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작업 영역 구분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1초

우편물 이미지 획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ostal Image Acquisition System for Sequence Sorting)

  • 송재관;임길택;김두식;남윤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217-1220
    • /
    • 2001
  • 우편물의 자동구분은 우편물을 OVIS(OCR-Video coding Integrated System)에 자동으로 공급하고 우편물의 수취인 주소영역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다음 우편번호를 인식하여 바코드로 변환하여 인쇄하게 되고, 이 우편물은 LSM(Letter Sorting Machine)으로 보내져 BCR(Bar Code Reader)에 의해 인쇄된 바코드를 판독하여 행선지별로 구분하는 과정을 거친다. 주소의 번지 이하 부분은 배달원의 수작업에 의해 최종 배달지점 순서대로 정렬한 다음 배달하게 된다. 이 부분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은 배달원 일일 평균 4 시간에 달하며 원가절감 대상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 부분을 자동화하여 우편물 처리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번지 부분까지 OCR을 이용, 인식하여 우편번호 및 순로 데이터 베이스에서 인식결과에 해당하는 코드를 추출하여 해당 구분 칸으로 우편물을 분류하는 방식을 택하면 집배원이 우편물을 배달하는 순로까지 자동으로 정렬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은 수취인 주소영역의 주소부분을 자동판독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한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 PDF

환경디자인의 공간연출방법에 관한 연구 - 크리스토의 환경작업을 사례로 (A Study on the Method of Space-direction in Environmental Design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hristo′s Environmental Works -)

  • 오경환;정수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175-185
    • /
    • 2001
  • 본 연구는 크리스토의 작업을 사례로 하여 환경디자인에 있어서 공간연출의 의미와 그 형태를 다루고 있다. 환경디자인에 있어서 공간연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형식을 다루기는 힘들다. 특히 이러한 측면에서 발생하는 환경예술과 디자인의 영역의 구분 역시 매우 모호하다. 이에 여기에서는 크리스토의 작품을 사례로 하여 적용되는 공간연출의 형식을 살펴보고 환경디자인에 있어 필요한 방법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크리스토의 작업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환경포장, 환경설치, 환경분할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공간연출방식은 연극적이며, 과정-참여적이며, 장소성이 강조됨과 동시에 다양한 오브제를 활용방식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의 작업에서 나타난 환경적 오브제연출, 상황으로서의 공간연출이나 공간연출을 구조화하는 방식은 환경디자인에 있어서 매우 유효하며 아울러 그에 대한 새로운 미학적 가치평가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크리스토의 작업을 통해서 유추해낼 수 있는 공간연출의 방식은 환경디자인의 작업과정에 있어서 매우 유효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지식정보자원 관리를 위한 국내 학술연구정보 평가와 활용방안 연구 (Utilizing & Evaluating Domestic R&D Databases for the Knowledge Management)

  • 유사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21-339
    • /
    • 2003
  • 학술 연구정보의 지식활용을 위한 노력으로 국내 환경공학 R&D 정보의 지식전환 가능성을 조사하였고 그 가능성에 따라 지식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한 고려사항과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연구범위는 정보자원자체의 현황 정보 기술 인프라, 지식기반, 그리고 지식활용 영역의 4개영역으로 구성되었고 각 영역은 세부항목으로 구분되어 총 103개 지식관리시스템의 전환가능성이 조사, 분석되었다. 진단된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소 연계 프로젝트의 공동작업을 수행하고 그 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연구과 정상의 문제해결과 지식전환 시에 예상 가능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 프로세스 중심의 지식관리시 스템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의력이 동작으로 유발된 EEG 코히런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ttention on EEG coherence evoked by movement)

  • 우진철;황민철;김종화;김치중;김용우;김지혜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7-120
    • /
    • 2009
  • 본 연구는 손동작을 하였을 때 집중력이 EEG 코히런스(coherence)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신체에 이상이 없는 대학생 8 명이 시각 자극으로 제시되는 운동 작업을 지시하는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 중 실시간으로 오른손의 요측 수굴근에 센서를 부착하여 EMG 를 측정하였고 국제 10-20 측정법에 의거한 C3 지점과 상하좌우로 2.5cm 떨어진 지점에 5 개의 전극을 부착하여 EEG 를 측정하였다. 운동영역간의 또는 운동영역과 비운동영역 사이의 코히런스 분석을 통하여 동작과 휴식을 구분해 주는 유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개인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코히런스 채널 쌍의 개수에 의해 강한 코히런스와 약한 코히런스로 그룹화 할 수 있었다. 개인별로 차이가 있는 EEG 코히런스의 결과는 동작시의 채널 별 EEG 의 상대적 출현량의 결과와 동일한 패턴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어 주의력에 의한 영향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AHP 분석기법을 이용한 건설현장 취약시간대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of Vulnerable Time in the Construction Site by AHP Analysis)

