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환경 변수

Search Result 25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Species Distribution Methods for Habitat Analysis of the Korea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고라니 서식지 분석을 위한 기계학습식 종분포모형 비교)

  • Song, Won-Kyong;Kim, Eun-You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8 no.1
    • /
    • pp.171-180
    • /
    • 2012
  • The field of wildlife habitat conservation research has attracted attention as integrated biodiversity management strategies. Considering the status of the species surveying data and the environmental variables in Korea, the GARP and Maxent models optimized for presence-only data could be one of the most suitable models in habitat modeling. For make sure applicability in the domestic environment we applied the machine learn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 for analyzing habitats of the Korea water deer($Hydropotes$ $inermis$ $argyropus$) in the $Sapgyocheon$ watershed, $Chungcheong$ province. We used the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data and 10 environment variables by literature review for the modelling.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habitats for the Korea water deer were predicted 16.3%(Maxent) and 27.1%(GARP), respectively. In terms of accuracy(training/test) the Maxent(0.85/0.69) was higher than the GARP(0.65/0.61), and the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of the Maxent(${\rho}$=0.71, p<0.01) was higher than the result of GARP(${\rho}$=0.55, p<0.05). However results could be depended on sites and target species, therefore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model considering on the situation will be important to analyzing habitats.

용담댐 건설로 인한 금강 상류의 하천환경변화 분석 II - 수리변화분석 -

  • 정승권;정동양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971-976
    • /
    • 2004
  • 하천유지를 위한 하천내 최소유량의 충족은 사실상 환경문제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하천변 수생식물의 생태계 서식처를 유지하거나 복원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하천유지유량은 하천의 고유종 동${\cdot}$식물을 보전하고, 아름다운 하천에 대한 심미적 질을 유지하며 여가활동 및 상업적 어획고를 최대로 늘릴 수 있거나 과학적 또는 문화적 관심사의 특성을 보호하는 기능을 위한 목적으로도 제공된다. 그러므로 생태학적인 하천유지유량 차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충분한 물을 확보하고 쾌적한 하천을 유지할 수 있는 맑은 물을 하천에 흐르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하천의 생태학적인 측면에서는 서식지 보호를 고려한 계획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개발은 하천정비, 골재채취, 수중 보와 하구 둑 등 하천시설물 건설, 그리고 댐 및 교량건설 등 인위적인 요인에 의하여 하천환경이 심각하게 변화는 경우가 많다. 특히 댐 건설로 인해 하류지역에 수리학적 변화와 하상 변동 등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 최상류에 건설된 용담다목적댐에 의해 인위적으로 하천유입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수리학적 변화를 모의하여 댐 건설이 금강 상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차원 유한요소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댐 건설전 자연유출량 및 댐 건설후 하천유지유량에 의한 하천의 건조면적, 습지면적을 산정하였다. 또한 하천의 한계소류력과 하도를 형성하는 재료에 따라 바닥면 전단응력을 산정하여 그 차(差)를 활용하여 유량에 따른 유사이송현황을 모의하였다. 모의된 결과를 visual하게 표현하고자 GIS 기법을 이용하여 주요구간에 대한 유사이송현황을 도시하였다.유역의 고도차를 이용한 흐름특성 분석을 위해 수치고도자료를 이용하여 유역흐름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TOPAZ(Topographic PArameteri-Za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TOPAZ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된 각 격자별 분포형 수문 매개변수는 적합한 관계식을 통해 분포형 유출량을 모의하는데 적용된다.다 정확한 유입량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이 작은 오차를 발생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퍼프 모형이 입자모형보다는 훨씬 적은 수의 계산을 통해서도 작은 오차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aussian 분포를 갖는 퍼프모형은 전단흐름에서의 긴 유선형 농도분포를 모의할 수 없었고, 이에 관한 오차는 전단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향후, 보다 다양한 흐름영역에서 장${\cdot}$단점 분석 및 오차해석을 수행한 후에 각각의 Lagrangian 모형의 장점만을 갖는 모형결합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

