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유 탐구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19초

학생의 자유 탐구 활동의 사례 분석을 통해 본 실험 모델링의 특징과 과학교육적 의미 (Characteristics of Modeling of Experiment in Case Analysis of Students' Open Inquiry and its Meaning on Science Education)

  • 김관영;이종혁;최진현;전상학;이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01-21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자유 탐구 활동에서 나타나는 실험 모델링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연구는 '학교과학탐구'라는 주제로 이루어진 3년의 연구 과제 수행에서 기수집한 자료를 '실험 모델' 관점에서 재해석한 것이다. 4명의 학생들로 구성된 1개 소집단이 7회에 걸쳐 수행한 탐구 활동을 녹화하고 녹음한 파일을 주된 자료원으로 하였으며, 녹화 및 전사본을 해석적인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문제 상황으로부터 출발하여 이를 해결하고 마무리되는 과정을 포괄하는 것을 모델링 단위로 볼 때, 학생들의 활동은 3개 실험 모델링 단위로 구분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각 모델링 단위에서 분산인지체계로서 실험 모델링의 역동적 과정과 특징을 조명하고 교육적 의미를 논하는 것을 포괄한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학생과 실험도구 그리고 그들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원시적 형태의 계산은 실험 모델링을 구성하는 분산인지체계의 중요한 요소로 드러났다. 둘째, 초기에 학생이 도구에 익숙해지는 비언어적인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그 활동이 충분히 이루어졌을 때 언어적인 양적 기호가 창출되었다. 창출된 양적 기호는 이후 활동에서 참고할 수 있는 데이터와 자신감의 원천이 되었다. 셋째, 도구의 전용화가 발생하였으며, 변인통제와 같이 기존의 과학 탐구에서 중요하게 다룬 요소들이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과학교육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실험 모델링의 특징을 학생 활동을 통해 펼쳐 보임으로써, 설명 모델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던 과학교육 연구와 교육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

독자적 탐구방법(IIM)을 활용한 자유탐구가 과학탐구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cience Process Skin and Academic Achievement by the freedom Inquiry Using IIM)

  • 이용섭;홍순원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3-4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higher grades in elementary the science process skill and Academic Achievement by IIM. To verify research problem,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five-grade students selected from One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lsan : the experimental group is composed of thirty-four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IIM teaching model situation. During six weeks, the IIM learning-based instruction was executed in th experimental group. Post-test show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ce process skill. We look into detailly thi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basis science process skill. In particular, The sub-factor 'Observation', 'Measurement', 'expectation' of the science process skill effects a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did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conclusion, IIM teaching model was more effective on science process skill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since the study has a limit on an objet of the study and the applied curriculum, the additional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extended comparative group and curriculum.

  • PDF

인지 수준에 따른 자유 탐구 활동에서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 효과 (The Effects of Using Science Notebooks in the Open Inquiry Activities by Cognitive Levels)

  • 이상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2호
    • /
    • pp.242-25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teaching effects according to the cognitive levels after conducting inquiry activities using science notebooks in the open inquiry activities of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students having the open inquiry activities using science notebooks showed improvement in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in both groups with the low and high cognitive level. Second, regarding the changes of scientific attitudes, both groups with the low and high cognitive level exhibited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interaction between the cognitive level and class treatment on the effects for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scientific attitudes, there was no difference by the cognitive level. And the use of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activities had effects on improving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scientific attitudes regardless of the cognitive level.

종교영화에 나타난 자유의지에 대한 연구 - 영화 <데칼로그 8편 : 어느 과거에 관한 이야기 Dekalog : Eight> 중 자유의지와 책임 간의 변증법적 관계를 중심으로 (Research on Free Will in Religious Film - Focusing on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free will and responsibility in Film Dekalog: Eight)

  • 스공 천앙
    • 트랜스-
    • /
    • 제4권
    • /
    • pp.65-86
    • /
    • 2018
  • 본 논문은 종교 철학적인 영화의 세계관 속에 깃들어 있는 생명에 대한 각종 의제(議題) 중 자유의지와 책임 간의 변증법적 관계를 핵심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자유와 책임, 존재와 허무 등 종교철학에서 말하는 신앙위기(信仰危機)에 관한 갈등 문제가 종교영화 속에서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를 연구한다. 현대 서양 철학 중 실존주의에 관한 장 폴 사르트르의 '자유의지의 존재로 인한 주체성 이념'과 비교되는, 계몽주의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선의지에 기원한 도덕적인 자율성'에 대한 이론 및 니시타니 게이지의 생명 본질에 대한 '자각성'개념을 토대로 영화를 분석한다. 또한 그중에 지닌 개인의 관점과 더불어 자연의 관점에서 자유의지관한 문제는 중국 도가(道家) 철학자 장자(莊子)의 '무위자연(無為自然)'에 대한 사상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보완한다. 폴란드 영화 <데칼로그 8편 : 어느 과거에 관한 이야기>를 사례로 하여 논문의 중심 논제(論題)인 자유의지와 책임 간의 변증법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진정한 자유의지는 양심의 추구를 바탕으로 한다는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 PDF

NFC를 이용한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모니터닝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Young Children's Free Choice Activities Monitoring System Using NFG)

