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생태지역

Search Result 87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Distribution of Chironomids by Hydraulic Structure in Circulating Channel (수리구조물의 영향을 받는 순환수로에서의 깔따구 분포)

  • Park, Jong-Pyo;Lee, Sang-Ho;Lee, Jung-Min;Park, Jae-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17-1021
    • /
    • 2006
  • 인공순환수로에 정육면체 수리구조물을 구간별로 설치하여 흐름특성에 따른 깔따구의 서식경향을 조사하였다. 정밀한 흐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난류계산을 수행하였으며, 인공순환수로에 깔따구를 투입하고 3일경과 후 깔따구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인공순환수로는 단면 폭 29cm, 높이 30cm인 구조로 제작되었으며 직선구간의 길이는 120cm이다. 인공순환수로의 직선구간에 길이 10cm의 정육면체 수리구조물을 20cm 간격으로 양쪽 벽면부에 4개씩 균일하게 설치하였다. 자연하천에서 채집된 원수를 수심 20cm가 되도록 투입한 후 유기물을 하상에 고르게 깔고, 회전날개를 이용하여 평균유속 10cm/s로 안정화 시킨 후 깔따구 투입하였다. 실험시작 3일 경과 후, 깔따구의 서식경향을 조사한 결과 깔따구는 수리구조물 직하류부에 주로 서식하였다. 이는 주 흐름방향 유속분포가 수리구조물 후방에서 급격히 작아져 깔따구들이 정착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공순환수로 직선구간의 안쪽 벽면과 바깥쪽 벽면의 깔따구 개체수는 안쪽 벽면이 바깥쪽 벽면에 비하여 2배 정도 많다. 이는 수리구조물 사이 안쪽 벽면 하상의 시계방향 회전흐름 때문으로 분석되며 상대적으로 이러한 흐름은 바깥쪽 벽면에서 작다. 실험 및 수치해석 결과, 깔따구는 상대적으로 유속이 작은 곳에 서식하며, 이차류의 경향에 따라 서식처를 이동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생태적 기능을 고려하여 다양한 수리학적 조건 하에서 난류계산 및 유속측정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는 친환경적으로 하천을 복원시키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은 silt나 clay보다 입경이 큰 모래나 자갈을 경유 하면서 오염물의 저감효과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유입유량의 대부분이 표면으로 유출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표면유출수의 오염도를 낮추는 것이 유입오염물 저감효과에 보다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문에 자료의 이상적 유지 관리가 이루어지며 복잡한 2차원 수질해석 모형을 수월하게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발하였다.제외하면, 부자측정 방법에 의한 유량산정시 가장 큰 오차원인은 홍수시 측정된 유속측선의 위치와 홍수 전후로 측정된 횡단면상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점과, 대부분 두 측정 구간의 평균값을 대푯값으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다년간의 유량 측정 및 검증 경험과 자료를 토대로 현장에서 부자를 이용하여 측정된 측정성과를 정확도 높은 유량자료로 산정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추정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더불어 보다 정확한 유량 산정을 위한 기준과 범주를 제시하고자 한다.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 PDF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Nutria (Myocastor coypus) Introduced in Jeju Island (제주도에 도입된 뉴트리아(Myocastor coypus)의 생물학적 특성 및 서식 현황)

  • Kim, Ga-Ram;Oh, Hong-Shi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1
    • /
    • pp.1-10
    • /
    • 2017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inhabiting status and biological features of nutria (Myocastor coypus) in the Jeju Island from May, 2013 to August, 2016. Five individuals were captured by traps and two individuals were collected in dead. Of the 7 individuals, those whose bio-information could not be known were excluded to perform autopsy of the rest of them. The results from morphological, cranial and anatomical analyses, it was found that the females achieved sexual maturation but had no breeding experience. An adult male showed similar sizes to those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collecting the 7 individuals in 2013, 1 nutria individual was filmed by the scouting camera in May, 2014 but not captured. The long-term investigation of the research area found no inhibiting individual. It is deemed the nutria was either died of natural death or migrated. In order to establish a proper nutria control,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Jeju Island should be considered where indigenous and introduced species coexist in a limited space. Our findings will provide help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biological features of nutria and planning protection program of natural ecosystems of Jeju Island.

