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잠복기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6초

수면시작 기준의 차이에 의한 수면잠복기반복검사결과의 변화 (Changes in Multiple Sleep Latency Test Results according to Different Criteria of Sleep Onset)

  • 임세원;복기남;이헌정;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11권2호
    • /
    • pp.80-83
    • /
    • 2004
  • 목 적:수면잠복기 반복검사(Multiple sleep latency test, MSLT)는 주간 졸림증을 측정하는 객관적 방법으로 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미국 수면학회의 MSLT guideline에서는 수면의 시작을 최소 1개 epoch의 1단계 수면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여전히 상당수의 수면센터에서는 수면의 시작을 위해 3개 epoch 이상의 1단계수면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두가지 다른 기준의 적용에 의해 수면잠복기반복검사의 결과에 어느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고 보다 타당한 수면시작기준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1999년 4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고려대병원 수면다원검사실에서 시행한 수면잠복기 반복검사중 60건(300 nap)의 수면잠복기 반복검사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동일한 수면잠복기 반복검사기록을 각기 1개 epoch 기준과 3개 epoch 기준을 적용하여 수면잠복기를 기록후 이를 통계적 방법으로 비교하였다. 결 과:전체 60명의 MSLT 중 수면시작의 기준을 달리 적용했을때 평균 수면잠복기 결과가 달라진 경우는 20명으로 33.3%였으며 3개 epoch 기준에 비해 1개 epoch 기준을 적용시 단축되는 평균수면잠복기의 변화율은 최소 1.3%에서 최대 38.5%으로 평균값은 15.9%였지만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아니였으며 수면잠복기가 상대적으로 긴비기면병군이 기면병군에 비해 변화가 발생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결 론:다른 수면시작기준의 적용에 따라 수면잠복기결과의 변화가 나타났으나 졸림증의 정도가 중등도이상인 경우 그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것은 아니였다. 하지만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졸리움을 보다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이라는 측면에서는 1개 이포크기준이 보다 타당할 수 있겠다.

  • PDF

2006년-2008년 삼일열 말라리아환자의 잠복기 연구 (Estimation of the incubation period of P. vivax malaria in Korea from 2006 to 2008)

  • 나경아;최일수;김용국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6호
    • /
    • pp.1237-1242
    • /
    • 2010
  • 1993년에 한국에서 재출현한 삼일열 말라리아는 현재 매년 2000여명의 환자를 발생시키고 있는 전염병이다. 질병관리본부의 2006-2008년 환자 자료를 이용하여 장 단기 잠복기의 평균과 분산을 구하고, 각각을 감마분포 모델과 정규분포 모델과 비교 하였다. 말라리아 비위험지역 거주자 중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으로 30일 이내의 여행을 통해 감염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해외여행을 다녀왔거나 예방약을 복용한 사람은 제외하였다. 여행 기간의 중간 날짜를 모기에 물린 날로 가정하고, 발병일과의 차이를 계산하여 이를 잠복기로 추정하였다. 그 결과 단기잠복기와 장기잠복기의 두 가지 패턴이 나타났으며, 각각의 평균은 25.42일, 328.6일이었다. 장기잠복기를 대수정규분포 모델로 표현한 결과 추정된 평균은 5.78509, 표준편차는 0.140988 이었다.

Force Platform을 이용한 평형성 훈련이 중추신경계 손상자의 자세조절 및 중추 감각신경전도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lance Training using Force Platform on Postural Control and Central Somatosensory Pathway in Adults with C. N. S. Disorders)

  • 김유섭;강효영;김태윤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1권3호
    • /
    • pp.71-79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균형 훈련이 중추신경계 손상자들의 자세 조절 및 중추감각신경전도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중추신경계 손상자로써 실험군 10명, 통제군 10명 등 총 20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군은 본 연구의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12주간 force platform을 이용하여 균형훈련을 실시토록하였다. 자세조절 변인의 측정은 운동처치 전, 처치 후 8주 및 12주 후에 대상자들의 동적 및 정적 자세에서의 흔들림을 Dynamic Balance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체성감각 유발전위의 말초신경 근위부 유발전위$(N_9)$ 잠복기, 척수 유발전위$(N_{13})$ 잠복기, 뇌 유발전위 $(N_{20})$ 잠복기는 Neurotec을 이용하여 측정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적 자세 조절 요인의 경우, 좌우 흔들림과 전후 흔들림은 실험군에서 8주 후부터 유의하게 (p<.05) 감소하였고,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운동처치 8주 및 12주 후에 각각 유의하게(P<.05, P<.01) 흔들림이 감소하였다. 2. 전후 이동면과 전후 기울기면에서 동적 자세 조절의 변화는 전후 이동면에서 좌우 흔들림과 전후 흔들림은 실험군에서 8주 후부터 유의하게 (P<.05) 감소하였으며,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운동처치 8주 및 12주 후에 각각 유의하게 (P<.05, p<.01) 흔들림이 감소하였다. 3. 체성감각 유발전위의 잠복기 변화는 실험군과 통제군에 있어서 말초신경 근위부 유발전위$(N_9)$ 잠복기와 척수 유발전위$(N_{13})$ 잠복기가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실험군에 있어서 뇌 유발전위 $(N_{20})$ 잠복기는 8주 후부터 유의하게 (P<.05)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2주의 균형 훈련은 자세 조절에 있어서 전후와 좌우의 흔들림을 감소시킴으로써 정적인 상태나 동적인 상태에서의 자세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자세 조절에 필요한 항중력근의 긴장성 수축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근육 긴장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으로 신경근 조절 기능의 향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뇌 유발전위 $(N_{20})$ 잠복기의 증가는 중추신경계의 감각기능의 신경학적 회복을 의미하는 것으로 중추신경계의 감각 운동통합에도 영향을 미쳐 운동기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이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손목터널증후군 진단 시 F파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Validity of F wave for Diagnosis of Carpal Tunnel Syndrome)

