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작업능력지수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6초

건축공사 현장관리자 작업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Work Ability of Building Construction Field Managers)

  • 신정현;이우환;최영화;안성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0-155
    • /
    • 2014
  • 건축공사 현장에서 공사관리를 수행하는 현장관리자의 작업능력은 프로젝트의 성공여부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건축공사 현장관리자의 작업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작업능력은 작업능력지수를 통해서 측정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는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통해서 측정하였다. 현장관리자의 작업능력은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 종교보유도 현장관리자의 직무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현장관리자의 작업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작업유형에 따른 생리학적 작업능력의 비교 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physiological work capacity for different tasks)

  • 박지수;김홍기;최진영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3-40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생리학적 접근방법(physiological approach)을 이용하여 생리학적 작업 능력(PWC; physiological work capacity)을 추정할 경우 작업형태와 작업방법에 따른 차이점을 비교분석해 보고자 함이다. 작업유형으로는 자전거 에르고미터(cycle ergometer)와 트레드밀 (treadmill)을 사용하였고, 작업방법으로는 각각의 작업유형에 대하여 램프 테스트(ramp test 와 인크리멘탈 테스트(increemntal test)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또한 외국인들의 생리학적 작업능력(PWC)과 한국인들의 생리학적 작업능력(PWC)을 비교,검토하여 NIOSH(National Institute of Safety and Healty)기준치를 사용하는데 문제점이 없는가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작업방법 에 따른 차이점은 자전거 에르고미터의 경우 램프 테스트(ramp test )253.63 ml/min로서 인크리 멘탈 테스트(increemental test) 2859.74ml/min 의 87.70 % 정도로 나타났으며, 트레드 밑의 경우 ramp test 2859.22ml/min로서 incremental test 289.46ml/min의 98.77%정도로 나타났다. 작업유형 에 따른 결과는 자전거 에르고미터의 ramp test 트레드밀의 ramp test 는 ramp test는 트레드밀의 ramp test의 88.72% 정도로 나타났으며, 자전거 에르고미터의 incremental tests는 트레이드밀 작 업의 98.% 정도로 나타났다.

  • PDF

일부지역 버스운전기사의 수면의 질이 작업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leep Quality on the Work Ability for Bus driver)

  • 김형민;김동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5-42
    • /
    • 2017
  • 목적 : 본 연구는 일부지역 버스운전기사의 일반적 특성과 수면의 질 그리고 작업 능력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고, 작업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버스운전기사 120명을 대상으로 작업 능력의 측정을 위해 작업 능력 지수(Work Ability Index : WAI)를 사용하였고, 수면의 질은 수면의 질 평가(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 PSQI)를 통해 평가하였다. 작업능력과 수면의 질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고, 수면의 질이 작업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 한 결과 수면의 질(p<.001)과 근로시간(p<.001) 에서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수면의 질(p<.001)과 근로시간(p<.01)이 버스운전기사들의 작업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분석되었고, 수정된 결정계수 값($R^2$)이 0.482로 48.2%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 버스운전기사들의 수면의 질과 근로시간이 작업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므로 버스운전기사의 작업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수면의 질과 근로시간을 고려하여야 하겠다.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낙상예방 작업치료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all-preventive Occupational Therapy Applied to Elderly in the Community upon Balance Ability)

  • 장기연;우희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32-240
    • /
    • 2010
  • 지역사회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작업치료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노인들의 낙상 예방을 위한 작업치료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립보행이 가능하고 균형에 영향을 주는 약물 복용을 하지 않는 65세 이상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험군 13명, 대조군 13명으로 분류하여 낙상 예방을 위한 교육과 운동을 병행한 6주 간의 작업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균형 능력 평가는 Berg 균형척도와 Tetrax 낙상지수가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Berg 균형척도는 6주간의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48.38에서 50.69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p=.017). 실험군의 Tetrax 낙상지수 또한 6주간의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46.77에서 35.54으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나타내었다(p=.000).대조군의 Berg 균형척도와 Tetrax 낙상지수는 모두에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낙상예방 교육과 운동을 병행한 낙상예방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6주 간의 적용이 노인의 균형 능력증진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았으며, 추후 낙상 예방 교육의 효과만을 다룬 연구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작업치료대학생의 실습만족을 위한 임상수행능력 자기보고식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Clinical Competency Self-Report Scale for Clinical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

  • 이민재;이선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37-147
    • /
    • 2020
  • 본 연구는 작업치료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임상수행능력 척도 개발은 임상수행능력의 개념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초점집단면담(FGI)을 거쳐 구성요인과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이 문항들에 대해 4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36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최종 척도 문항을 선정하기 위해 203명의 작업치료학과 3, 4학년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여 문항분석과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문항분석 결과 삭제된 문항은 없었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문의식 요인 8문항, 작업치료 평가요인 11문항, 작업치료 중재요인 4문항, 의사소통 요인 4문항으로 총 4요인 27개 문항으로 추출되었다. 내적일관성 계수인 Cronbach's α를 통해 요인별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87~.94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는 .96으로 나타나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임상수행능력 척도 총점과 요인들 간 상관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 요인 27문항에 대한 요인구조의 적합도 지수는 (χ2=.76, df=.31, CFI=.81, TLI=.80, RMSEA=.79)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임상수행능력 척도는 작업치료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전·후의 임상수행능력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거나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을 제언한다.

