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업공구

Search Result 15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utomated tool selection and cutter path generation for die cavity machining (금형의 절삭가공을 위한 자동공구선정 및 공구경로 생성)

  • 유우식;최병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2.04b
    • /
    • pp.545-554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복합형상의 금형을 가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구와 가공경로를 자동으로 생성해 주는 자동공정계획(CAPP)방법을 제시한다. 금형곡면은 일반적으로 복잡한 형상의 자유곡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 지는데 육면체 형상의 소재로부터 원하는 금형곡면을 가공하는데는 수십시간의 기계가공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NC Code를 준비하는데도 같은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금형곡면의 NC가공에 있어서 또다른 어려움은 공구의 과부하와 공구간섭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제안하는 자동공정계획방법은 전처리, 공정계획, 공구경로 생성의 3단계로 구성된다. 자동공정계획시스템의 입력정보는 1) 생성될 곡면형상 2) 가공할 소재형상 3) 가공공구 셀(드릴, 볼 엔드밀, 플렛 엔드밀), 절삭성 데이타등이다. 전처리 단계에서는 곡면모델러로부터 생성된 입력 형상을 Z-map이라 부르는 자료구조로 변환한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절삭 가공작업의 순서가 사용되는 공구와 함께 후방순환법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실제 가공될 NC공구경로가 마지막 세번째 단계에서 생성된다.

  • PDF

국소진동 특성과 평가방법

  • 박상규;박인선;연정택
    • Journal of KSNVE
    • /
    • v.12 no.2
    • /
    • pp.97-102
    • /
    • 2002
  • 산업화와 활발한 생산 활동은 진동공구 사용의 급격한 증가를 가져왔다. 그러나 모터나 공기압에 의한 진동공구의 발달과 보급은 생산적, 경제적 측면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지만 반면 작업자의 건강 측면에서는 상당한 해를 초래하게 되었다.(중략)

안전가공경로를 위한 기계그룹형성 및 부품결정 모델

  • 임승환;이동춘;허성관;배극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337-343
    • /
    • 1997
  • 일반적으로 안전가공경로를 위한 기계그룹형성 및 부품결정모델을 위하여 각 기계에는 제한된 형태의 공구저장소(Tool Magagine)를 장착하고 있으며, 공구저장소에는 기계에서 가공되어질 안전공정을 수행할 공구를 보유하고 있고 이러한 기계들은 필요한 공구를 경제적으로 안전관리하거나, 기계이용율을 증가 또는 준비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여러개의 그룹으로 형성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가공경로 기계그룹형성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자제이동비용의 최소화 2) 기계중복사용의 최소화 3) Cell간 이동비용의 최소화 4) 부품의 대체경로를 제공 5) 기계그룹간 작업부하불균등문제 최소화 6) 안전가공경로 최소화 (중략)

  • PDF

Burr formulation prediction program using geometric information (기하학적 정보를 이용한 Burr 형성 예측 프로그램의 개발)

  • 김영진;이제열;안용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409-412
    • /
    • 2000
  • 금형가공에 사용되는 밀링머신의 가공시 공구와 피삭재의 접합면에서 버가 생성되며, 이러한 버의 생성에 따라 작업효율 감소 및 생산비의 비효율적 낭비를 가져오게 된다. [l]밀링 작업시 버가 생성되는 메카니즘을 파악하여 임의의 형상을 가진 공작물을 밀링작업할 때의 버의 형태와 Exit 각 등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려 한다. 여기에서 핵심적인 피삭재의 형상 데이터 인식, 절삭영역 인식, 공구와 피삭재의 접점 및 그 Exit 각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Exit 버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며, concave를 포함한 여러가지 형상의 피삭재를 대상으로 Exit 버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여 실제 작업에선 와 유사한 환경에 대해 고려함으로써 버의 감소 및 작업 효율성의 증가를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한다. 또 이를 이용하여 Windows 환경에서의 버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PDF

A study of maximum grip strength on the squatted postures (쪼그려 앉은 자세에서의 최대 악력에 관한 연구)

