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ility of H-reflex in the Diagnosis of Cervical Radiculopathy

경수 신경근병증 진단에서의 H-reflex의 유용성

  • Lee, Jun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Gun-Ju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Doo, Hyun-Cheol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Sung-Geon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Jeong, Yun-Seog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Hah, Jung-Sang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이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 교실) ;
  • 박건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 교실) ;
  • 도현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 교실) ;
  • 박승권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 교실) ;
  • 정윤석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 교실) ;
  • 하정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 교실)
  • Published : 1997.06.30

Abstract

H-reflex is a kind of late respons which can be used for the proximal nerve conduction study. Also it is a useful and widely used nerve conduction technique es to look electrically at the monosynaptic reflex. Although recordable from all muscles theoretically, H-reflexes are most commonly recorded from the calf muscles following stimulation of the tibial nerve in the popliteal fossa. But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ablish the normal data an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H-reflex study in cervical radiculopathy. H-reflexes were recorded from flexor carpi radialis (FCR) muscle, extensor carpi radialis (ECR) muscle, brachioradialis (BR) muscle, and abductor digiti minimi (ADM) muscle in 31 normal adults (62 cases) and 12 patients with cervical radiculopathy. The mean values of H-reflex latency in normal control group were $16.16{\pm}1.65$ msec in FCR; $15.99{\pm}1.25$ msec in ECR; $16.47{\pm}1.59$ msec in BR; $24.46{\pm}1.42$ msec in ADM. And the mean values of side to side difference of H-reflex latency were $0.47{\pm}0.48$ msec in FCR; $0.68{\pm}0.72$ msec in ECR; $0.63{\pm}0.43$ msec in BR; $22.31{\pm}1.24$ msec in ADM. Mean values of side to side differences of interlatency time were $0.49{\pm}0.47$ msec in FCR; $0.73{\pm}0.62$ msec in ECR; $0.79{\pm}0.71$ msec in BR; $0.69{\pm}0.44$ msec in ADM.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reflex latency between right and left side. H-reflex tests in patient group with cervical radiculopathy revealed abnormal findings in 11 out of 12 pati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reflex in the upper extremity would be helpful in the diagnosis of the cervical radiculopathy.

정상 성인에서 상지로 부터 H-반사가 유발될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또 상지에서의 H-반사 검사가 경수 신경근병증의 진단에 유용한지를 알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정상 성인 31명을 대상으로 좌우 62개의 요측수근굴근, 요측수근신근, 상완요골근, 소지외전근의 H-반사를 검사하여 잠복기와 interlatency time을 구하였고 경수 신경근병변을 가진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H-반사를 검사하였다. 정상군에서 요측수근신근의 H-반사의 잠복기의 평균은 $15.99{\pm}1.25$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68{\pm}0.71$ msec이었으며 interlatency time은 평균치가 $13.93{\pm}1.32$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73{\pm}0.62$ msec 이었다 요측수근굴근의 H-반사의 잠복기의 평균은 $16.16{\pm}1.65$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47{\pm}0.48$ msec이었고 interlatency time의 평균치는 $13.91{\pm}0.99$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49{\pm}0.47$ msec 이었다. 상완요골근의 경우는 H-반사의 잠복기의 평균치가 $16.47{\pm}1.59$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가 $0.63{\pm}0.43$ msec 이었고 interlatency time의 평균치는 $14.68{\pm}1.61$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79{\pm}0.71$ msec 이었다. 소지외전근에서의 H-반사의 잠복기의 평균치는 $24.46{\pm}1.42$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59{\pm}0.42$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59{\pm}0.42$ msec이고 interlatency time의 평균치는 $22.31{\pm}1.24$ msec, 양측 차이의 평균치는 $0.19{\pm}0.44$ msec를 보였다. 정상군에서는 팔 길이와 키가 커짐에 따라서 H-반사의 잠복기가 길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경수 신경근병변을 가진 12명중 11명에서 H-반사 검사상 이상 소견을 보였으며 제 6,7 경수 신경근 병변을 보인 5명중 4명에서 요측수근굴근의 H-반사의 이상 소견을 보였고, 제 7 경수 신경근병변을 보인 4명 모두에서 요측수근굴근과 요측수근신근에서의 이상 소견을 보였다. 제 5 신경근병변을 보인 환자 1명에서 상완요골근에서의 이상 소견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정상 성인에서 상지로부터 H-반사가 측정할 수 있으며, H-반사의 잠복기는 팔 길이와 키에 연관이 있음을 알았다. 또 경수 신경병증의 진단에 H 반사가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