the low-level delinquent class compared to the normative clas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implications for practice as well as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한·중·일의 산업별 이산화탄소 배출구조와 배출요인 비교 분석 - 동북아지역 국제환경협력을 위한 모색 -

  • Jeong, Hyeon-Si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7 no.1
    • /
    • pp.85-117
    • /
    • 1997
  • 이 논문에서는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구체화 될 경우 동아시아에서 잠재적 상호 협력 대상국이 될 수 있는 한국, 중국, 일본을 대상으로 그리고 논의의 주요한 시기적 기점이 되는 1990년에 대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추정하고 삼국간의 배출량의 차이를 산업별로 비교하고 그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인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여기서 중국은 지구온난화 가스 배출에 있어서도 세계에서 주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한국은 새로운 OECD 회원국이 된 대표적인 신흥공업국으로서 지구 온난화 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적 압력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일본은 동아시아에서 환경문제에서도 유일한 선진국으로서 국제적 협력관계에서 지원국의 입장에 서게 될 것이라는 점에서 각각 중요한 의의가 있다. 한편 1990년은 1992년의 지구온난화 협약에서 논의의 기준연도이기도 하지만 한국과 일본에서 산업연관분석 통계가 이용 가능한 최근의 연도이기도 하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 이용 가능한 1987년도 산업연관분석 통계자료가 사용되었으며, 삼국에 대해 각각 에너지 및 이산화탄소 배출 원단위 통계 등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추정 및 배출 요인의 비교 분석이 이루어 졌다.

  • PDF

EDI 시스템 구현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이동만;김병곤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 no.1
    • /
    • pp.177-201
    • /
    • 1996
  • 오늘날 우리사회는 컴퓨터기술과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정보사회로의 이행이 급속히 진전되고 있으며, 기업들은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정보기술을 이용한 경영혁신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정보시스템의 기능이 조직의 내부에서 점차적으로 조직외부의 고객과 공급자 그리고 경쟁자 등으로 그 초점이 이동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조지간에 통신망기술로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조직간정보시스템(Interorganizational System : IOS) 은 산업의 구조를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 기업에 잠재적 경쟁우위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조직간정보 시스템이 특수한 형태인 전자자료교환(Electronic Data Interchange : EDI) 시스템은 표준양식에 의한 기업간의 거래문서를 전자적으로 컴퓨터와 컴퓨터간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교환하는 것으로서, 기업간 정보거개의 혁신적인 개선과 업무절차의 간소화에 의한 생산성의 향상 및 업무의 효율성 증대 등 획기적인 성과를 가져온다. 본 연구의 목적은 EDI 시스템의 성공적 구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에 대한 중요도 순위를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EDI 시스템의 개념을 살펴본후, EDI 시스템구현의 성공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주요요인들을 연구자별로 분류하여, 본 연구에서 조사하고자 하는 요인들을 설정한다. 다음으로 EDI를 이용하고 있는 국내기업의 70여개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본 연구에서 조사하고자 하는 19가지 주요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n Intention to Adopt NFTs Using UTAUT (UTAUT를 활용한 NFT 잠재적 수용자의 수용의도 영향요인 연구)

  • Cho, Kwang-Hyun;Lee, Won-b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3
    • /
    • pp.17-34
    • /
    • 2022
  • Although NFTs are a new technology with a fast-growing industry, the studies for consumer protection and promotion are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that affect intention to use NFT based on the UTUAT model, additionally, moderating effect of NFT types and crypto investment experience. Subjects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potential NFT users. Th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performance expectations, network externality, and innova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is not suggested. With low awareness, the tendencies of subjects lead to adoption rather than technical understanding.

Psychopathy as a Risk Factor of Crime (잠재적 범죄위험요인으로서의 정신병질(psychopathy))

  • Soo Jung Lee;Hae-Hong Huh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0 no.2
    • /
    • pp.39-77
    • /
    • 2004
  • This literature review introduced the concept of psychopathy which has never been defined academically in Korea. Also it is reviewed how this concept could be applied as latent factor of criminal behavior in the forensic settings.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periodical change of psychopathy definition was explored. Then it was investigated which determinants might develop psychopathy and what would b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psychopaths. Finally, risk assessment tools measuring psychopathy were introduced and their predictive efficacy and applicability in Korean criminal justice system was discussed.

  • PDF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Gang, Seong-Il;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39-44
    • /
    • 2020
  • 본 연구는 농촌융복합산업에 관심이 있는 예비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인들의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 발현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농촌융복합산업 예비창업자들이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이라는 의사결정을 하는데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농촌융복합산업 창업도 창업의 한 형태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는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하였으며, 이를 위해 창업연구 분야에서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 사용되는 연구분석틀을 응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잠재적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자들인 예비농업인들의 창업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관련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예비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자들이 현재의 환경 하에서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을 고려할 때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들로서 개인적요인과 외부적요인으로 귀농지역적 요인, 정책적요인을 선정하였다. 이후 선행연구 및 정책적 자료들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인 개념을 정립하고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선택된 연구의 변수들인 내적 개인특성, 외부 환경요인, 정책적요인,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들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의미 있는 이론적 및 정책적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인 농촌융복합산업 예비창업자 개인적 요인과 외부적인 지역적요인, 정책요인을 변수로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표본의 일반적 특성과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연령, 현재 회사에서 맡고 있는 업무분야, 기업규모, 성별, 학력, 농촌융복합산업 유형, 근무경력 등 인구통계적 특성이 개인의 농업·농촌 관심도와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집단간 비교분석을 통해 알아볼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