  • PDF

Location Analysis and Distributional Forecast of Prehistoric Sites in Ulsan Region Using GIS (GIS를 이용한 울산지역 선사유적 입지분석 및 분포예측)

  • Lee, Han-Dong;Kim, Gyo-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3
    • /
    • pp.23-35
    • /
    • 2012
  • The optimum location of the prehistoric sites of Ulsan Metropolitan City are investigated by both quantile and natural breaks methods through GIS, and the settlement pattern is studied based on the possibility of presence of the prehistoric sites which are also analyzed with these methods. Such factors including elevation, slope, distance from the nearest water, aspect, geological features, soil drainage classes, subsoil and land use recommended are employed in the analysis. The optimum geographical environment is the place where it includes the water-base in the area that is the southern aspect of the gentle slope land of lowland. The geology is the Quaternary alluvium. The drainage class is fine and the deep soil saturn is the fine loamy soil and the recommendation of land use is the area that is the field. As a result of the forecast of distribution, the prehistoric sites showed the higher possibility of presence in the downstream region where the Taehwa river and Dongcheon river join because the region come close to the watercourse and the drinking water use is easy. And the aspect and elevation is the low area. The alluvium accumulated from the upper stream of the Taehwa river and Dongheon river was made roomily, the area where is suitable for the farming life. Therefore, this region is judged that the possibility of presence of the prehistoric sites is high.

Comparison of Drought Index of Agricultural Reservoir by Period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량 자료 기간별 가뭄지수 비교)

  • KIM, Sun Joo;BARK, Min Woo;KANG, Seung mook;KWON, Hyung 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91-391
    • /
    • 2018
  • 가뭄은 일반적으로 강수량의 부족에 기인하며, 수자원의 이용 및 관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자연재해이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우리나라의 연 평균 강수량은 각각 1,162mm, 1,173mm, 948mm로 평년대비 89.0%, 89.8%, 72.1%의 적은 강수를 보였다. 이는 마른장마, 평년보다 적게 발생한 태풍 등의 영향 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강수의 부족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가뭄의 대처방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가뭄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가뭄은 크게 수문학적, 기상학적, 농업적 가뭄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기준에 따라 다양한 변수들을 이용한 지표들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가뭄 지표는 가뭄을 평가하고 대비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농업적 가뭄은 강우부족, 실제와 잠재증발산량의 차이, 토양수분 부족, 저수지 또는 지하수위의 저하 등 농작물의 생육과 수확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고려하여 평가해야 하며,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한 가뭄 지수로는 저수지 가뭄지수(RDI), 토양수분지수(SMI), 통합농업가뭄지수(IADI) 등이 개발되었다. 저수지 가뭄지수는 가뭄발생의 위험과 크기를 순별 가용저수량의 빈도를 이용하여 나타낸 가뭄 지표이다. 따라서 가뭄 지표를 산정하는데 사용된 자료의 기간에 따라 그 값의 차이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 10개년, 20개년, 30개년 기간의 백산저수지 농업지구 저수량 자료를 사용하여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저수지 가뭄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2년 ~ 2015년에 가뭄을 나타내고 있었고 특히,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가뭄지수가 -4.1으로 가장 심한 가뭄을 나타내었다. 1996년부터 2015년까지 2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2 ~ 2015년에 가뭄을 나타내며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가뭄지수는 각각 -0.9, -1.0으로 10개년의 기간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완화된 모습을 보였다. 1986년부터 2015년까지 3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가뭄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경우 각각 -1.7, -1.0으로 20개년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심한 가뭄을 나타내지만, 10개년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완화된 가뭄을 나타내었다. 백산저수지의 경우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가뭄이 발생하였으나, 용수공급이 불가능 할 정도의 가뭄이 발생하지는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30개년 자료를 사용한 가뭄지수가 이와 가장 근사한 가뭄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 PDF