뇌졸중 이후 운전 시뮬레이터와 Dynavision 훈련이 인지 및 운전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ng Effects of Driving Simulator and Dynavision Training on Cognitive Ability and Driving Performance After Stroke)

  • 최성열;이재신;김수경;차태현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27-143
    • /
    • 2018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에게 운전 시뮬레이터와 Dynavision 훈련의 효과를 인지 평가와 주행 중 운전수행 능력 평가를 통해 비교하고, 두 가지 훈련방법의 차이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뇌졸중 환자 21명을 선정하여 무작위로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 집단(N=11)과 Dynavision 훈련 집단(N=10)으로 분류하고 각각 15회기의 훈련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주행 중 운전수행 능력 측정을 위해 운전 시뮬레이터 시나리오 시스템 평가를 실시하였고, 인지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riveABLE Cognitive Assessment Tool(DCAT), Trail Making Test-A, Trail Making Test-B 그리고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 집단은 모든 인지 능력평가와 대부분 운전수행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Dynavision 훈련 집단은 Trail Making Test-A를 제외한 모든 인지 능력 평가와 브레이크 페달 반응시간, 중앙선 침범 평균 시간 및 비율, 차선이탈 비율의 운전수행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 그리고 두 가지 훈련의 변화량은 도로주행평가의 결과 예측 지수와, 충돌사고 및 위험상황 발생 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 변수들의 변화량은 두 가지 훈련방법의 적용 차이에 따라 모든 변수가 20% 이상의 인과적 영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운전훈련 방법으로 운전 시뮬레이터와 Dynavision 훈련은 모두 효과적인 중재방법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운전 시뮬레이터는 뇌졸중 환자의 운전수행 능력 전반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훈련이며, Dynavision 훈련과는 20%의 설명력으로 훈련효과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감각처리 및 자기조절 체크리스트(SPSRC)의 국내적용을 위한 번안 및 내용타당도 연구 (A Content Validity Study of the Korean Translation Version of the Sensory Processing and Self-Regulation Checklist (SPSRC))

  • 김예은;이혜림;이선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37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Sensory Processing and Self-Regulation Checklist(SPSRC)의 국내사용을 위해 한국어로 번안하고 내용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번역, 내용 적합성 검증, 역번역, 번역 검증 위원회, 내용 이해도 검증의 과정을 거쳐 완성된 한글판 SPSRC를 작업치료학과 교수 3명과 작업치료사 7명에게 제시하여 내용 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확인하였다. 결과 : 한글판 SPSRC의 내용 타당도 지수(CVI)는 130문항 모두 .90 이상이었다. 또한 전체 문항의 CVI 역시 .99로 높은 수준의 내용타당도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 한글판 SPSRC는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을 함께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서 높은 내용 타당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글판 SPSRC는 임상에서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이해와 평가를 용이하게 하며, 감각통합 중재 계획을 위해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분할-획득 제어를 이용한 이동매니퓰레이터의 최적 자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al Configuration for Mobile Manipulator Using Divide-and-Conquer Control)

  • 강진구;이관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395-1401
    • /
    • 2005
  • 이동매니퓰레이터란 이동로봇과 작업로봇을 직렬로 결합하여 이동능력과 작업능력을 가지는 로봇이다. 이동매니퓰레이터의 중요한 특징중의 하나는 잉여의 자유도를 가진다는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이동매니퓰레이터는 여러 가지 모드로 이동이 가능하고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매니퓰레이터는 고정베이스 구조의 로봇에 비해 넓은 작업공간과 특이자세 회피 및 장애물 회피에서 더 좋은 성능을 가진다. 두 대의 로봇이 협동하여 작업을 수행할 때 주어진 작업공간에서 여유자유도를 가지고 있는 이점을 이용하여 작업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동매니퓰레이터가 수행되어질 작업을 세분화 시키고 로봇의 작업 성능 지수를 사용하여 로봇이 최적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를 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검증하기위해 이동매니퓰레이터를 제작하였고, 실험에 사용한 이동매니퓰레이터 PURL-II는 3자유도를 가지는 이동로봇과 5자유도를 가지는 작업로봇으로 구성되어 있다.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이 만성 소뇌경색 환자의 균형능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일 사례연구 (Affects of Pilates Exercise Program on Balance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Performance Ability for Patient With Chronic Cerebellum Infarction)

  • 류성현;조영남
    • 재활치료과학
    • /
    • 제2권1호
    • /
    • pp.77-86
    • /
    • 201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이 만성 소뇌경색 환자의 균형능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단일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에 소재한 K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62세 여자 소뇌경색 환자였다. 중재 전 후 균형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시행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균형능력은 중재 전 19점에서 중재 후 29점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또한 중재 전 74점에서 중재 후 87점으로 증가 되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이 만성 소뇌경색 환자의 균형능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기존의 일반적인 작업치료에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환자의 기능 회복에 더 많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교육 보조 로봇의 자율성 지수 (Degree of autonomy for education robot)

  • 최옥경;정보원;곽관웅;문승빈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7-73
    • /
    • 2016
  • 모바일 서비스와 교육 보조 로봇이 발달함에 따라, 로봇은 우리의 삶의 일부가 되었고 교육 보조 로봇은 선생님을 보조해 학생들의 교육과 학습에 참여하고 있다. 본 논문은 교육 보조 로봇의 자율성의 정도를 표시하는 자율성 지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규정한다. 자율성은 사람의 개입 없이 현재 상태 및 센서 값을 기반으로 주어진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교육 보조 로봇의 자율성 지수는 작업 수준과 사람의 개입 수준으로 구성되며 1단계에서부터 10단계로 정의한다. 제안 방식은 지능형로봇표준포럼(KOROS) 표준으로 채택이 되었으며 해당 표준은 자율적으로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활용이 가능하다. 향후 교육 보조 로봇을 활용한 교육 서비스에 큰 혜택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하며 그 활용 분야 역시 교육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거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