  • 박종권;강지혁;김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90-298
    • /
    • 2017
  • 본 연구는 초기 손목터널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의 정중신경(median nerve)과 자신경(ulnar never)의 및 F파를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여 초기 손목터널증후군의 진단에서 F파가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경전도검사 결과의 주요 지표인 말단잠복기, 말단진폭, 손바닥-손목 구간의 감각신경전도속도 및 F파 잠복기를 대조군과 t-test 검정으로 비교분석하고, 또한 주요 지표간의 상관성 분석을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조군과 초기 손목터널증후군 환자의 정중신경 말단잠복기 비교에서 두 군 간에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정중신경의 감각신경전도속도 비교에서는 대조군과 손목터널증후군 간의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p<0.001). 후기반응검사인 F파 잠복기 분석에서 정중신경의 경우 대조군과 손목터널증후군간 높은 유의성(p<0.001)을 보였으나, 자신경의 경우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는 감각신경전도속도와 말단잠복기, F파와 말단잠복기에서 모두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F파는 말단잠복기, 감각신경전도속도와 같이 손목터널증후군의 진단에 있어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개에서 뒤쪽 경골신경자극에 의한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SEPs)의 측정 (Determination of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SEPs) by Posterior Tibial Nerve Stimulation in Dogs)

  • 이주명;권오경;남치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88-394
    • /
    • 2000
  • 이 실험은 소형견종에 대한 정상 SEPs의 범위를 알아내기 위해 실시되었다. 임상증 상이 정상인 28두를 대상으로 자극점에서 channel 1 까지의 Pl(LPI), channel 1까지의 Nl (LN1), 자극점에서 channel 2가지의 Pl(TP1), channel 2까지의 N1(TNI)의 절대잠복기와 LP1-TN1` 의 파간잠복기를 알아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이번 실험에서 LPI, LNI, TPI, TNI의 절대잠복기 (absolute latency)의 평균값은 2.69$\pm$0.31 msec, 4.91$\pm$0.49m/sec, 4.64$\pm$0.39 msec, 5.21$\pm$0.42 msec 띠었다. LP1과 TN1 사이의 파간절대잠복기의 핑균값은 2.52$\pm$7.19 msec 이었다. 측정 치들을 속도로 변환하였을 경우 다음과 같았다. 측, LPI, LNI. Tfl, TNI 그리고 LP1-TN1 에서의 속도의 평균값은 각각 93.11$\pm$ 8.58 m/sec, 50.99$\pm$ 5.36m/sec. 80.18$\pm$ sec, 71.31$\pm$4.79m/sec그리고 49.50$\pm$3.58m/sec 이었고. 71.66m/sec, 37.79m/sec, 65.75m/ sec, 59.33 m/sec, 40.55m/sec 의 최저속도를 초과하였을 때 정상범위로 간주하였다. LPI, LNI, TPI,TN1까지의 절대잠복기와 자극전극에 시 측정전극가지의 거리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LP1, LN1, TP1, TN1의 상관계수는 각각 0.621, 0.494. 0.577,0.618 이었다 요추에서 기록된 SEPs갈은 LP1의 상관계수가 LN1 보다 높았으며 흉추에서 기록된 SEPs값은 TN1의 상관계수가 TP1보다 높았다. LP1과 TN1의 파간잠복기와 channel 1과 2의 거리차이와의 상관계수는 0.571이다. 따라서 LPI, LNI. TPI, TNI그리고 LPI-TNI 들의 최저속도를 이용 하여 척수 손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정상인에서 조도와 굴절이상도에 따른 시유발전위 검사 값의 변화 (The Changes of VEP Values According to the Luminance Conditions and Refractive Errors in Normal Persons)

