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원 공유

Search Result 1,47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 Integrated Access Control for Sharing of E-Science Grid Resources (유휴 멀티 e-Science 그리드 자원 공유를 위한 통합 자원 접근 제어)

  • Jung, Im-Y.;Jung, Eun-Jin;Yeom, Heon-Y.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5 no.9_10
    • /
    • pp.452-465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 light-weight, seamless integrated access control for global e-Science resource sharing. E-Science, based on Grid Computing, was designed to help scientists to remotely control and process the Grid resources such as high-end equipments and remote machines. As many researchers engage in the e-Science Grids, the researchers in a grid often have to wait for or give up use of the Grid resources, even when there are idle resources in other Grids. In this case, provided that proper compensation is given, Grid resource sharing is helpful both for the researchers and the Grids which provide their resources. But, sharing Grid resources globally is not simple, as each e-Science Grid is especially designed for resource sharing in its Virtual Organization(VO) and already has its unique access control policy for its resources. This paper proposes a new integrated access control for e-Science Grid resource sharing. The access control is light-weight without any priori service level agreement(SLA)s among the Grids which share their resources and seamless because the users can use the resources shared as the ones belonging to their Grids without their additional registration to the other Grids.

A Comparative Study of Academic Resource Sharing and Service System Between Korea and Japan (한국과 일본의 대학 학술정보 공유 유통 체계 비교 연구)

  • Cho, Jan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3 no.4
    • /
    • pp.23-45
    • /
    • 2012
  • From 1990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ERIS have developed nationwide academic resource sharing and service system based on universities, and have contributed to bridge the gap of information and to facilitate resource sharing between universities. Meanwhile, in Japan which starts 15 years earlier than u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NII built nationwide academic resource sharing and service system with starting on the project of university holding resource sharing and until now have shown similar aspect of development like us. But lately, since information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rapidly, Japan try to find new paradigm which goes around electronic resources management substitute for physical resources and open access based academic communication, institutional repository which disseminate university's research output to the outside world. This study compare academic resource sharing and service system between Japan and Korea and try to suggest for Korean academic resource sharing and service system development. In Korea, firstly we should try to replacing published resources management system to electronic resources', secondly, reorganizing oversea's resource sharing and service system, thirdly, reactivating institutional repository toward open access, finally, unification of distracted driving force.

Technology and Policy for Blockchain-based Spectrum Sharing (블록체인 기반의 전파 공유 기술과 전파 정책)

  • Shin, Na Yeon;Nam, Ji-Hyun;Choi, Ye Jin;Lee, Il-G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0
    • /
    • pp.13-21
    • /
    • 2019
  • The restricted network or the unbalanced distribution of spectrum is causing the problems of lack of spectrum resources and deterioration of the service quality. In addition, the existing centralized radio sharing method has not been a fundamental solution for radio sharing and is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convenience, and secur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blockchain-based spectrum sharing as a low-cost, trustworthy, high-efficiency platform that can distribute and share spectrum resources, and propose policies to realize this. In the spectrum sharing platform, spectrum information about Wi-Fi AP and LTE mobile hotspot is registered in the blockchain, and spectrum sharers and users can conclude peer-to-peer spectrum sharing contract quickly and efficiently through smart contract. The pay for the shared spectrum resources and reward for spectrum quality management open platform ecosystem to activate the circulation-sharing and it can provide a convenient and efficient public wireless infrastructure.

Mutually Exclusive Resource Access in Pre-Scheduling (선행스케줄링에서 배타적 자원접근)

  • Piao, Xuefeng;Han, Shang-Chul;Kim, Hee-Heon;Park, Min-Kyu;Cho, Seong-Je;Cho, Yoo-K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162-166
    • /
    • 2006
  • 선행스케줄링(pre-scheduling)은 정적인 작업(periodic job)과 동적인 작업(sporadic job)을 유연하게 처리하기 위해 제안된 스케줄링 방식이다. 이 방식은 오프라인 컴포넌트와 온라인 컴포넌트로 구성되며 오프라인 컴포넌트에서는 비주기적으로 도착하는 동적인 작업들을 고려하여 정적인 작업들을 여러 부분작업으로 분할하고, 그리고 각 부분작업들의 실행시간, 준비시간, 마감시간을 부여하고 실행순서를 결정한다. 온라인 컴포넌트에서는 이 정보들을 이용하여 정적인 작업들을 정해진 실행순서에 따라 스케줄하고, 동적인 작업이 도착하면 EDF(Earliest Deadline First) 스케줄링 방식으로 처리한다. 그러나 선행스케줄링에서는 자원공유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실행시간을 부여하였으므로 여러 정적인 작업들이 하나의 자원을 공유할 경우에 배타적인 자원접근을 보장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처리기 환경에서 여러 정적인 작업들의 자원공유를 고려하여 자원의 배타적 사용을 보장하는 선행스케줄 생성기법을 제시한다. 이 기법은 각 작업의 자원 방출시간을 예측하고 예측시간에 근거하여 각 작업의 자원사용구간이 중복되지 않도록 실행시간을 결정한다.

