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NTAL CARE FORE MULTIPLE ROOTLESS TEETH : A CASE REPORT

다발성 무치근 치아에 대한 치과적 처치

  • Lee, Mi-Sook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Hee University) ;
  • Lee, Keu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Hee University) ;
  • Choi, Yeo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Hee University)
  • 이미숙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긍호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최영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1.05.31

Abstrac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used on pediatric oncology patients often causes dentofacial anomalies. Defects noted include tooth and root agenesis, root thinning, root shortening, localized enamel defect and maxillofacial underdevelopment. The effect of radiotherapy usually is confined to the radiation site but the effect of chemotherapy may be more wide spread becuase of its systemic distribution. Many pediatric cancers are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radiation and multiagent chemotherapy. Dental treatment affected by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damage to developing teeth and maxilloface includes retention of teeth, space maintenance, prosthetic considerations, requirements for oral hygiene. The following case related to multiple rootless teeth.

감각신경아세포종으로 생후 1년 6개월부터 약 1년간 6주기의 화학요법과 생후 1년 6개월에 29회에 걸친 방사선 조사(AP 4540 R+LAT 1080 R : total 5620 R)를 받은 후, 후유증으로 상악치아 및 상악골의 발육장애를 보이는 10세 남아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관찰 및 치료 후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성장중인 어린이에서 악성종양의 치료를 위한 방사선 조사는 연조직 및 경조직(골, 연골, 치아)등의 성장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시술 전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2. 치배의 손상은 치관 및 치근의 형성장애를 유발하고 이에 따라 치조골의 성장장애가 나타나므로 치근이 없는 치아일지라도 치조골의 흡수를 억제하기 위하여 hawley type의 부분의치 등을 이용하여 잔존시켜야 한다. 3. 향후 성장이 완료된 이후(만 18세 이상)에 무치근 치아 및 무치악 부위에 틀니(denture)나 임플란트 등의 보철수복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