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nitoring Vegetation Phenology Using MODIS in Northern Plateau Region, North Korea

MODIS자료를 이용한 북한 개마고원 및 백무고원 식생의 생물계절 모니터링

  • Cha, Su-You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eo, Dong-Jo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Seoul Digital University) ;
  • Park, Chong-Hwa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차수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서동조 (서울디지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 박종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Many researches have shown that NDVI provides a potential methods to derive meaningful metrics that describe ecosystem function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use of the MODIS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to monitor vegetation phenology dynamics of Northern plateau region, North Korea, during last 9-years (2000~2008). The finding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ngth of growing season ranged from a low of 128 days in 2003 to a high of 176 days in 2000 and 2005. On the average of the last 9 years, the highest NDVI of 0.86 was marked on 28 July. Greenup onset occurs at the start of May, while the senescence begins between late September and October. Second, these annual vegetation cycles were compared with Seorak and Jiri Mountain regions of South Korea which have similar vegetation condition. Greenup onsets in South Korea were observed earlier than those of North Korea and the average time lag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in Greenup was about 16 days which is a time-resolution of remotely sensed data. Sub-alpine conifers of such areas may be severely affected by the large of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global warming trend.

NDVI(Normal Difference Vegetation Index)는 식생의 광합성량과 직접적인 상호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생태학적인 목적으로 이러한 지수들의 수많은 응용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NDVI 자료를 이용하여 9년 동안 (2000~2008)의 북한 북부고원지대 아고산 고산 식생의 생물계절 특징을 모니터링 하였다. 5월 초순의 급격한 성장 이후 6월부터 8월까지 NDVI값은 0.8이상 지속적으로 유지되었고 최대 식생 생산량과 시기는 각 각 0.86, 7월 28일 이었다. 식생 성장의 시작과 쇠퇴는 평균적으로 각각 5월 9일, 9월 30일이었고, NDVI 값은 각각 0.51,0.54이었다. 식생 성장 기간은 2003년에 128일로 가장 짧았고 2000년과 2005년은 176일로 가장 길었다. 그리고, 동일한 수직적 산림 식생 환경을 가지고 있는 남한의 설악산과 지리산의 생물계절 특성과 비교하였다. 남북한의 아고산 고산 식생대는 약 30일 이상의 식생 생육 기간의 차이가 있었고 남한지역이 MODIS 자료의 합성 주기인 16일만큼 개서시기가 빨랐다. 본 연구는 북한 고원지대 산림 식생의 시계열 및 생물계절적인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로서 그 의의가 클 뿐만 아니라 북한 지역의 산림 식생 라이브러리 작성 및 통일을 대비한 북한 자연환경계획 수립에 기초 베이스맵으로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우석, 2002. 북한 자연생태계의 생물지리적 특성, 환경영향평가, 11(3): 157-172
  2. 공우석, 2005. 지구온난화에 취약한 지표식물 선정,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1: 263-273
  3. 박윤영 과 한경수, 2006. SPOT/VEGETATION NDVI 자료를 이용한 동북아시아의 생태기후지도, 한국농림기상학회지, 8(2): 86-96
  4. 박정술, 김경탁, 이진희, 이규성, 2006. 봄 가뭄 평가를 위한 다중시기 MODIS 영상의 적용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 176-192
  5. 염종민, 한경수, 김영섭, 2005. 한반도 식생에 대한 MODIS 250m 자료의 BRDF 효과에 대한 반사도 정규화,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1(6): 445- 456 https://doi.org/10.7780/kjrs.2005.21.6.445
  6. 염종민, 한경수, 이창석, 박윤영, 김영섭, 2008. SPOT/VEGETATION NDVI 자료를 이용한 북한지역 식생 변화 탐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2): 28-37
  7. 조성하 와 채선숙, 2004. 우리나라 기후의 온난화와 대기순환배경, 기상과 수문, 345, 13-16
  8. 최삼규, 2006. 한반도의 지붕 개마고원을 가다, 웅진미디어
  9. 허용, 변영기, 김용일, 유기윤, 2007. HANTS 알고리즘을 이용한 MODIS NDVI 시계열 영상의 구름화소 문제 해결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 2007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69-174
  10. MBC, 2005, 개마고원, MBC 특집 다큐멘터리
  11. http://www.encyber.com/
  12. http://newdle.edupia.com/
  13. Cha, S. and C. Park, 2007. The Utilization of Google Earth Images as Reference Data for the Multitemporal Land Cover Classification with MODIS Data of North Ko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3(5): 483-491 https://doi.org/10.7780/kjrs.2007.23.5.483
  14. Chen, J., P. J nsson, M. Tamura, Z. Gu, B. Matsushita, and L. Eklundh, 2004. A simple method for reconstructing a high-quality NDVI time-series data set based on the Savitzky Golay filter,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1(3-4): 332-344 https://doi.org/10.1016/j.rse.2004.03.014
  15. Holben, B., 1986. Characteristics of maximum-value composite images from temporal AVHRR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7(11): 1417-1434 https://doi.org/10.1080/01431168608948945
  16. Huete, A., K. Didan, T. Miura, E. Rodriguez, X. Gao, and L. Ferreira, 2002. Overview of the radiometric and biophysical performance of the MODIS vegetation indic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3(1-2): 195-213 https://doi.org/10.1016/S0034-4257(02)00096-2
  17. Huete A., C. Justice, and W. Leeuwen, 1999. MODIS Vegetation Index (MOD 13): Algorithm Theoretical Basis Document (version 3), pp. 26-29
  18. Jensen, John R., 2004.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A Remote Sensing Perspective, 3rd Edition, Prentice Hall
  19. Pettorelli, N., J. Vik, A. Mysterud, J. Gaillard, C. Tucker, and N. Stenseth, 2005. Using the satellite-derived NDVI to assess ecological responses to environmental change,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20(9): 503-510 https://doi.org/10.1016/j.tree.2005.05.011
  20. Reed, B., J. Brown, D. VanderZee, T. Loveland, J. Merchant, and D. Ohlen, 1994. Measuring phenological variability from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703-714 https://doi.org/10.2307/3235884
  21. Reed, B. and L. Yang, 1997. Seasonal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United States, Geocarto International, 12(2): 65-71 https://doi.org/10.1080/10106049709354586
  22. Wang, Q. and J. D. Tenhunen, 2004. Vegetation mapping with multitemporal NDVI in North Eastern China Transect (NECT),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6(1): 17-31 https://doi.org/10.1016/j.jag.2004.07.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