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잔존종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8초

해송엽(海松葉) Litter의 분해(分解)와 N, P 및 K의 동태(動態) (Decomposition and,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Dynamics of Pinus thundbergii Needle Litter)

  • 이명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3호
    • /
    • pp.303-310
    • /
    • 1991
  • 해송엽(海松葉) litter의 분해(分解)와 그에 따른 양분방출(養分放出)의 동태(動態)를 일본지방(日本地方)의 해안(海岸) 해송림(海松林)에서 litterbag법(法)으로 조사(調査)하였다. litter의 분해(分解)에 따른 건물중(乾物重)의 소실(消失)은 초기(初期) 1년간(年間)에 빨랐고 그후는 보다 둔화(鈍化)하였으며, 분해(分解) 1년동안의 소실율(消失率)은 약(約) 40%였다. 분해계수(分解係數)는 0.5-6.0, 반감기(半減期)(년(年))는 l.1-l.4의 범위였다. 분해(分解)에 따른 잔존(殘存) litter내의 N과 P의 양분농도(養分濃度)는 경시적(經時的)으로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K의 농도(濃度)는 감소(減少)하였다. K의 양분(養分)의 절대량(絶對量)은 분해(分解)가 진행(進行)하는 동안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N의 절대량(絶對量)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해(分解)에 따른 방출(放出)은 K>P>N의 순(順)이었다. 실험기간중 N의 무기화(無機化) 단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Bacillus circulans가 생산하는 Superoxide Dismutase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tracellular Superoxide Dismutase Produced by Bacillus circulans)

  • Lee, Sang-Ok;Tae-Ho Le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381-387
    • /
    • 1987
  • 생체 내에서 $O_2$를 특이적으로 제거시켜 줌으로써 의학적 응용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진 superoxide dismutase(SOD)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이 효소의 활성을 여러 속의 세균을 대상으로 검토해된 결과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낸 Bacillus circulans를 본 실험의 공시균주로 선택한 다음 SOD의 최적 생산 조건을 설정하였다. SOD의 생산은 각 세균에 따라서 양적인 차이는 있으나 종 및 속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의 생산 조건은 탄소원으로서 1% glucose, 질소원으로서 2% polypeptone, 무기염으로서 0.1% NaCl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양호하였고 최적 pH는 6.0이었다. 이상의 조성을 가진 배지를 500$m\ell$용 진탕 플라스크에 100$m\ell$을 넣어 3$0^{\circ}C$ 에서 20시간 호기적 배양을 하였을 때 효소 생산 및 균체량이 최대에 도달하였다. 조효소액은 극히 불안정하여 안정제의 검토가 불가피하였다. 안정제로서는 최종농도가 5% 되도록 ethyl alcohol을 첨가한 경우가 효과적이었으며 pH 안정성은 pH5.0인 acetate buffer에서 가장 안정하였다. 이상의 조건 하에서 조효소액은 20일 이상 동안 약 80%의 잔존활성을 가지고 비교적 안정한 상태로 유지되었다.

  • PDF

표고 액체종균 배양시 배지와 균사체의 양분변화 (Changes of Nutrients in Media and Mycelia on Liquid Spawn Culture of Lentinula edodes)

  • 심규광;유영진;구창덕;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4-14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으로 표고 액체종균을 생산하기 위하여, 액체배지에 폭기방법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대두박을 첨가하여 표고균사체 생장량과 잔존 배양액의 유리당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폭기방법은 균질화된 표고균사가 생장하면서 서로 뭉치지 않고 균질하게 증식하고, 대두박 첨가는 대수기 이후에도 지효성 질소영양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었다. 배양 중 침전 균사체의 중량은 13일째에 가장 많았으며, 배양용기의 배출구에서 이산화탄소 농도는 13일째에 가장 높았다. 상층 수용액에서 환원당은 폭기 12일째에 거의 소비되었다. 그리고 배양균사체에서 총질소(T-N)량은 폭기 배양 13일째에 최고 수준이며, 키틴함량과 5종의 유리당 중에서 수크로즈함량은 폭기 배양 18일째에 가장 높았으나, 에르고스테롤 함량은 폭기 배양 22일째에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경우 표고액체 종균으로서 사용 적기는 균사활력이 가장 왕성하고 균체량이 많은 배양 18일째로 판단되었다.