Application of Hemeroby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with Environmental Planning - Focused on the Case“LG Village”- (Hemeroby를 이용한 자연환경평가 및 환경계획 - LG 빌리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

  • 김혜주;조수경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2 no.3
    • /
    • pp.253-258
    • /
    • 1998
  • It is common in foreign countries to make a compensative plan for environmental destruction which is caused by development action even in where development is permitted. But, in Korea, environmental plan was regarded as just meeting the legal standard of green area in site development. This study focused on the case of university project, LG village plan, is to evaluate the environment of the site using Hemeroby and suggested restoration plan in compensation for the destructive. The site was a huge development area of apartment located in Suwon. First of all, we evaluated the site using Hemeroby and compared this with LG village plan. Then, we made a compensative plan for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which was not compensated in LG village pl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eta$-/$\alpha$-euhemeroby of the Site was 80.1% before the development and, after the development, $\beta$-/$\alpha$-euhemeroby of the site dropped to 43.7% and meta-hemeroby increased from 56.3% to 17%. Therefore, we could accept the buildings of LG village development plan and suggested a compensative plan with which we could raise $\beta$-/$\alpha$-euhemeroby like restoring the river, greening parking-lots and rooftops, revegetating cut slope.

  • PDF

Developing an Endangered Species Habitat Management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위치정보 기반 멸종위기종 서식지 관리시스템 개발)

  • Kim, Sun-Jib;Kim, Sang-hyup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6 no.3
    • /
    • pp.67-73
    • /
    • 2020
  • The research status of endangered amphibians in Korea was mainly studied the life-cycle and distribution status of species from the 1980s to the early 2000s. Although a relatively diverse range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mackerels, studies on habitat prediction, analysis, change and management are insufficient. WEB, which provides biota informa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in Korea, is a site operated by the National Bio Resource Center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ut there is no information on endangered species and general species information has also been found to be very scantily. For this research, we secured a database of location information of Narrow-mouth frog, an endangered species, by combining literature and field research, and established a system by applying new technologies and open-based platform technologies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non-technical personnel of IT among IT technologies. The system was divided into administrator functions and user functions to prevent indiscriminate sharing of information through authentication procedures through user membership of users. The established system was authorized to show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Narrow-mouth frog. Consider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arrow-mouth frog, which is an endangered species, a radius of 500m was marked to determine the habitat range. The system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legal system to change existing protected areas, etc. and to select new ones. It is estimated that practical reduction measures can be derived by utilizing the development plan for reviewing the na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deployed system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pply to a wide variety of endangered species by modifying the information entered.

경험적 방법에 의한 두만강 유사량 추정

  • Lee, Kwang-Man;Jang, Chang-Lae;Kim, Jo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60-1664
    • /
    • 2007
  • 두만강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의 환경보호를 위한 우선순위에서 토양보호가 높은 순위로 분류된 적은 거의 없었다. 토양손실에 의한 부정적 효과가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특히 농촌에서 토양 보전의 가치를 이해하거나 토양에서 직접적으로 혜택을 받고 있다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실제 동북아시아에서 토양보호와 관련하여 일관되게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국가 정책에 반영되고 그 결과 토양유실보호법이나 환경보호법 내에서 우선순위의 국가정책으로 도입된 것은 불과 지난 10-20년 사이의 일이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의 토사 유실은 매우 심각하며 이로 인해 많은 분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 수자원과 토지 자원을 잘 보전하고, 물과 토양의 침식을 제어하면서 생태계를 보호하는 것은 두만강 유역에 있는 연안 국가의 현대화를 위한 기초이자 장기 전략과제이다. 대상 지역에서, 토양의 침식형태는 주로 수리적 침식, 바람에 의한 침식, 결빙과 해동에 의한 침식, 산사태, 토석류, 밀도류 및 구릉의 함몰 등이 포함되며 이중 수리적 침식과 산사태에 의한 유실이 가장 일반적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자원의 이용 압력이 땅과 물의 퇴화를 유발한다는 증거가 많아지면서, 자연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으나 퇴사량에 대한 근본적 이해 없이는 불가능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지 이용관리와 토사를 보호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토양의 침식에 대한 현재 상태를 상세하게 확인하였으며, 토양의 중요한 기능이 심각한 퇴화 과정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는 인식에 토대를 두고 토양 보호 프로그램을 유도하기 위해 두만강의 유사량을 경험적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포 분석방법으로는 BW관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국내 외적으로 하천 유사량 산정과 관련된 많은 경험식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외국의 충적하천에 기초하여 개발되어진 유사량 공식들을 우리나라 하천에 무분별하게 적용하는 것은 위험스러우며, 유사량 산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리나라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이 유사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측을 통한 유사량 값을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과 비교 분석하여우리나라 하천에 맞는 유사특성을 알아보고, 기타 총유사량산정 공식을 이용하여 실측한 유사량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 PDF