  • 김경민;박현숙;김정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67-569
    • /
    • 2017
  • 자유선택활동은 유아가 스스로 활동영역을 선택하여 계획하고 수행하는 유아지향적 시간이다. 이를 통해 유아들은 자기선택, 자기동기화된 자기 주도적 활동등을 통해서 또래와 함께 자유롭게 활동하며 상호교류를 하는 중요한 시간이다. 교사는 수업시간에 유아들의 탐구활동을 위하여 심리적으로 편안한 환경조성과 유아들과의 유대감을 유지하여 학습목표와 또래와의 친밀도 및 사회적 기술등을 습득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1명의 교사에 의한 한정된 수업시간과 지도환경하에서 모든 유아들의 활동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힘들다. 본 연구는 NFC 태그를 활용하여 유아들이 선택한 자유선택활동 영역과 활동시간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여 교사들이 유아들의 활동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암실 속 과학탐구를 경험한 과학교육자들의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에 대한 인식 (Science Educators' Perceptions About the Learning Situation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rough Scientific Inquiry in the Darkroom)

  • 김학범;박승재;차정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09-618
    • /
    • 2015
  • 과학교육자들이 암실 속 과학탐구의 경험을 통해서 시각장애학생의 과학학습상황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게 되는가를 조사하려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한국과학교육학회에 참석한 과학교육자 중 24명에게 '얼음의 분자 구조' 및 '눈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모형의 접촉과 대화를 통해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을 하게 하였다. 활동 전, 후에 설문을 하였고 활동 중의 개방적 대화와 끝난 다음의 자유토론을 녹음하여 전사한 뒤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암실 속 과학탐구를 통해 과학 교육자들은 시각장애학생의 과학교육이 필요하며 가능할 뿐 아니라, 이들의 학습상황에 대해 더욱 깊게 이해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시각장애학생을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자신들이 학생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지도하였음을 알게 되었음을 고백한 바있다. 또한, 참여자들은 암실 경험을 통해 시각장애학생뿐 아니라 학습에 소외된 일반 학생의 입장을 더욱 깊게 이해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의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교과서 연립방정식 단원에 제시된 수학사의 소재 분석 및 교수학적 분석 (A Didactical Analysis on History of Mathematics in Simultaneous Equations Sec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 심상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3호
    • /
    • pp.415-42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연립방정식 단원에 제시된 수학사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교수학적인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교과서에서 수학사는 읽을거리나 방정식을 푸는 과정에서 문제로 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교사가 수업내용을 발전시키거나 자유 탐구를 위한 측면에서 수학사를 활용하기 위해, 그 시대의 사람들은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였는지 탐구할 수 있는 발문을 제시하고 향후 소개되는 연립방정식의 풀이에 대한 기대와 필요성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풀이 방법의 편리성과 우수성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학사에 나타난 연립방정식의 다양한 풀이에 대해 토론하여 자동화된 풀이를 반복하는 단순함에서 벗어나 수학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새롭게 변화 발전시킬 수 있는 반성적인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 PDF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ree Inquiry Activities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종호;김재영;배진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0권2호
    • /
    • pp.271-28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ree inquiry activities affects the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of 5th and 6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265 elementary students from 5th and 6th grade in Seoul were selected. In comparison group 130 students were implemented and to the experimental group 135 students who did not the free inquiry activities were implemen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uriosity was the most affective factor that motivate free inquiry activities and made them select their topics. Most of the students invested for the inquiry activity in less than 3 weeks. They had some help in every stages. Students became interested in free inquiry activities because they learned new facts and enjoyed doing experiments and they wanted to continue for the same reasons. Second, free inquiry activities had little effect on the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p=0.05. Third, free inquiry activities had considerable effect on the integrative inquiry process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p=0.05. Fourth, the result of the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free inquiry activities had no effect on scientific attitudes 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p=0.05. In conclusion, free inquiry activities will be much more effective in developing integrative inquiry process skills than in developing basic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 PDF

자유탐구 방법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과학탐구능력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by Environmental class Using Free Inquiry Method)

  • 이용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1-36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Result analysis on the free inquiry Metho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how free inquiry activities effect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For this study 150, sixth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Busan city were selected. The inquir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each of the following free inquiry methods: the PBL inquiry, the Project inquiry, the IIM inquiry, the small group inquiry and the science notebooks inquiry.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groups in which they incorporated the respective methods into their practice. Test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The environmental class which applies a free inquiry method(PBL inquiry, Project inquiry, IIM inquiry, small group inquiry and science notebooks) was effective in science process skills improvement. Second, The environmental class which applies a free inquiry method((PBL inquiry, Project inquiry, IIM inquiry, small group inquiry and science notebooks) was effective in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improvement.

얼음의 분자구조에 대한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에서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에 대한 예비 화학교사들의 인식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Awarenes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Learning Situation through Scientific Inquiry about Molecular Structure of Ice in Darkroom)

  • 김학범;차정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5호
    • /
    • pp.277-285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예비 화학교사들이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을 통해서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에 대한 탐색과정과 이해를 조사하고, 이로부터 시각장애학생의 과학 교수 학습지도에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경북 지역의 사범대학 3학년에 재학중인 예비 화학교사 21명에게 '얼음의 분자구조'에 대한 모형을 암실 속에서 탐색하게 하였다. 암실에서 이루어진 연구자와의 개방적 대화와 끝난 다음의 자유토론을 녹음하여 전사한 뒤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 화학교사들은 암실 속에서 '얼음의 분자구조' 모형을 탐색하고 학습내용을 구상하면서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이 자신의 생각과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얼음의 분자구조는 잘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자신의 암실활동 경험에 비추어 시각장애학생이 학습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예비 화학교사들은 연구자가 제시한 분자모형을 개선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