  • PDF

Study on the RBAC Model including the work concept in the CSCW environment (CSCW환경에서의 Work개념을 수용한 RBAC모델에 관한 연구)

  • 심완보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510-513
    • /
    • 2000
  • 앞으로 전산 시스템에서는 독자적인 사용자의 전산 시스템 이용보다는 조직내의 다수의 작업 참여자간의 의사소통과 정보의 교환 및 공유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시스템의 지원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전산환경을 CSCW(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환경이라고 하며 많은 구성원이 공통된 자원을 공유함으로 해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자원을 사용하는데 있어 발생할 수 있는 관리의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해 RBAC(Role Based Access Control) 개념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CSCW환경과 같이 Work개념이 중요한 환경에서는 기존의 RBAC개념만으로는 공유자원의 접근제어문제 해결에 어려움이 있어 본 논문에서는 Work개념을 RBAC모델에 도입한 CSCW환경 하에서의 RBAC 모델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Social Sharing of Scholarly Information Resources: Focusing on Laypeople's Information Needs and Behaviors (학술정보자원의 사회적 공유에 관한 연구 - 일반인의 정보요구와 행위를 중심으로 -)

  • Kim, Chohae;Park, Ji-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6 no.2
    • /
    • pp.57-82
    • /
    • 2022
  • Today, despite the increase in professional knowledge-related information needs of citizens, the expansion of citizen participatory research in academia, and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professional knowledge, there are still difficulties in access to scholarly information resources by laypeople. Focusing on this problem, this study investigates laypeople's scholarly information needs and behavior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By examining the search and use behaviors of scholarly information resources, a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to support the utilization of them, this study analyzes the degree and pattern of social sharing of scholarly information resources beyond the scholarly commun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range of users in traditional scholarly communication and emphasizes the need to support them to access and use scholarly information resources.

The P2P Search Algorithm based on Reverse Scheduling about Resources (자원 역 스케쥴링 기반 P2P 검색 알고리즘)

  • Kim, Boo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506-1507
    • /
    • 2007
  •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이 공존하는 가운데 소요 비용에 비해 해당 성능이 매우 우수한 분산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P2P 기술은 이러한 분산 시스템에서 개개인이 보유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공유하는 측면에서 활용도 높은 분야이다. 이러한 P2P는 공유된 자원을 보유한 자원 제공 피어의 온라인 상태 유지 여부에 따라 해당 자원에 대한 검색 적중에 기여하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검색 참여 피어는 원하는 자원을 원하는 피어로부터 다운로드하게 된다. 그러나 종종 다운로드 완료 전에 자원 제공 피어의 오프라인 상태로의 변화를 목격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원하는 자원을 온전히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는 주로 재전송의 방법을 이용하게 된다. 이는 P2P 시스템의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 검색 피어가 해당 자원에 대한 다운로드 작업 중 재전송 요구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자원 역 스케쥴링 기법을 제안하여 P2P 시스템의 신뢰도 향상 효과를 얻고자 한다.

  • PDF

International Ocean Issues and Policy Regime (국제 해양환경안전 이슈와 정책레짐 변화)

  • Choi Sung-D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2 no.2 s.25
    • /
    • pp.115-123
    • /
    • 2006
  • The policy regime of ocean is changed from ocean liberty paradigm to ocean management paradigm. Ocean resourc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weak excludability and strong rivalry. Therefore, they need rational ocean management so as to curb the tragedy of commons. The important ocean issues and policy regimes today is ocean pollution, coastal management, sea-level rise, fishery, whaling, ocean jurisdictions, deep seabed resources, military security, piracy, ecological environmental security and so on.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these major international ocean issues, the policy regimes for them, and the desirable tasks of ocean policy regimes in the future from the macro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ocean politics or policy-making.

  • PDF

A WebDAV Extension for an Effective Resource Sharing and Its Application (효과적인 자원공유를 위한 WebDAV의 확장과 그 응용)

  • Ahn, Geon-Tae;Jung, Hy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d
    • /
    • pp.384-388
    • /
    • 2007
  • WebDAV(Web-based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는 웹 기반의 분산 저작과 버전관리를 지원하는 표준 명세로서,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콘텐츠의 비동기적인 협업을 지원하는 표준 하부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WebDAV의 속성 관리 기능은 자원의 주요 정보를 속성으로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러한 WebDAV의 속성 관리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 측에서 자유롭게 속성관리가 가능하여 웹을 기반으로 하는 협업시스템 및 자원공유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을 통한 문서 및 데이터의 관리를 제공하는 응용시스템의 개발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 WebDAV 프로토콜의 확장과 이를 이용하여 기업내에서 생성되는 기술문서 및 도면 문서에 대한 협업을 지원해주는 도면공유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확장된 WebDAV의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응용시스템 개발자는 사용자 속성을 정의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을 간편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되며, 기존의 웹 서버에서는 복잡하게 구현해야했던 자원에 대한 잠금관리 및 버전관리 기능도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 PDF

A Design Traffic Conditioner for Fairness Resource share in Differentiated Service (Differentiated Service에서 공정한 자원 공유를 위한 Traffic Conditioner 설계)

  • 이진호;김용수;장경성;김병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310-312
    • /
    • 2000
  • 명시적인 자원 할당과 스케줄링에 의해 QoS를 제공 할 수 있는 방안으로 RSVP가 제안되었으나 내부 구조 변경이나 확장성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그래서 IETF에서는 차등 서비스(Differentiated Service)를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DiffServ는 확장성을 고려하여 RSVP와 같은 개별 flow에 대한 QoS 제공이 아닌 flow들의 집합(aggregated)으로 차등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aggregated flow로 서비스를 제공할 때 불특정 flow에 대한 QoS 손실을 막기 위해 Token Bucket Meter 처리 전에 사전 모니터링에 의해 자원공유의 공정성과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TC(Traffic Conditioner)를 설계, 구현하여 다수 subnetwork에서의 flow가 자원을 공정하게 공유함을 결과로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