  • Kim, Dae-Sung;Kim, Jong-In;Yang, Sung-Hwan;Park, Beom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10a
    • /
    • pp.23-30
    • /
    • 1997
  • 근골격계 질환은 부적절한 작업 자세, 중량물의 무리한 취급, 과도한 작업 부하 등과 같은 작업 환경 에서 기인한다. 현장의 대부분의 공구사용작업에 있어서, 쪼그려앉아서 작업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쪼그려 앉은자세에서 사용하는 공구를 설계하는데 필요 요소인 악력의 최대치 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3세-29세의 남자 8명을 피실험자로 실험하였다. 실험모델로는 쪼그려 앉기에서 1) 0 .deg. 외전된 어깨와 정위치의 손목에서 어깨 굴곡이 180 .deg. , 135 .deg., 90 .deg. 와 45 .deg. 의 조합된 자세에서의 악력, 2) 0 .deg. 외전된 어깨와 정위치의 손목에서 팔꿈치 굴곡이 135 .deg. , 90 .deg. 와 45 .deg. 조합된 자세에서의 악력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쪼그려 앉은 자세에서 어깨굴곡이 45 .deg. 인 자세에서 최대의 악력이 발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체부위 중에서 손너비, 손목둘레, 팔길이, 손두께, 팔꿈치-손목까지의 길이 등이 쪼그려 앉은자세와 깊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AP 대응 FA 시스템에의 Expert 시스템의 활용에 대하여

  • Lee, B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5 no.2
    • /
    • pp.7-14
    • /
    • 1988
  • 작업물(Work)을 기계에 장입출, 가공에 필요한 공구류의 공급 등이 완전 자동화 된 기존의 사출성형기 Series를 제조하는 FA Systme은, MAP 대응의 FA System 으로 개량되었다. 이 논문은, MAP 대응 새 FA 시스템의 MAP에서 분산.통괄의 역할을 하도록 개발된 Cell controller의 정보관리기능 가운데 하나의 응용으로서 제조공정을 자동적으로 Scheduling 하는데 Expert 시스템(전문가시스템)을 적용한 idea를 소개하는 것이다. 이 idea의 적용 으로 인하여 제조공정의 scheduling 작염은 종래의 주단위로 부터 일일단위의 작업으로 처리가 가능해졌고, 또, 공구수명관리기능의 부가로 무인운전시의 기계의 가공율도 종래보다도 녹일 수가 있었다.

  • PDF

A Study on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Tool Control System to prevent FOD Occurrence (FOD 발생 예방을 위한 무선통신 기반 공구 관리 시스템 연구)

  • Junyi Park;Myungjun Kim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7 no.2
    • /
    • pp.16-25
    • /
    • 2023
  • There are various types of foreign object debris (FOD) in the aviation industry. Tools lost by workers can act as a risk factor throughout aircraft operation,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fields. Accidents caused by tools lost due to workers' carelessness continue to occur throughout the aviation industry. Aviation-related institutions such as FAA and EASA have established tool control regulations and systems to prevent FOD occurrence. However, in Korea, related regulations and procedures are insufficient. A systematic and effective tool control system is required for reliable manufacturing, airworthiness,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aircraft. In this paper, tool control regulations and procedures of domestic and foreign air traffic authorities and aviation industry-related organizations were studied.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tool control system was proposed based on the NAS 412's tool control regulations certified by the National Standards Association.

Correlation between Working tool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Formwork (거푸집공사에서 사용되는 작업공구와 근골격계 질환의 상관관계 분석)

  • Kwark, Dong Jin;lim, Jung-Min;Park, Jung-Lo;Kim, Ju-Hyung;Kim,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7-58
    • /
    • 2012
  • Work to repeat the work using the tool since many occupational diseases such as musculoskeletal disorders, such as occupational low back pain is increasing. To solve this problem, previous(or existing) studies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construction workers are working, but the previous study was lack of approach that applied to condition of construction field. Thu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will analysis the Correlation of musculoskeletal disease which is caused by Working Hand and Working Type for work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rough a die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of workers and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order to prepare is to provide basic data.

  • PDF

A study on the chemically vapor deposited TiC, TiN, and Ti(C, N) on $Si_3N_4$-TiC ceramic tools ($Si_3N_4$-TiC ceamic 공구에 화학증착된 TiC, TiN 및 Ti(C, N)에 관한 연구)

  • 김동원;김시범;이준근;천성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8.06a
    • /
    • pp.39-42
    • /
    • 1988
  • 요업체 절삭공구(ceramic tool)는 공구강이나 초경제품에 비해 고속 절삭 작업이 가능하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실험에서 모재(substrate)로 사용된 $Si_3N_4$-TiC ceramic은 요업체 공구중에서 파괴인성이 우수하며, 주철이나 초합금을 절삭할 때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그러나 요업체 절삭공구중에서 경도가 낮은 편에 속하며, Fe,Mn,O와 $Si_3N_4$가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서, steel을 절삭할 때 상면 마모(crater wear)가 심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공구의 표면에 보호피막(protective coating)을 입히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반응변수들이 TiC 및 TiN 증착층의 증착속도, 미세구조, 화학적 조성 및 증착층과 substrate 사이의 interface를 조사하여 각 증착층의 최적증착조건을 규명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