  • 임현성;이군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11-117
    • /
    • 2007
  • 약시의 진단 및 치료와 자각하지 못하는 영유아의 시력검사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VEP 검사는 검사실 조도와 굴절이상도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에서 조도와 굴절이상도에 따라 나타나는 시유발전위(VEP) 검사값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안과 및 신경질환이 없는 시력이 1.0(20/20) 이상인 성인 41명(남자 24명, 여자 17명)을 대상으로 조도와 굴절이상도에 따라 VEP $P_{100}$ 잠복기와 진폭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cotopic 상태에서 $N_{75}$ 잠복기는 $75.83{\pm}3.69$ msec, $P_{100}$ 잠복기는 $103.48{\pm}5.34$ msec, $P_{100}$ 진폭은 $14.86{\pm}2.43$ msec이며, photopic 상태에서 $N_{75}$ 잠복기는 $76.71{\pm}3.11$ msec, $P_{100}$ 잠복기는 $107.26{\pm}5.54$ msec, $P_{100}$ 진폭은 $10.35{\pm}1.75$ msec으로 측정되었다. Photopic 상태에서 $P_{100}$ 잠복기와 진폭은 scotopic 상태에서보다 모두 증가하였으며 두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1). 굴절이상을 유발한 경우 $P_{100}$ 잠복기는 scotopic 및 photopic 상태에서 모두 정시상태보다 지연되었으며(p<0.01), photopic 상태에서 더 많이 지연되었다. $P_{100}$ 진폭도 굴절이상을 유발한 경우 scotopic 상태와 photopic 상태에서 모두 정시상태보다 감소하였다. 정시상태의 $P_{100}$ 잠복기와 진폭은 scotopic 상태에서는 근시를 유발한 상태 값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정상인의 경우에 $P_{100}$ 잠복기와 진폭은 검사실 조도에 따라, 굴절이상도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는 VEP 측정 시에 조도와 굴절이상도를 고려하여 측정값을 해석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리라 생각된다.

  • PDF

전처리가 CVD 텅스텐의 핵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Pretreatments on the Nucleation of CVD Tungsten)

  • 김의송;이종무;이종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권6호
    • /
    • pp.443-451
    • /
    • 1992
  • 반응성 스팟터법에 의하여 형성된 TiN막 표면상에 CVD 텅스텐막을 증착할 때 여러가지 전처리 실시에 따른 텅스덴의 핵 생성 양상의 변화를 비교 조사하였다. 먼저 Ar rf 스팟터에칭 전처리는 에칭 두께가 200A 이상일 때에는 잠복기와 증착속도를 증가시킨다. Ar 이온주입 전처리는 잠복기를 증가시켜 텅스텐의 핵 생성에는 불리한 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증착속도는 증가시킨다. 또한 Si$H_4$flushing 전처리는 TiN막 표면에서의 Si의 흡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잠복기를 약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 PDF

경수 신경근병증 진단에서의 H-reflex의 유용성 (Utility of H-reflex in the Diagnosis of Cervical Radiculopathy)

  • 이준;박건주;도현철;박승권;정윤석;하정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11-122
    • /
    • 1997
  • 정상 성인에서 상지로 부터 H-반사가 유발될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또 상지에서의 H-반사 검사가 경수 신경근병증의 진단에 유용한지를 알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정상 성인 31명을 대상으로 좌우 62개의 요측수근굴근, 요측수근신근, 상완요골근, 소지외전근의 H-반사를 검사하여 잠복기와 interlatency time을 구하였고 경수 신경근병변을 가진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H-반사를 검사하였다. 정상군에서 요측수근신근의 H-반사의 잠복기의 평균은 $15.99{\pm}1.25$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68{\pm}0.71$ msec이었으며 interlatency time은 평균치가 $13.93{\pm}1.32$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73{\pm}0.62$ msec 이었다 요측수근굴근의 H-반사의 잠복기의 평균은 $16.16{\pm}1.65$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47{\pm}0.48$ msec이었고 interlatency time의 평균치는 $13.91{\pm}0.99$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49{\pm}0.47$ msec 이었다. 상완요골근의 경우는 H-반사의 잠복기의 평균치가 $16.47{\pm}1.59$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가 $0.63{\pm}0.43$ msec 이었고 interlatency time의 평균치는 $14.68{\pm}1.61$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79{\pm}0.71$ msec 이었다. 소지외전근에서의 H-반사의 잠복기의 평균치는 $24.46{\pm}1.42$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59{\pm}0.42$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59{\pm}0.42$ msec이고 interlatency time의 평균치는 $22.31{\pm}1.24$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19{\pm}0.44$ msec를 보였다. 정상군에서는 팔 길이와 키가 커짐에 따라서 H-반사의 잠복기가 길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경수 신경근병변을 가진 12명중 11명에서 H-반사 검사상 이상 소견을 보였으며 제 6,7 경수 신경근 병변을 보인 5명중 4명에서 요측수근굴근의 H-반사의 이상 소견을 보였고, 제 7 경수 신경근병변을 보인 4명 모두에서 요측수근굴근과 요측수근신근에서의 이상 소견을 보였다. 제 5 신경근병변을 보인 환자 1명에서 상완요골근에서의 이상 소견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정상 성인에서 상지로부터 H-반사가 측정할 수 있으며, H-반사의 잠복기는 팔 길이와 키에 연관이 있음을 알았다. 또 경수 신경병증의 진단에 H 반사가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