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치단체 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21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ive Use of Spatial Data in Busan Metropolitan City (부산시 공간 데이터의 유효활용에 관한 연구)

  • Baek, T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6 no.3
    • /
    • pp.91-10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 of effective use of spatial data in Busan metropolitan city. To do so, information systems and spatial data established in each department are analyzed. Spatial data distribution networks scattered around the nation are integrated to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clearinghouse and the service is expanded for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s to participate. Information systems suppli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re 22 and information systems operating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are 168. In addition, there are also 295 types of the thematic maps in 11 fields related to the environment, road transportation, livestock, and etc. For systems integr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and linkage system is required in the near future. In the next logical step, generation of metadata, experiments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spatial data, and construction of the data center should be necessary.

Construction of Land Consulting Information System (토지 컨설팅 정보시스템(ALGOSA) 구축)

  • 이상길;정종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2 no.1
    • /
    • pp.57-71
    • /
    • 2004
  • In this study about construction of land consulting information system the system is constructed for the support be rapidly and efficiently of decision making information. Supporting decision making is be sure need when build in land or change form and character of land, that kind of variety land law, conditions of buying land location, distribution of land answering to the development purpose and buying and selling or lease of land. So that land consulting information system can be query, search, identity and analysis for the decision making elements using the computer. The system an another name ALGOSA far the improved extent of legal in ability of system. Like this where spread of system is by company as well as private person, it's company kinds of real estate business, survey and civil designer's office, architectural designer's office and professional1y land development company of great many all over the country.

  • PDF

Development of Hadoop-based Illegal Parking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System (하둡 기반 불법 주·정차 데이터 관리 및 분석 시스템 개발)

  • Jang, Jinsoo;Song, Youngho;Baek, Na-Eun;Cha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167-170
    • /
    • 2017
  • 자동차 보급 증가로 인한 주차 공간 부족 문제는 불법 주정차 차량 발생의 원인이 되어, 교통 체증을 야기하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불법 주정차 문제 해결을 위한 법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불법 주정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정보통신의 발달에 의해 데이터의 양이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아울러 공공 데이터의 양도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공공 빅데이터 관리 및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불법 주정차 데이터와 같은 공공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인 주 정차 단속을 위한 하둡 기반 불법 주 정차 데이터 관리 및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사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 Sin Ui-Gyun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04a
    • /
    • pp.27-38
    • /
    • 2001
  • 보건소 정보화 사업은 지역단위 공공보건의료의 최일선 기관인 보건소에 정보시스템을 설치하여 내부운영을 효율화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양질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동시에 지역보건의료의 효과적인 정보체계 구축과 정보의 원활한 교류를 통하여 국가보건정책수립을 위한 기본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공공보건의료의 환경변화를 이끌어 갈 기반을 확충하려는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보건소 전산화 사업을 근간으로 하는 지역보건의료분야 정보화 사업은 보건 의료부문의 정보화를 위한 국민복지망 기본계획에 의거하여 94년 12월부터 2기로 나누어 8차 년도에 걸쳐('94.12 $\sim$ '01. 10) 연차사업으로 시행 중에 있다. 보건소 정보화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시행된 제1기 정보화 사업('94.12 $\sim$ '98.7)을 통해 개발된 보건소 정보시스템이 현재 242개 보건소 중 108개 보건소에서 사용중이며, 이를 통해 보건소 업무의 효율화와 함께 지역보건의료분야 전산화 구축의 기초단계가 확립되었다. 제2기 사업은('98.10 $\sim$ '01.10) 보건소 중심의 지역보건의료망 구축과, 보건소 정보시스템의 전국 확산, 관련기관 정보망과의 연계를 통한 정보교류 확대와 정보활용도 제고 등의 목표로 시행중이다. 2기 1차 사업을 통하여 보건소-보건지소 진료소간 지역보건의료망의 기본 하부골격의 토대가 구축되었고, 2기 2차 사업에서는 보건의료원의 전산화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또한 현재 진행중인 2기 3차 사업에서는 지역보건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진료현황, 보건사업현황 등의 자료를 통합D/B로 구축하여 시범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정보망의 활용도를 높이고, 광역단위의 지역보건정보 의사결정시스템(EIS)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최근 급속한 정보기술의 발달과 보건의료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보건정보시스템의 변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중앙정부와 광역자치단체, 보건소를 연결하는 전국 단위 정보네트워크 구축에 있어 신기술 적용방안 연구를 통하여 보건소 정보화 사업의 발전 방향(ISP)을 모색 중에 있으며, 시군구 행정정보망과 연계를 통해 생애주기에 따른 주민 평생건강관리를 위한 정보시스템 구축을 도모하고 있다.

  • PDF

Protection Method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The Cadastral Data (지적데이터의 유통 질서를 위한 저작권 보호 방안)

  • Chae, Gyeong-Seok;Um, Jung-Sup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95-101
    • /
    • 2007
  • 지적데이터가 기초지방자치단체에 구축되고 많은 예산과 인력을 투입 하여 유지 관리 되고 있으며, 이를 기본도로 이용한 GIS의 구축이 활성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적데이터의 유통도 급속히 늘어나고 있으나, 이를 관장하는 지적법에 관련된 규정의 보완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되고 있지 않다. 지적데이터 특성상 공공재로서 인식과 비교적 간단하게 복제되어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식 인증 되지 않은 지적데이터의 불법 유통으로 많은 문제점이 발생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적데이터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하여 유통 질서를 바로 잡음으로서 지적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유통을 증진 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지적재산권과 관련된 국제적 동향 및 지적재산권 관련 법률 검토와 이와 관련된 판결을 분석하여 지적데이터의 지적재산권 보호의 법률적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해당사자들의 인식 조사를 통하여 지적데이터의 지적재산권 보호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지적재산권 보호 방안을 제시 하고 지적데이터의 유통 질서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SIS in Land-Use Planning - On the Selection of Optimum Site for the Waste Landfill - (토지이용계획에 있어서 GSIS의 응용에 관한 연구 - 쓰레기 매립장의 적지 선정을 중심으로 -)