Comparison of Reservoir Drought Index According to the Period of Reservoir Storage Data on Agricultural Reservoir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량 자료 기간별 가뭄지수 비교)

  • Kim, Sun Joo;Kwon, Hyung Joong;Bark, Min Woo;Kang, Seung 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37-337
    • /
    • 2017
  • 가뭄은 일반적으로 강수량의 부족에 기인하며, 수자원의 이용 및 관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자연재해이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우리나라의 연 평균 강수량은 각각 1,162mm, 1,173mm, 948mm로 평년대비 89.0%, 89.8%, 72.1%의 적은 강수를 보였다. 이는 마른장마, 평년보다 적게 발생한 태풍 등의 영향 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강수의 부족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가뭄의 대처방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가뭄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가뭄은 크게 수문학적, 기상학적, 농업적 가뭄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기준에 따라 다양한 변수들을 이용한 지표들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가뭄 지표는 가뭄을 평가하고 대비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농업적 가뭄은 강우부족, 실제와 잠재증발산량의 차이, 토양수분 부족, 저수지 또는 지하수위의 저하 등 농작물의 생육과 수확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고려하여 평가해야 하며,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한 가뭄 지수로는 저수지 가뭄지수(RDI), 토양수분지수(SMI), 통합농업가뭄지수(IADI) 등이 개발되었다. 저수지 가뭄지수는 가뭄발생의 위험과 크기를 순별 가용저수량의 빈도를 이용하여 나타낸 가뭄 지표이다. 따라서 가뭄 지표를 산정하는데 사용된 자료의 기간에 따라 그 값의 차이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 10개년, 20개년, 30개년 기간의 백산저수지 농업지구 저수량 자료를 사용하여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저수지 가뭄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2년 ~ 2015년에 가뭄을 나타내고 있었고 특히,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가뭄지수가 -4.1으로 가장 심한 가뭄을 나타내었다. 1996년부터 2015년까지 2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2 ~ 2015년에 가뭄을 나타내며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가뭄지수는 각각 -0.9, -1.0으로 10개년의 기간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완화된 모습을 보였다. 1986년부터 2015년까지 3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가뭄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경우 각각 -1.7, -1.0으로 20개년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심한 가뭄을 나타내지만, 10개년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완화된 가뭄을 나타내었다. 백산저수지의 경우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가뭄이 발생하였으나, 용수공급이 불가능 할 정도의 가뭄이 발생하지는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30개년 자료를 사용한 가뭄지수가 이와 가장 근사한 가뭄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저수량자료의 기간이 크면 빈도값의 신뢰성이 높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저수지 가뭄지수의 경우 저수량 자료가 누적될수록 좀 더 정확한 가뭄상황을 표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signing a Blockchain-based Smart Contract for Seafarer Wage Payment (블록체인 기반 선원 임금지불을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설계)

  • Yoo, Sang-Lok;Kim, Kwang-Il;Ahn, Jang-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7 no.7
    • /
    • pp.1038-1043
    • /
    • 2021
  • Guaranteed seafarer wage payment is essential to ensure a stable supply of seafarers. However, disputes over non-payment of wages to seafarers often occur. In this study, an automatic wage payment system was designed using a blockchain-based smart contract to resolve the problem of seafarers' wage arrears. The designed system consists of an information register, a matching processing unit, a review rating management unit, and wage remittance before deploying smart contracts. The matching process was designed to send an automatic notification to seafarers and shipowners if the sum of the weight of the four variables, namely wages, ship type/fishery, position, and license, exceeded a pre-defined threshold. In addition, a review rat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combination of mean and median, was presented to serve as a medium to mutually fulfill the normal working conditions. The smart contract automatically fulfills the labor contract between the parties without an intermediary. This system will naturally resolve problems such as fraudulent advance payment to seafarers, embezzlement by unregistered employment agencies, overdue wages, and forgery of seafarers' books. If this system design is commercialized and institutionally activated, it is expected that stable wages will be guaranteed to seafarers, and in turn, the difficulties in human resources supply will be solved. We plan to test it in a local environment for further developing this system.

