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작업치료학과학생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1초

청소년 작업치료에 관한 작업치료전공 학생들의 인식도 분석: 대한민국과 미국의 비교 연구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wareness of Adolescent Occupational Therapy: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 배수빈;신채림;서효원;이민경;김은택;감경윤
    • 재활치료과학
    • /
    • 제13권1호
    • /
    • pp.23-34
    • /
    • 2024
  • 목적 :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대한민국과 미국에서 작업치료를 전공하는 학생들의 청소년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23년 1월 9일부터 동월 13일까지 대한한국과 미국에서 작업치료를 전공하는 학생 각각 55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와 관련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은 국문과 영문으로 작성되어 해당 국가 학생에게 제공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결과 : '청소년 작업치료를 들어본 적 있는가(Q1)'에 대한 문항에 대한민국 학생은 65.5%가 '있다'라고 답했고, 미국 학생은 58.2%가 '없다'라고 답했다. 양국 학생 모두 '청소년 삶의 질에서 청소년 작업치료의 중요성(Q10)'라는 문항에는 높은 평균점수를, 반면 '청소년 작업치료의 발전 현황(Q11)'에 대한 문항에서는 낮은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청소년 작업치료의 향후 발전 가능성(Q12)'에 대해서는 양국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 .05). 결론 : 양국 학생들은 청소년 작업치료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발전 가능성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작업치료학과 학생의 작업치료 이미지 조사 (A Study on the Image of Occupation Therapy in the Dep.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이혜선;김정미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3-78
    • /
    • 2011
  • 목적 : 본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전문직의 발전을 위한 작업치료이미지 개선을 위함이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광주 전남 소재 4년제 대학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340부의 자료를 수집한 결과 누락된 문항이 포함되거나 손상된 설문지를 제외시키고 316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론 : 1)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작업치료 이미지 인식(M=3.676)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본 연구도구요인 분석은 전문적 이미지, 직업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 헌신적 이미지 4가지로 구조화하였고 그 결과 전문적 이미지(M=3.925)가 가장 높고, 헌신적 이미지(M=3.84), 직업적 이미지 (M=3.774), 사회성 이미지(M=3.160)의 순이었다. 3) 학년별 작업치료 이미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작업치료학과와 물리치료학과 1학년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성취목표 지향성의 특성 (Character of Achievement Goal and Learning Styles of the First year Students i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and Physical Therapy)

  • 노효련;강신욱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5-73
    • /
    • 2012
  • 목적 : 본 논문은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의 전문적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작업치료학과 물리치료학과 신입생들의 성취목표 지향성과 학습유형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대학과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의 작업치료학과와 물리치료학과 일학년 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Kolb의 학습양식검사와 Elliot와 Church의 성취목표척도를 이용하여 학습양식과 성취목표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교차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학습양식에서는 융통자가 가장 많았고 확산자가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3년제와 4년제에서 학습양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 지향성에서는 숙달목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행접근 목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수행회피 목표에서는 물리치료학과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습양식과 성취목표 지향성의 상호관련성에서는 수행회피 목표가 높을수록 집중자의 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업치료학과와 물리치료학과의 신입생들의 성취목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학습양식은 학제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 : 가장 많은 학습양식인 숙달목표의 특성에 맞는 교수법을 개발하고 각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성취목표 지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학생 개개인이 자신의 학습의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PDF

학습자중심 교육 접근을 위한 작업치료학과 학생의 성취목표 지향성과 학업성취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Achievement Goal and Academic Achievement i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for Learner Centered Education Approach)

  • 황기철;노효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138-2143
    • /
    • 2010
  • 본 논문은 작업치료학과 학생의 성취목표 지향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남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의 작업치료학과 학생 10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성취목표척도와 학기말 평점을 이용하였다. 성취목표는 Elliot & Church의 3요인 모텔로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로 구분하였다. 여학생이 세가지 성취목표 모두에서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행접근목표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낮게 나타났다. 성취목표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숙달목표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행회피목표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서, 일반적으로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숙달목표가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정적인 성취목표 지향성이 저하되고 있으며 긍정적인 성취목표 지향성 정도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대한 특성 파악을 통하여 긍정적인 성취목표에 대한 교육접근이 요구된다.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연하재활치료 교육 실태, 지식 및 인식도 조사 (Research for Education Status, Knowledge and Awareness of Dysphagia Therapy Among Occupational Therapy University Students )