다발성 무치근 치아에 대한 치과적 처치 (DENTAL CARE FORE MULTIPLE ROOTLESS TEETH : A CASE REPORT)

  • 이미숙;이긍호;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6-322
    • /
    • 2001
  • 감각신경아세포종으로 생후 1년 6개월부터 약 1년간 6주기의 화학요법과 생후 1년 6개월에 29회에 걸친 방사선 조사(AP 4540 R+LAT 1080 R : total 5620 R)를 받은 후, 후유증으로 상악치아 및 상악골의 발육장애를 보이는 10세 남아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관찰 및 치료 후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성장중인 어린이에서 악성종양의 치료를 위한 방사선 조사는 연조직 및 경조직(골, 연골, 치아)등의 성장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시술 전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2. 치배의 손상은 치관 및 치근의 형성장애를 유발하고 이에 따라 치조골의 성장장애가 나타나므로 치근이 없는 치아일지라도 치조골의 흡수를 억제하기 위하여 hawley type의 부분의치 등을 이용하여 잔존시켜야 한다. 3. 향후 성장이 완료된 이후(만 18세 이상)에 무치근 치아 및 무치악 부위에 틀니(denture)나 임플란트 등의 보철수복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종이포장재로부터 잠재적 휘발성 오염물질의 기체상을 통한 식품으로의 이행 (Migration of Potential Volatile Surrogate Contaminants from Paper Packaging into Food through Gas Phase)

  • 최진옥;이광수;이동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917-920
    • /
    • 2004
  • 포장재에 잔존하는 인쇄 관련 유기용매가 식품으로 포장공간을 통하여 이행되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품포장을 모사한 이행실험 시스템을 구성하여 이행가능오염 물질의 기체를 통한 식품으로의 이행량을 측정하였다. 포장식품에서 잠재적인 오염물질 중 인쇄와 관련한 유기 용매 중 비교적 휘발성이 높은 toluene p,m,o-xylene 등을 종이 포장재에 오염시키고, 이를 식품시료와 함께 밀폐 용기내에 두고, 이들 유기용매가 얼마나 식품으로 이행되는지를 측정하였다. 대표적 식품으로서 식품성분특성에 따라 당질, 단백질, 지방이 주 구성성분인 식품으로서 카라멜, 우육포, 버터를 선정하여 10, 25, 4$0^{\circ}C$의 조건에 평형상태의 이행정도를 측정하였다. 휘발성 유기 용매의 이행은 지방성 식품에서 아주 높게 이루어졌으며, 당질 식품인 카라멜의 경우 실험온도의 범위에서 37∼56%의 행율을 보였고, 단백질 함량이 높은 우육포에서는 37∼77%의 이행률을 나타내었다. 온도의 영향은 우육포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 경우 고온에서 높은 이행비율을 보였다. 용매 종류에 따라서는 이행정도에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미생물을 이용한 원유 회수증진법에 대한 동향연구 (Brief Review on Microbial Enhanced Oil Recovery)

  • 오경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010-1019
    • /
    • 2021
  • 유전에 매장된 석유는 1차, 2차, 그리고 3차에 걸쳐 회수된다. 3차 회수로 분류된 공법 중 미생물을 이용한 원유 회수증진법은 크게 in-situ와 ex-situ 공법으로 나눌 수 있다. In-situ 공법은 미생물을 저류층에 직접 투입하여 미생물의 대사활동을 통한 원유의 회수를 유도하는 공법이다. 대사물질 중 바이오 계면활성제는 저류층 잔존 유분의 유동화에 큰 역할을 한다. 한편, ex-situ 공법은 외부에서 미생물의 대사물질을 추출하여 저류층에 투입하여 원유를 회수하는 방법이다. 두 가지 공법 모두 친환경적이지만, 보다 경제적인 in-situ 공법이 선호된다. 미생물을 이용한 원유 회수증진법은 오랜기간 검토되었음에도, 현재까지도 파일럿 규모에서 여전히 평가가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in-situ 공법에 적용가능한 미생물 중 박테리아의 종 특성과 대사물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균일용액침전법에서 수세여부와 건조온도가 망간이 첨가된 바륨헥사알루미네이트의 제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Wash and Dry Temperature in Homogeneous Precipitation Method on the Manufacture of Mn-added Barium Hexaaluminates)

  • 박지윤;김서영;이영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9권3호
    • /
    • pp.435-442
    • /
    • 2021
  • 요소를 이용한 균일용액침전법으로 망간이 첨가된 바륨 헥사알루미네이트를 제조하였다. 합성 후 수세 여부와 건조온도에 따른 영향을 열중량분석, X선 회절분석과 장방출 주사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수세하지 않은 여과단계만 거친 소성촉매가 수세단계를 거친 소성촉매보다 순수한 헥사알루미네이트 상을 얻을 수 있었다. 건조과정 동안 합성 후 잔존한 요소가 전구체에 탈수과정을 도와 주요 금속종인 깁사이트를 순수한 헥사알루미네이트로 변환되기 쉬운 보에마이트로 상변이에 영향을 주었다. 제조된 촉매의 메탄 연소성능 평가는 WO200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모든 촉매연소반응에서 NOx가 배출되지 않았다. 헥사알루미네이트는 최고 CO 배출량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lip Chip Non-wet 개선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한 Low Residue Flux 구현 방안 연구 (A Study on Low Residue Flux for Improving Flip Chip Non-wet and Reliability)