  • Yang, In Tae;Kim, Eung Nam;Yun, Young H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3 no.4
    • /
    • pp.189-197
    • /
    • 1993
  • The management of wastes within the urban landscape has become a critical concern to both local governments and inhabitants. With landfill capacities steadily decreasing, rapid growth of economy, population and urbanization, citizen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problems occured by existing landfill sites make difficulties in selecting the landfill site.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select the optimum waste landfill site using GSIS methodology to reduce the time, cost and effort.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an investigate many factors synthetically which could not be handled by the former method using hands in the site selection for waste landfill, and we can carry out economically the work of selecting suitable site throughout the vast area.

  • PD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Nuclear Disaster Prevention (원자력방재를 위한 지리정보시스템)

  • Lee, Gwang-Pyo;Lee, Yun;Kim, In-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169-175
    • /
    • 2007
  • 고리, 월성, 울진, 영광 등4개 원전부지와 하나로 연구용 원자로 부지에 대해 방사성물질의 대기 중 누출사고 발생 시 대축척 전자지도와 연계한 사고정보 파악, 예상피해분석, 방재시설 및 소개정보 활용 등을 통해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방사능 물질 피해지역관리 및 신속하고 효율적인 주민대응조치 수립을 위한 의사 결정 지원할 수 있는 방사능방재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리, 월성, 울진, 영광, 대전지역의 원자력 발전소 및 연구용 원자로 반경 40km이내 지역의 행정경계, 도로, 등고, 수계, 건물 등의 일반지형지물정보와, 비상계획구역 내 마을의 상세정보, 집결지, 대피소, 교통통제소, 환경방사능감시기, TLD등의 방재시설물 위치 및 관련 상세정보, 관공서, 경찰서, 소방서, 보건소, 학교, 병원 등의 방재관련 지형지물 위치 및 관련 상세정보, 원전부지 내 인구분포, 보유 차량 분포, 농작물 재배 현황, 축산물 재배현황 등의 방재관련 사회통계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및 속성 데이터베이스는 구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방사선 피폭영향 평가시스템(FADAS)의 예상평가결과를 전자지도 상에 표출하고, 이에 근거한 예상피해를 분석하며, 소개단계 대상 마을 검색 및 바람장 분석을 활용한 소개경로 제시 등을 통해 주민보호조치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사고대응 및 소개현황 정보를 관리하는 웹 기반의 원자력방재 지리정보시스템을 확대 개발하였다. 방재시설물 및 방재관련 지형지물, 방재관련 사회통계자료의 검색기능 및 실시간 원전 바람장 정보조회, 실시간 ERMS 수집정보 조회, 수치예보 정보 조회, 온라인DB관리 등의 확대 구현을 통해 사고대응조치 및 피해분석업무를 지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원자력방재 지리정보시스템 완성을 통해 방사능 비상시 중앙본부와 지역본부 및 유관기관 간에 지리정보와 연계한 정확한 사고정보 및 방재정보의 신속한 공유를 제공하고, 적절한 비상대응조치 의사결정 및 주민보조조치 수행을 지원하여 효율적인 사고지역 관리 및 인적 물적 자원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Forest Fire Prevention Mechanism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The case of Mt. Uam in Cheongju -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산불방재방안 - 청주시 우암산 지역을 중심으로 -)

  • Shin, Young-Chul;An, Sa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3 no.1
    • /
    • pp.23-34
    • /
    • 2000
  • The forest fire covered with forest gets increasing year after year in Korea. Furthermore the scale becomes larger. A forest fire problem is extremely serious.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discussed a forest fire prevention with scientific and systematic method. Various information was created using GIS for Mt. Uam, which is located in Uam, Cheongju city. The predictive model to enhance effective forest fire management was developed.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Integrated GIS in Local Government (지방자치단체의 통합형 GIS 구축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

  • Park, Sang-Woo;Lee, Young-J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5 no.2
    • /
    • pp.34-4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omponents to be considered when we construct the integrated GIS. Capability has always to be related to application. In this perspective, the range of integrated GIS's capabilities is more extensive than this existing GIS. Using in the case of Japan's local government, when we want to build the integrated G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ollowing things. First, the overall manuals are required. Second, the common spatial database should be build to satisfy outsider user as well as inner user. And last, the chief of local government should gain the sympathy of the member of community.

  • PDF

A Method of Generating Traffic Travel Information Based on the Loop Detector Data from COSMOS (실시간신호제어시스템 루프검지기 수집정보를 활용한 소통정보 생성방안에 관한 연구)

  • Lee, Choul-Ki;Lee, Sang-Soo;Yun, Byeong-Ju;Song, Sung-Ju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6 no.2
    • /
    • pp.34-44
    • /
    • 2007
  • Many urban cities deployed ITS technologi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raffic operation and management including a real-time franc control system (i.e., COSMOS). The system adopted loop detector system to collect traffic information such as volume, occupancy time, degree of saturation, and queue length. This paper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detector information within COSMOS to represent the congestion level of the links. Initially, link travel times obtained from the field study were related with each of detector information. Results showed that queue length was highly correlated with link travel time, and direct link travel time estimation using the spot speed data produced high estimation error rates. From this analysis, a procedure was proposed to estimate congestion level of the links using both degree of saturation and queue length inform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