A Case Study of Foraging Time Budget and Habitat Selection of Oriental White Storks (Ciconia boyciana) in Natural State (자연상태에서 황새의 섭식 행동과 서식지 선택에 대한 사례연구)

  • Sung, Ha-Cheol;Cheong, Seok-Wan;Kim, Jung-Hee;Kim, Su-Kyung;Park, Shi-Ryo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6 no.2
    • /
    • pp.121-127
    • /
    • 2008
  • As a step toward developing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plans for an endangered species of the Oriental White Stork (Ciconia boyciana), we studied daily foraging behavior and ecology. We released two individuals, male and female, after enclosing study site with a fence and cutting out a part of two or three feathers of primarie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16 June to 11 July, 2007 for 25 days at Whawonri, Mewonmyung, Chungbuk province. We investigated diural and daily variation of foraging time budget, diet composition, and habitat selection of the feeding individuals. The storks quadratically invested for foraging time and resting time according to time of day, but no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foraging time and resting time appeared daily over 25 days. As a result, the storks mainly used wetland as a foraging site in the center of the study area to that in the edge as well as to other types of habitat. The high usage for wetland in the center did not change over the 25 days while Rice field decreased and Wetland in the edge and Pathway increased. Female invested more time for foraging than male, but the foraging efficiency did not differ between them.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foraging behavior and habitat selection for management plan.

Genetic Diversity and Genetic Structure of Phellodendron amurense Populations in South Korea (황벽나무 자연집단의 유전다양성 및 유전구조 분석)

  • Lee, Jei-Wan;Hong, Kyung-Nak;Kang, Jin-Tae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3 no.1
    • /
    • pp.51-58
    • /
    • 2014
  • Genetic diversity and genetic structures were estimated in seven natural populations of Phellodendron amurense Rupr in South Korea using ISSR markers. The average of polymorphic loci per primer and the proportion of polymorphic loci per population were 4.5 and 78.8% respectively with total 27 polymorphic loci from 6 ISSR primers. The Shannon's diversity index(I) was 0.421 and the expected heterozygosity($H_e$) was 0.285, which was similar to the heterozygosity (hs =0.287) inferred by Bayesian method. In AMOVA, 7.6% of total genetic variation in the populations was resulted from the genetic difference among populations and the other 92.4% was resulted from the difference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s. Genetic differentiation(${\theta}^{II}$) and inbreeding coefficient(f) for total population were estimated to be 0.066 and 0.479 by Bayesian method respectively. In Bayesian clustering analysis, seven populations were assigned into three groups. This result was similar to the results of genetic relationships by UPGMA and PCA. The first group included Hwachoen, Gapyeong, Bongpyeong and Yongpyeong population, and the second included two populations in Sancheong region. Muju population was discretely assigned into the third group in spite of the geographically short distance from the Sancheong reg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enetic relationship and geographic distribution among populations in Mantel's test. For conservation of the phellodendron trees, it would be effective to consider the findings resulted from this study with ecological traits and life histories of this species.

Monitoring Vegetation Phenology Using MODIS in Northern Plateau Region, North Korea (MODIS자료를 이용한 북한 개마고원 및 백무고원 식생의 생물계절 모니터링)

  • Cha, Su-Young;Seo, Dong-Jo;Park, Chong-Hwa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5 no.5
    • /
    • pp.399-409
    • /
    • 2009
  • Many researches have shown that NDVI provides a potential methods to derive meaningful metrics that describe ecosystem function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use of the MODIS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to monitor vegetation phenology dynamics of Northern plateau region, North Korea, during last 9-years (2000~2008). The finding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ngth of growing season ranged from a low of 128 days in 2003 to a high of 176 days in 2000 and 2005. On the average of the last 9 years, the highest NDVI of 0.86 was marked on 28 July. Greenup onset occurs at the start of May, while the senescence begins between late September and October. Second, these annual vegetation cycles were compared with Seorak and Jiri Mountain regions of South Korea which have similar vegetation condition. Greenup onsets in South Korea were observed earlier than those of North Korea and the average time lag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in Greenup was about 16 days which is a time-resolution of remotely sensed data. Sub-alpine conifers of such areas may be severely affected by the large of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global warming trend.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Climate Change on the Water Environment of Juam Reservoir (기후변화에 따른 주암호 수환경 취약성 평가)