  • 이문호;윤영근;오태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597-602
    • /
    • 2022
  • 건설 현장에서는 정규 근무시간 외의 야간작업, 조기작업, 점심시간 작업 시 관리감독자나 안전관리자의 부재로 많은 사고가 발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의 안전수준을 측정하고, 작업조건에 대한 전문가집단의 의견을 분석하여 취약시간대 사고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작업조건은 기본조건, 물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생리적 요인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AHP를 통해 결정된 우선순위 고려 대상과 사전에 조사한 근로자의 안전수준에 대해 상관관계를 조사한 후, 요인별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데이컴(DACUM) 기법을 활용한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 분석 (DACUM Job Analysis of Management Teacher of industry-academy cooper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 김종욱;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76-93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데이컴(DACUM) 직무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특성화고 산학협력 부장 교사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를 구성하는 임무와 작업을 도출하여 순서를 매긴 후, 작업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를 정하고 입직 초기에 갖추어야 할 핵심 능력인지의 여부를 구분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직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데이컴 차트를 개발하였다. 데이컴 직무분석을 위한 워크숍은 Level-I 자격증을 소지한 데이컴 분석가 1명, 5년 이상 경력을 가진 데이컴 위원 8명, 서기 1명, 실무자 1명으로 구성하여 이틀동안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란 특성화고 산업수요 맞춤형고 등에서 취업진로지도, NCS 기반 현장실습운영, 산학관관계구축, 대외사업운영, 산학협력행정업무, 담당교과교수 등을 수행하는 보직교사로 정의하였다. 둘째,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 영역은 7개의 임무(duties)와 80개의 작업(tasks)이 도출되었다.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7개 임무는 '취업 진로 지도', 'NCS 기반 현장 실습 운영', '산학관 관계 구축', '대외 사업 운영', '산학 협력 행정 업무', '담당 교과 교수활동', '자기계발'이다. 이들 임무 중 가장 많은 작업은 '담당 교과 교수활동'으로 17개의 작업이 확인되었다. 셋째, 각 작업마다 중요도, 난이도 및 수행 빈도를 정도에 따라 각각 높음(A), 보통(B), 낮음(C)으로 구분하고, 전문가들의 합의를 통해 입직 초기에 갖추어야 할 핵심 능력인지의 여부를 구분하였다. 넷째, 직무 분석 결과를 토대로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데이컴 직무분석 차트를 제시하였다. 또한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에 종사하면서 필요한 일반 지식과 능력, 사용되는 공구, 기계, 자재 및 소모품의 목록을 도출하고, 작업자의 태도와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장래 전망과 특성을 제시하였다.

특성화고 산학일체형 도제교육을 위한 금형제작원의 DACUM 직무분석 (DACUM Job Analysis of Die and mold makers for Apprenticeship educ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 김종욱;김지원;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21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DACUM 직무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특성화고 산학일체형 도제교육을 위한 금형제작원 직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금형제작원의 직무를 구성하는 임무와 수행 작업을 도출하여 순서를 매기기한 후, 수행 작업별 중요도, 난이도, 빈도를 정하고 산업체에 취업할 당시 수행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작업을 구분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직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금형제작원 DACUM 차트를 개발하였다. DACUM 직무 분석을 위한 DACUM 위원회는 Level-I 라이센스를 취득한 DACUM 분석가 1명, 5년 이상 경력을 가진 데이컴 위원 9명, 서기 1명, 실무자 1명으로 구성하여 직무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금형제작원이란 설계된 도면에 따라 원자재와 부자재를 사용하여 가공기계와 공구로써 금형을 사상, 가공, 조립하는 자로 정의하였다. 둘째, 금형제작원의 직무 영역은 12개의 임무(duties)와 86개의 수행 작업(tasks)이 도출되었다. 12개 임무(금형 설계 검토, 원자 부자재 입고 확인, 사출 금형 가공, 가공품 완성 여부 확인, 사출 금형 래핑 습합, 조립 시 사출, 프레스 금형 가공, 프레스 금형 사상 조립, 다이 스포팅, 금형 트라이 아웃, 품질 육성, 금형 출하) 중에서 가장 많은 수행 작업을 도출한 임무는 '프레스 금형 사상 조립'으로 9개의 수행 작업이 확인되었다. 셋째, 각 작업마다 중요도, 난이도 및 빈도를 정도에 따라 각각 높음(A), 보통(B), 낮음(C)으로 구분하고, 전문가들의 합의를 통해 입직 초기에 갖추어야 할 핵심 능력인지의 여부를 구분하였다. 넷째, 직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금형제작원 DACUM 직무분석 차트를 개발하였다. 또한 금형제작원 직무에 종사하면서 필요한 일반 지식과 능력, 사용되는 공구, 기계, 자재 및 소모품의 목록을 끌어내고, 금형제작원의 장래 직업의 전망과 특성을 제시하였다.