  • 민경철;서상민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3호
    • /
    • pp.19-32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및 실습에서의 연하재활치료 교육 실태, 지식, 인식도 및 준비도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국내 작업치료과 및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졸업 년도 학생(3학년, 4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프로그램을 통해 수거된 105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연하재활치료 교육 실태, 지식, 연하재활치료 인식도 및 준비도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지는 빈도 및 기초 통계 분석, 실습 여부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고, 학교 및 실습에서의 교육, 지식, 준비도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연하재활치료 교과목은 단독 개설된 경우가 많았으며(69.5%), 실습 경험은 79.0%였다. 학교와 실습 모두 연하재활치료 교육 및 지식이 보통 정도였으며 학교에서의 교육 점수가 높았다. 지식 및 임상 준비도는 아동보다 성인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하재활치료에 대한 인식, 지식 및 준비도 모두 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연하재활치료 교육 및 지식은 보통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성인 연하재활치료 지식 및 준비도가 아동보다 높았다. 작업치료의 임상 전문분야 중 하나인 연하재활치료에 대한 지식 및 준비도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학교, 실습 교육이 필요하며 학교-임상 연계 교육 과정이 요구된다.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발달재활서비스 및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에 대한 인식도 조사 (Investigating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wareness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and the Accreditation of Sensory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 성라윤;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5-44
    • /
    • 2023
  • 목적 :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발달재활서비스 및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여 감각발달재활 분야의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국 199명의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4일부터 2022년 11월 5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추가 문항은 빈도분석, 발달재활서비스 인식도와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 인식도 문항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one way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발달재활서비스 인식도는 4.50±2.40점,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 인식도는 4.22±2.55점으로 나타났다. 발달재활서비스 인식도는 학년, 아동 관련 실습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 인식도는 학제, 학년, 관련학과 인정여부, 아동관련 실습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 참여한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지역사회에서 발달재활서비스를 제공할 의향 및 감각발달 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을 받을 의향은 높으나 관련 인식도는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성 있는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양성을 위해 학교에서는 발달재활서비스 및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과 관련된 교육과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ChatGPT는 한국작업치료사면허시험에 합격할 수 있을까? (Can ChatGPT Pass the National Korean Occupational Therapy Licensure Examination?)

  • 홍준화;김나연;민혜민;양하민;이시현;최서진;박진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3권1호
    • /
    • pp.65-74
    • /
    • 2024
  • 목적 : 본 연구는 대규모 언어 모델에 기반한 인공지능인 ChatGPT가 한국작업치료사면허시험에 통과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제공하는 2018년부터 2022년도까지의 한국작업치료사면허시험 문항 중 공개되지 않은 작업치료실기 문항을 제외하고 작업치료학기초, 의료관계법규, 작업치료학 문항을 활용하였다. 시험문항과 함께 가장 적절한 정답을 제시하도록 프롬프트를 영어로 구성하였고 이를 입력한 후 ChatGPT가 제시하는 답을 채점하였다. 2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전체 과정을 진행하였으며, 2명의 연구자 채점한 정확도를 평균으로 5개년도의 시험에 대한 합격 여부를 확인하였고 연구자 간 ChatGPT 답에 대한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ChatGPT는 2020년에서만 합격하였고 나머지 4개년도 시험은 탈락권 점수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의료관계법규 문항의 정확도는 25~57% 범위를 보였고 다른 문항의 정확도는 모두 60% 이상을 기록하였다. 또한 의료관계법규 문항을 제외한 연구자 간 ChatGPT는 높은 일치도를 보였으며, 이는 정확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언어나 문화권에 영향을 받는 문항의 경우 아직 ChatGPT를 적용하는 데 제한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후 프롬프트의 최적화 작업과 함께 지속적인 데이터의 학습에 따라 작업치료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학습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일 대학 작업치료학과 학생의 학과선택 시기에 따른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의 차이 (Differences between Major Satisfacti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the Time of Department Selection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at One University)

  • 정경아;조지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143-155
    • /
    • 2015
  •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학과선택 시기에 따른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 및 진로 정체감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카이제곱 겁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과선택 시기에 따라 전공만족도와 진로정체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과 선택 시기가 빠른 경우(고등학교 재학 중)에 그렇지 않은 경우(대입원서 접수 전, 대입원서 접수기간)보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정체감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 진학 후 효율적인 생활지도 및 진로지도를 위해서는 작업치료학과의 특징이 융합된 진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와의 관계 :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of Life Stress to Stress Coping in Health-Related Majors : Focusing o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박경아;이안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53-361
    • /
    • 2020
  • 본 연구는 보건계열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학생들의 심리적 안정 및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다양한 방법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2019년 6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전라도 소재의 5개 대학교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36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대상자가 직접 설문지에 대답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스트레스는 일반적 특성인 성별, 학년, 가족관계, 경제수준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스트레스 대처는 성별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영역인 정서 완화적 대처, 소망적사고 등의 소극적 대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생활스트레스의 하위영역 또한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 영역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성공적인 대학생활, 더 나아가 사회생활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대학생활 동안의 생활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적용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여러 방면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치매안심센터에 대한 인식, 관심 및 요구도 조사 (The Survey on the Awareness, Interest and Need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for the Dementia Care Center)

  • 홍소영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7-47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에 대한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인식, 관심 및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 492명의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8년 07월 01일부터 2018년 07월 31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인식, 관심 및 요구도는 기술통계를 하였다. 학년, 연령에 따른 문항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one way ANOVA와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치매국가책임제 인식도는 $2.61{\pm}1.011$점, 치매안심센터 인식도는 $2.84{\pm}0.9$점 작업치료사의 역할 인식도는 $2.94{\pm}0.9$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치매안심센터에서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성 인식도는 행정 분야 $4.14{\pm}0.7$점, 가족 및 환자 상담 분야 $4.19{\pm}0.7$점, 인지 재활 프로그램 운영 분야 $4.30{\pm}0.6$점이었다. 관심도에서 취업 의사는 $3.42{\pm}0.9$점, 작업치료사의 전망은 $3.90{\pm}0.7$점으로 나타났다. 요구도에서 교육의 충분도는 $2.98{\pm}0.8$점, 실습의 충분도는 $3.07{\pm}0.8$점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에 대한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인식, 관심 및 요구도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치매 전문작업치료사에 대한 기초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