  • 이현숙;김민석;김태훈;문기일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45-50
    • /
    • 2021
  • Flip chip 제품의 난이도 증가에 따라 solder wetting 및 신뢰성 관점에서 강점을 갖는 flux 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용성 flux의 경우 별도의 세정 공정이 없기 때문에 공정 효율화 측면에서 유리하나, 리플로우 공정이후 반응을 마친 잔여물이 잔존하게 되는 경우 Cu migration 및 delamin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잔사 flux 구현을 위해 신규 resin에 적합한 solvent 및 activator를 변경 하였으며, package 환경에서 non-wet 및 신뢰성 개선 유무를 확인하였다. 저장 안정성 평가를 통해 신규 소재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였으며, boiling point가 상이한 solvent와 activator 2종 적용 및 activator 함량 증대를 통해 non-wet 미 발생 flux 소재를 확보하였다. 해당 소재에 대한 신뢰성 검증 이후 평면 분석 결과 flux residue 기인성 delamination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저잔사 flux에 대한 최종 조성을 확보하였다.

솔레노이드에 의해 정렬된 강섬유가 휨파괴 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igned Steel Fibers by a Solenoid on Flexural Fracture Behavior)

  • 이규필;문도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193-20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전자기장 노출을 통한 강섬유의 방향 정렬 방법이 휨파괴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강섬유의 방향을 휨공시체의 종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는 규모의 솔레노이드를 설계, 제작하였다. 설계강도 30MPa의 강섬유보강콘크리트 휨공시체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전자기장에 노출한 공시체와 노출하지 않은 공시체로 구분하여 휨파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는 강섬유의 혼입률과 형상비로 하였다. 실험결과, 전자기장에 노출된 시험체의 휨강도, 최대하중에서의 개구변위가 미소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파괴에너지의 증가가 명확하게 확인되었다. 잔존강도의 증가가 파괴에너지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악동에 발생한 비편평세포암의 임상양상 및 치료성적 (A Clinical Review and Results of Treatment in Non-squamous Cell Tumor of the Maxilla)

  • 김세헌;김광문;최은창;금기창;고윤우;홍원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2-190
    • /
    • 1998
  • 1) 저자들이 경험한 상악동의 비편평세포암은 선양낭성 암종이 4례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선암종 3례, 미분화세포암 3례, 횡문근육종 2례, 골육종 1례, 이행세포암종 1례, 신경내분비세포암종 1례, 섬유성조직구암종이 1례였다. 2) 경부림프절 전이는 총 16례중 횡문근육종 1례와 선양낭성암종 1례에서 있었으며, 모두 종양의 T병기가 T4인 경우였다. 경부림프절 전이가 없었던 경우는 선양낭성 암종1례를 제외하고는 선택적 경부곽청술은 시행하지 않았으며, 추적 관찰도중 원발병소 치료후 경부림프절에서의 잔존암 및 재발은 없었다. 3) 선양낭성암종의 경우, 4례중 3례에서는 수술적 절제를 하였고, 1례에서는 방사선치료후 구제수술을 시행하였으며, 3례가 무병생존 중으로 광범위한 수술적 제거와 더불어 상악신경 하악신경 및 비디안신경을 통한 전파 및 미세잔존암이 의심될 경우 방사선 치료의 병합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4) 선암종의 경우 3례중 2례는 low-grade로서 수술과 방사선 치료의 병합요법을 시행하여 무병생존 중이고 1례는 high-grade로서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하여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후 구제수술을 한 경우로 현재 유병생존 중으로 광범위한 수술적 절제와 더불어 진행된 병기의 경우 방사선 치료의 병합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5) 미분화세포암의 경우 3례중 2례는 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후 구제수술을 시행하였고, 1례는 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의 병합요법만을 시행한 경우로 이중 2례가 무병생존 중으로 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에 비교적 잘 반응하며, 절제 가능한 잔존암이 남아 있는 경우 구제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6) 횡문근육종과 골육종의 경우 3례중 2례에서 광범위한 수술적 제거후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였으며, 현재 무병생존 중이고, 1례는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을 시행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육종의 경우 광범위한 수술적 절제가 가장 좋은 치료로 사료되며, 미세잔존암이 남아있는 경우는 방사선 치료의 병합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