불확실한 환경에서 N-R방법을 이용한 로봇 비젼 제어기법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Robot Vision Control Scheme Based on the Newton-Raphson Method for the Uncertainty of Circumstance)

  • 장민우;장완식;홍성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0권3호
    • /
    • pp.305-315
    • /
    • 2016
  • 본 논문은 로봇이 이동하는 동안 장애물이 출현하는 불확실한 환경에서 N-R방법을 이용하여 개발된 로봇 비젼제어 기법의 효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 사용되는 비젼 시스템 모델은 6개의 카메라 매개변수(C1~C6)를 포함한다. N-R방법의 일괄처리기법을 이용하여 사용한 각 카메라에 대한 6개의 카메라 매개변수의 추정을 개발하고, 각 카메라에 대한 6개의 매개변수를 사용한 로봇 관절각 기법을 개발하여 얇은 막대 배치 작업을 수행한다. 특히, 불확실한 환경에서 얇은 막대 배치 작업을 위해 장애물에 의한 불연속 궤적은 시작영역, 중간영역, 타겟 근처 영역 등 3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제안된 로봇 비젼 제어기법을 사용하여 얇은 막대 배치 실험을 통해 각 장애물 영역에서 장애물의 개수 증가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전자제품제조업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sychosocial Stress For Electronical Product Assembly Workers)

  • 문정일;박동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3-104
    • /
    • 2009
  • 본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와 근골격계질환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작업과 반복 작업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전자제품 제조업에 대하여 고용 규모 3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사업장을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 311명은 근골격계질환 관련 자각증상과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KOSS)에 대해 설문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한국인 직무스트레스(KOSS)영역에서 30인 이하의 사업장이 물리적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성결여,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의 영역에서 불만족도가 300인 이상사업장에 비하여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근골격계질환 관련 신체 부위별 증상자를 살펴보면 신체부위 목, 허리에 대한 증상 호소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로자들이 근무중 회사와의 갈등으로 격는 한국인 직무스트레스(KOSS)에서는 물리적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성결여,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에 대하여 30인 미만 사업장 소속 근로자들의 스트 레스 노출정도가 높았다. 다만 KOSS부분에서 근로자들의 개인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관계갈등부분은 약간의 차이로 300인 이상 고용사업장의 근로자에 대한 스트레스 노 출정도가 높았다. 이에 30인 미만 사업장과 같은 영세업종 근로자들에게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의 해소를 위한 예방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스마트폰 기반 경험표집법을 통해 수집된 작업균형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몰입과 정서경험 분석 (Analysis of Flow and Emotional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 Among Type of Occupational Balance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s Based on Smart Phone)

  • 홍승표;유연환;권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227-23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경험표집법을 통해 학생들의 작업균형 유형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몰입과 긍정 부정정서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학생 12명에게 하루 8회, 5일간 경험표집법을 시행하였다. 경험표집법을 통해서 외적경험으로는 주활동을, 내적경험으로는 몰입과 긍정 부정정서 상태를 파악하였고, 주활동의 빈도수에 따라 작업균형유형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작업균형유형으로는 일상생활군 3명, 노동과다군 8명, 작업균형군 1명이었다. 일상생활군에서는 무관심을 경험한 활동이 34%로 가장 높았고, 노동과다군에서는 노동활동에서 몰입을 경험한 활동이 41%로 가장 높았다. 작업균형군에서는 노동과 여가활동의 빈도가 높았지만, 여가활동에서 지루함을 많이 경험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주활동 시 몰입을 경험할 때 긍정정서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균형유형에 따른 작업수행영역별 몰입경험에 차이가 있음과 몰입을 경험하는 활동 시 누적된 긍정정서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