  • Yoon, Sung Wan;Chung, Se Woong;Park, Hyu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19-519
    • /
    • 2015
  • 2007년 발간된 IPCC의 4차 평가보고서에서 자연재해, 환경, 해양, 농업, 생태계, 보건 등 다양한 부분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과학적 근거들이 제시되면서 기후변화는 현세기 범지구적인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에 의한 지구 온난화는 대규모의 수문순환 과정에서의 변화들과 연관되어 담수자원은 기후변화에 대단히 취약하며 미래로 갈수록 악영향을 받을 것으로 6차 기술보고서에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구온난화가 전 지구적인 평균보다 급속하게 진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대한 담수자원 취약성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지표수에 용수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댐 저수지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수환경 변화의 정확한 분석과 취약성 평가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SRES A1B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기후변화가 주암호 저수지의 수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역스케일의 미래 기후시나리오 생산을 위해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ANN)기법을 적용하여 예측인자(강우, 상대습도, 최고온도, 최저온도)에 대해 강우-유출모형에 적용이 가능한 지역스케일로 통계적 상세화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유역모델에 적용하여 저수지 유입부의 유출량 및 부하량을 예측하였다. 유역 모델의 결과를 토대로 저수지 운영모델에 저수지 유입부의 유출량을 적용하여 미래 기간의 방류량을 산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저수지 모델에 유입량, 유입부하량 및 방류량을 적용하여 저수지 내 오염 및 영양물질 순환 및 분포 예측을 통해서 기후변화가 저수지 수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상세기 후전망을 위해서 기후인자의 미래분석 기간은 (I)단계 구간(2011~2040년), (II)단계 구간(2041~2070년), (III) 단계 구간(2071~2100년)의 3개 구간으로 설정하여 수행하였으며, Baseline인 1991~2010년까지의 실측값과 모의 값을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강우량의 경우 Baseline 대비 미래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2011년 대비 2100년에서 연강수량 6.4% 증가한 반면, 일최대강수량이 7.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래로 갈수록 집중호우의 발생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유역의 수문 수질변화 전망도 강수량 증가의 영향으로 주암댐으로 유입하는 총 유량이 Baseline 대비 증가 하였으며, 유사량 및 오염부하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수지 수환경 변화 예측결과 유입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연평균 체류시간이 감소하였으며, 기온 및 유입수온 상승의 영향으로 (I)단계 구간대비 미래로 갈수록 상층 및 심층의 수온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중 수온성층기간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조류는 (I)단계 구간 대비 (III)단계 구간으로 갈수록 출현시기가 빨라지며 농도 역시 증가하였다. 또한 풍수년, 평수년에 비해 갈수년에 남조류의 연평균농도 상승폭과 최고농도가 크게 나타나 미래로 갈수록 댐 유입량이 적은 해에 남조류로 인한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PDF

Vegetation Structure of Lower Stratum and Pinus densiflora Natural Regeneration Features from Micro-topography Classification in Pinus densiflora Forest of Anmyeon-do Island (안면도 소나무림 내 미세지형구분을 통한 하층식생구조와 소나무 천연갱신 양상)

  • Byeon, Seong Yeob;Kim, Hyun Seop;Yun, Chung W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8 no.2
    • /
    • pp.189-199
    • /
    • 2019
  • The forest management paradigm has recently shifted from focusing on commercial production to focusing on ecosystem management. Accordingly, a natural seedling regeneration method that has a naturally high affinity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in recent yea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lower stratum vegetation, and seedling regeneration in Pinus densiflora forests. The survey site comprised 50 sectors divided using the line transect method, and the survey data were divided into those from wet habitat (19 sites) and dry habitat (31 sites), depending on the soil humidity, and were analyzed separately to show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soil humidity and natural seedling regeneration. As a result, the dry habitat exhibited high seedling density (157,419 trees/ha), with the main species being Quercus serrata, Zanthoxylum piperitum, Smilax china, and Pueraria lobata, while wet habitat exhibited low seedling density (57,895 trees/ha), with the main species being Stephanandra incisa, Castanea crenata, Lespedeza maximowiczii, Lysimachia barystachys, Aralia elata, and Styrax japonicus. The height and root-collar diameter under wet conditions exhibited faster growth than those under dry conditions. Height growth by the root-collar diameter in dry habitat increased faster than that in wet habitat. It was also confirmed that seedling regeneration in wet habitat exhibited a rapid growth pattern 5 years after germin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edlings begin to grow more rapidly after a period of suppression by competition with surrounding plants. Considering an ecosystem or ecological management approach, specific practices, such as bush control and vine clearing in wet habitats, should be more intensively conducted, especially at the beginning of the management op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