A Study on the Landscape Cognition of Wind Power Plant in Social Media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풍력발전시설의 경관 인식 연구)

  • Woo, Kyung-Sook;Suh, Joo-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0 no.5
    • /
    • pp.69-79
    • /
    • 2022
  •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landscape of wind power facilities as renewable energy sources that supply sightseeing, tourism, and other opportunities. Therefore, social media data related to the landscape of wind power facilities experienced by visitors from different regions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of wind power facilities are based on the scale of wind power facilities, the distance between overlook points of wind power facilities, the visual openness of the wind power facilities from the overlook points, and the terrain where the wind power facilities are located. In addition, the preference for wind power facilities is higher in places where the shape of wind power facilities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 can be clearly seen- flat ground or the sea are considered better landscapes. Negative keywords about the landscape appear on Gade Mountain in Taibai, Meifeng Mountain in Taibai, Taiqi Mountain, and Gyeongju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on Gyeongshang Road in Gangwon. The keyword 'negation' occurs when looking at wind power facilities at close range. Because of the high angle of the view, viewers can feel overwhelmed seeing the size of the facility and the ridge simultaneously, feeling psychological pressure. On the contrary, positive landscape adjectives are obtained from wind power facilities on flat ground or the sea. Visitors think that the visual volume of the landscape is fully ensured on flat ground or the sea, and it is a symbolic element that can represent the site. This study analyzes landscape awareness based on the opinions of visitors who have experienced wind power facilities. However, wind power facilities are built in different areas. Therefore, landscape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and there are many variables, such as viewpoints and observers, so the research results are difficult to popularize and have limitations. In recent years, landscape damage due to the construction of wind power facilities has become a hot issue, and the domestic methods of landscape evaluation of wind power facilities are unsatisfactory. Therefore, when evaluating the landscape of wind power facilities, the scale of wind power facilities, the inherent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wind power facilities are set up, and the distance between wind power facilities and overlook points are important elements to consider. In addition, wind power facilities are set in the natural environment, which needs to be protected. Therefore, from the landscape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landscape of wind power facilitie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Predicting Potential Habitat for Hanabusaya Asiatica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Border Region Using MaxEnt (MaxEnt 모형 분석을 통한 남북한 접경지역의 금강초롱꽃 자생가능지 예측)

  • Sung, Chan Yong;Shin, Hyun-Tak;Choi, Song-Hyun;Song, Hong-Se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2 no.5
    • /
    • pp.469-477
    • /
    • 2018
  • Hanabusaya asiatica is an endemic species whose distribution is limited in the mid-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its narrow range and small population, it is necessary to protect its habitats by identifying it as Key Biodiversity Areas (KBAs) adopted by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In this paper, we estimated potential natural habitats for H. asiatica using maximum entropy model (MaxEnt) and identified candidate sites for KBA based on the model results. MaxEnt is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that can predict habitats for species of interest unbiasedly with presence-only data. This property is particularly useful for the study area where data collection via a field survey is unavailable. We trained MaxEnt using 38 locations of H. asiatica and 11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measured climate, topography, and vegetation status of the study area which encompassed all locations of the border reg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Results showed that the potential habitats where the occurrence probabilities of H. asiatica exceeded 0.5 were $778km^2$, and the KBA candidate area identified by taking into account existing protected areas was $1,321km^2$. Of 11 environmental variables, elevation,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average precipitation in growing seasons, and the average temperature in the coldest month had impacts on habitat selection, indicating that H. asiatica prefers cool regions at a relatively high eleva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not only for identifying KBAs but also for the reference to a protection plan for H. asiatica in preparation of Korean reunification and climate change.

