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작은도서관 지원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1초

강동구 도서관에 대한 지역 주민과 도서관 관계자의 인식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Survey of Local Residents and Library Officials about Gangdong-gu Libraries)

  • 임성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53-82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주민, 도서관 사서 및 운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강동구 도서관의 중장기적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강동구 도서관 이용자 및 비이용자 1,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보다 심층적인 의견 수렴을 위해 지역 주민과 공공도서관 및 북카페도서관 사서,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도 실시했다. 그 결과 강동구 도서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생태계 구성을 위한 조정 및 특성화 재정비를 위한 도서관별 역할 정립, 정보사회에 요구되는 시공간 제한이 없는 서비스와 프로그램 도입 필요, 비이용자를 도서관으로 이끌 수 있는 적극적인 홍보, 다양한 관종을 아우를 수 있는 시스템 정비 및 지원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책이음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Activation of Library One Service)

  • 강필수;최시내;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41-16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책이음서비스의 개선 및 발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책이음서비스 참여 지역센터 및 참여 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현황조사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가 책이음서비스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으나, 이용자와 관리자 측면에서의 서비스 개선과 다양한 고려사항이 존재하였다. 특히 미들웨어 서버의 불안정 문제 해결과 규정 개정의 필요성, 이용자 서비스의 확대와 실무 지원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를 위하여 책이음서비스 기능 개선과 신규 서비스 제공, 규정 개정과 관련 지침 개정 등 정책 지원과 서비스 운영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책이음서비스 중장기 발전의 로드맵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 및 운영 실태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Identity and Administration of Toy Library in South Korea)

  • 이종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75-98
    • /
    • 2013
  • 본 연구는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과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51개 장난감도서관 중 도서관법에 의해 설립된 곳은 9.8%(5개)에 불과하고 대부분 자치단체의 장난감도서관 조례(45%) 또는 법적 제도와 관계없이 설립, 운영되고 있다. 설립 목적의 경우에도 82.4%가 장난감 대여와 놀이 자료 제공 및 프로그램 보급, 문화 활동 서비스로 나타날 정도로 도서관법 제2조의 1, 2, 3항의 정의에 따른 동 법에서 말하는 도서관과는 그 정체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도서관법상의 법적 등록기준과 관련하여, 작은도서관 기준으로 건물면적은 96.1%가, 열람석은 92.3%가, 보유 자료는 45.1%가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서배치의 경우는 배치한 곳이 13.7%에 불과하였다. 셋째 예산의 경우 대부분이 소요 예산의 70%밖에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자치단체들이 제정하는 장난감도서관 관련 조례 근거에 도서관법을 포함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장남감도 서관들이 도서관법상의 법적 위상을 가질 수 있도록 도서관법에 의해 등록할 것을 제언하였다. 셋째 장난감도서관 운영을 현실화할 수 있도록 자치단체가 예산을 현실화하여 지원할 것을 제언하였다.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안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Cooperative Network for Public Libraries)

  • 조윤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77-197
    • /
    • 2010
  •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은 도서관법이 제정된 이후 50여년도 되지 않는 짧은 기간 동안 수적으로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미국, 영국, 일본에 비해 1관당 봉사대상인원수는 여전히 많고, 공간, 예산, 인력 등 운영상 제약으로 지식정보서비스의 지속가능한 확대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행정구역권을 중심으로 지식정보서비스 연계와 경영 효율성을 도모하고 있는 영국의 캄덴구, 일본의 대전구(大田區), 한국 부천시의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의 협력 네트워크 모형과 정책 제도적 지원 및 운영 효율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FRBRoo 분석을 통한 FRBR 개념모형의 확장과 개선 (Expanding and Improving FRBR Conceptual Model through FRBRoo)

  • 박지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01-22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FRBRoo 분석을 바탕으로 FRBR 시리즈 개념모형을 확장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FRBRoo는 CIDOC CRM과 연계된 플러그인 온톨로지다. FRBR 모형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박물관 분야와의 협력을 위해 개발된 것이다. 연구 과정에서 FRBR 시리즈 모형이 IFLA LRM으로 통합 개정되었다. 이에 LRM에 대한 분석도 추가하였다. 서지 정보가 도서관의 업무와 이용자를 지원해야 한다면, 도서관이 당면한 새로운 과제를 지원하기 위해 서지정보를 분석하는 방식도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시간과 관련된 이벤트 개념이 서지정보의 모델링에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서지정보의 구축과 교환 단위를 서지레코드보다 더 작은 단위나 더 큰 단위로도 확대해야 하며, FRBRoo를 서지정보의 공유를 위한 외부와의 연계 통로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 대학생의 우울 관련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Related Factors Depression of Korea University Student)

  • 전병진;송보경;고경민;김지윤;박상은;유이슬;이두리;최영주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3-55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울을 연구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우울에 대한 요인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한국 대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0년부터 2014년까지 게재된 국내논문을 연구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누리미디어(DBpia), 한국학술정보(K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국회도서관의 원문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여 2,558개 논문이 수집되었다. 주요 검색용어(Key words)는 '대학생, 우울, 우울요인' 있고 논문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Down & Black(1998)에 의해 개발된 연구의 근거기반수준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문헌들을 메타분석 하였다. 결과 : 최종 분석에 사용된 47편의 연구들을 5개의 요인군(자아존중감, 자살사고, 긍정적사고, 스트레스,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독)으로 나누었다. 각 요인군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사용하여 통계적 이질성, 효과크기, 출판편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5개의 요인 중 자아존중감은 이질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효과크기는 자아존중감과 자살사고가 큰 효과 크기가 있었고, 긍정적사고와 스트레스는 중간 효과크기이며,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은 작은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한국 대학생들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자살에 대한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