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the incubation period of P. vivax malaria in Korea from 2006 to 2008

2006년-2008년 삼일열 말라리아환자의 잠복기 연구

  • Nah, Kyeong-Ah (Department of Mathemat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i, Il-Su (Department of Applied Mathemat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Yong-Kuk (Department of Mathemat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10.01
  • Accepted : 2010.11.20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Based on the detailed travel history of cases from 2006 to 2008 who reside in non-malarious areas, statistical estimates of the incubation periods were obtained. The data suggest that cases fall into two categories with short- and long-term incubation periods, respectively. 72 and 25 cases successfully met our criteria for inferring the durations of short- and long-term incubation periods. The mean short- and long-term incubation periods were estimated to be 25.42 days and 328.6 days weeks, respectively.

1993년에 한국에서 재출현한 삼일열 말라리아는 현재 매년 2000여명의 환자를 발생시키고 있는 전염병이다. 질병관리본부의 2006-2008년 환자 자료를 이용하여 장 단기 잠복기의 평균과 분산을 구하고, 각각을 감마분포 모델과 정규분포 모델과 비교 하였다. 말라리아 비위험지역 거주자 중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으로 30일 이내의 여행을 통해 감염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해외여행을 다녀왔거나 예방약을 복용한 사람은 제외하였다. 여행 기간의 중간 날짜를 모기에 물린 날로 가정하고, 발병일과의 차이를 계산하여 이를 잠복기로 추정하였다. 그 결과 단기잠복기와 장기잠복기의 두 가지 패턴이 나타났으며, 각각의 평균은 25.42일, 328.6일이었다. 장기잠복기를 대수정규분포 모델로 표현한 결과 추정된 평균은 5.78509, 표준편차는 0.140988 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문경애, 신임희, 김달호 (2000). 로그정규분포의 상등에 관한 베이지안 검정. <한국데이타정보과학회지>, 11, 269-277.
  2. 박병구, 윤상철, 서호철 (1996). 스트레스에 의존하는 척도모수를 가진 대수정규 가속 수명시험의 최적설계. <한국데이타정보과학회지>, 7, 47-57.
  3. 이우동 (1996). 임의 중단모형에서 최소제곱법을 이용한 와이블분포의 모수 추정. <한국데이타정보과학회지>, 7, 263-272.
  4. 전명식 (2006). <수리통계학> (제3판), 자유아카데미, 서울.
  5. 정대현, 김주성, 원동규 (2000). 와이블 모형의 모수추정에서 분할법의 효율성. <한국데이타정보과학회지>, 11, 295-302.
  6. 질병관리본부. (2008). 2008 말라리아 관리지침.
  7. Anderson, R. M. and May, R. M. (1991). Infectious diseases of humans: dynamics and control, Oxford, New York.
  8. Chai, J. Y. (1999). Re-emerging plasmodium vivax malaria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37, 129-143. https://doi.org/10.3347/kjp.1999.37.3.129
  9. Lee, J. S., Kho, W. G., Lee, H. W., Seo, M. and Lee, W. Ja. (1998). Current status of vivax malaria among civilian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36, 241-248. https://doi.org/10.3347/kjp.1998.36.4.241
  10. Nishiura, H., Lee, H. W., Cho, S. H., Lee, W. G., In, T. S., Moon, S. U., Chung, G. T. and Kim, T. S. (2007). Estimates of short- and long-term incubation periods of plasmodium vivax malaria in the republic of Korea.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101, 338-343. https://doi.org/10.1016/j.trstmh.2006.11.002
  11. Park, G. B. and Cha, Y. J. (2006). Three cases of pseudoeosinophilia associated with malaria determined in the sysmex XE-2100 automated hematology analyzer. The Korean Journal for Laboratory Medicine., 26, 77-80. https://doi.org/10.3343/kjlm.2006.26.2.77
  12. Tiburskaja, N. A. and Vrublevskaja, O. S. (1977). The course of infection caused by the North Korean strain of plasmodium vivax. WHO/MAL/77.895,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