Video Ethnography를 위한 컴퓨터 지원 분석 도구개발에 관한 연구

  • 이지현;이건표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65-69
    • /
    • 1998
  • 기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발시 다양한 사용자 니즈들이 수집되고 이러한 정보들의 효과적 활용을 위하여 여러 가지 분석방법들이 활용, 개발되고 있다. 그중 Video Ethnography는 특정 시스템 상에서 나타나는 사용자의 행동을 중심으로 한 환경내의 변화를 비디오를 이용해 저장하고 저장된 상황 의 변화요인을 해석 체계에 의거해 분석하는 기법이다. 이는 기존의 다른 방법에 비해 사용자의 자연스 러운 작업의 수행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실험실에서 행해지는 계획된 실험에서 얻 을 수 없는 시스템에 관한 발견점을 찾아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 Video Ethnography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사용성 정보들이 총체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 분석되지 못하고 있고, 관리 시스템의 부재로 인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 관리하는데 필요이상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실정 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Video Ethnography를 통해 얻어진 사용자 니즈를 체 계적으로 수집,해석, 관리하는 효과적인 도구의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특정한 사용상황에 맞추어 수집 된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니즈들은 먼저 컴푸터를 통해 입력되고 입력된 데이터는 과업의 목적, 주변상황, 시스템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분석된다. 이러한 분석의 과정을 통해특정 시스템 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가 도출되고 새로운 디자인 해결안이 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은 사용자 니즈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며 추후 제품 개발의 근거로서 활용될 수 있다. 앞으로 다양한 사 용환경에 대한 사용자 니즈 데이터베이스가 확충되면 각 사용상황하의 사용성 문제 해결안뿐만 아니라 서로 관련이 있는 사용상황간의 연계 연구를 통해 좀 더 광범위한 개념의 제품 개발도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이다.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적입지로 분석되었다.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Solution Approach와 Iterative Approach를 비교, 검토한 뒤 모형에 보다 알맞은 방법을 선택한다. 차량의 교차로 통행을 고려하는 performance function의 경우 비신호 교차로와 신호교차로에 대한 적절한 비교가 현재로서는 고려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구성되는 가로망의 경우 신호교차로들로만 구성되며, 부득이한 경우 입체교차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실제 가로망의 경우, 교통향이 많은 도시부의 경우 주가로망은 대부분 신호교차로와 입체교차로 구성되기 때문에

  • PD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ucha Perch, Coreoperca herzi in Jaho Stream, Korea (자호천에 서식하는 꺽지(Coreoperca herzi)의 생태 특징)

  • Byeon, Hwa-Ke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4 no.3
    • /
    • pp.216-223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reoperca herzi at Jaho stream from September 2018 to August 2019. This species inhabited riffle and midstream of the stream, where the riverbed structure was mostly covered with cobble and pebble. The depth of the habitat was 32-157 cm, and the velocity of stream fast at 0.64±0.28 (0.32-1.28) m/sec. The gender ratio of females to males was 1:0.95. The age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alysis of total length indicated that the group with 42-80 mm in total length was one year old, the group with 80-130 mm was two years old, the group with130-200 mm was three years old, and the group over 200 mm was four years old. The total length of sexually mature fishes was 65 mm for females and 70 mm for males. The sexually mature individuals grown in nature had a smaller total length than those reared in a laboratory. The spawning season was from May to late July, and the water temperature was 18.4-26.4℃ during the period. The prosperous spawning season was from May to June, and the water temperature was 18.4-21.8℃ during the period. The average number of eggs in the ovaries was 462 (151-919) per mature female, and the matured eggs were yellowish and spherical with a mean diameter of 2.31±0.33 (1.93-3.10) mm. Calculation length-weight relation of Korean aucha perch showed the constant a as 0.00002 and b as 3.01, condition factor (K) as 1.76 (1.01-2.63) on average, and the slope was a positive value of 0.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