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관측필터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Optimum Design of Natural Observation Filter for Detection of Inflection Point of Time Series Data (시계열 데이터의 변곡점 검출을 위한 자연관측필터의 최적 설계)

  • Kim, Tae-Soo;Chun, Joong-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1
    • /
    • pp.635-638
    • /
    • 2005
  • The curve shape of the time fluctuation extracted from the electromagnetic signals is very complex. Thus it is important to decide exactly the signal property such as the inflection point for the observed signal. Usually filters elaborately designed are used to detect the signal characteristics. When the noise is added to the signal, the inflection point can be detected using the observation filter.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esign method for a natural observation filter with optimal filter order to extract a definite inflection point for the case of signals with the mixed noise.

  • PDF

Detection of Inflection Point of Waveform Using Wavelet Thresholding and Natural Observation Filter (웨이브릿 임계치와 자연관측필터를 이용한 파형의 변곡점 검출)

  • Kim, Tae-S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2 no.4 s.304
    • /
    • pp.127-132
    • /
    • 2005
  • The curve of motion indicated to waveform of the fast movement of human extracted using virtual reality or the quantity of time fluctuation of the electromagnetic signal as the quantity of electric fluctuation of the atmosphere is complex. It is important to decide exactly the signal property as the inflection point for the observation signal. When the signal is mixed by noise signal, the traditional method is difficult to detect the inflection point. In this paper the noisy signal is eliminated by wavelet thresholding method and the filter using natural observation theorem is applied. It shows that the inflection point of the signal waveform can be detected exactly.

GAN-based camouflage pattern generation parameter optimization system for improving assimilation rate with environment (야생 환경과의 동화율 개선을 위한 GAN 알고리즘 기반 위장 패턴 생성 파라미터 최적화 시스템)

  • Park, JunHyeok;Park, Seungmin;Cho, D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511-512
    • /
    • 2022
  • 동물무늬는 서식지에 따라 야생에서 천적으로부터 살아남을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물무늬의 역할 중 하나인 자연과 야생 환경에서 천적의 눈을 피해 위장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인데 본 논문에서는 기존 위장무늬의 개선을 위한 GAN 알고리즘 기반 위장 패턴 생성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은 단순히 색상만을 사용하여 위장무늬의 윤곽선을 Blur 처리를 해서 사람의 관측을 흐리게 만드는 기존의 모델의 단순함을 보완하여 GAN 알고리즘의 활용기술인 Deep Dream을 활용하여 경사 상승법을 통해 특정 층의 필터 값을 조절하여 원하는 부분에 대한 구분되는 패턴을 생성할 수 있어 색뿐만 아니라 위장의 기능이 있는 동물무늬와 섞어 자연과 야생 환경에서 더욱 동화율이 높아진 위장 패턴을 생성하고자 한다.

  • PDF

Statistical Estimation of Motion Trajectories of Falling Petals Based on Particle Filtering (Particle Filtering에 근거한 낙하하는 꽃잎의 운동궤적의 통계적 추정)

  • Lee, Jae W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0 no.7
    • /
    • pp.629-635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predicting and tracking the irregular motion of bio-systems, - such as petals of flowers, butterflies or seeds of dandelion - based on the particle filtering theory. In bio-inspired system design, the ability to predict the dynamic motion of particles through adequate, experimentally verified models is important. The modeling of petal particle systems falling in air was carried out using the Bayesian probability rul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uggested method has good predictive power in the case of random disturbances induced by the turbulence of air.

Three-Level Color Clustering Algorithm for Binarizing Scene Text Images (자연영상 텍스트 이진화를 위한 3단계 색상 군집화 알고리즘)

  • Kim Ji-Soo;Kim Soo-Hy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2B no.7 s.103
    • /
    • pp.737-744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three-level color clustering algerian for the binarization of text regions extracted from natural scene images.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three phases of color segmentation. First, the ordinary images in which the texts are well separated from the background, are binarized. Then, in the second phase, the input image is passed through a high pass filter to deal with those affected by natural or artificial light. Finally, the image Is passed through a low pass filter to deal with the texture in texts and/or background. We have shown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more effective used gray-information binarization algorithm.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we use a commercial OCR software ARMI 6.0 to observe the recognition accuracies on the binarized images. The experimental results on word and character recognition show that the proposed approach is more accurate than conventional methods by over $35\%$.

Data Assimilation of Leaf Area Index for Drought Assessment In East Asia (잎면적 지수 자료동화 기반 동아시아 가뭄 평가)

  • Seo, Hocheol;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1-31
    • /
    • 2019
  • 잎의 생태 계절학적 변화는 지상의 탄소/질소 순환에 큰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토양 수분, 증발산과 같은 물 순환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이를 모의하기 위하여 많은 지면-생태 생태모형들이 개발되어져 왔지만, 자연현상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모델 결과값과 실제 관측 값에 차이가 발생된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제 모형과 관측되어진 자료를 실시간으로 융합하는 자료동화 기법이 개발되어져 모델들의 오차를 줄여주거나, 실제 모델의 파라미터들을 보정하는데 사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기후모형인 Community Land Model(CLM)을 기반으로 하여 2003년부터 2010년까지 동아시아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면-대기-해양 모델로부터 발생되어진 40개의 앙상블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도출된 잎면적 지수와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잎면적 지수를 실시간으로 융합하는 앙상블 칼만 필터기법을 이용하여 잎면적지수 자료동화가 생태 생태 수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특히 잎면적 지수 자료동화가 동아시아 지역의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1~3 m 의 토양수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가뭄을 정의하였다. 이러한 토양수분 가뭄을 시 공간적으로 나타내어 동아시아지역의 가뭄의 기간, 심도 와 같은 가뭄을 특성을 이해하여 보고자 하였으며, 잎면적 지수 자료동화가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PDF

Voice Source Estimation Using Robust Sequential SVD (견실 순차 특이치분해를 이용한 음원추정)

  • 홍성훈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06a
    • /
    • pp.75-79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변화가 심한 음원파형을 추정하는 새로운 순차처리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먼저, 1) 기존의 순차처리 분석법중 대표적인 분석법인 RLS(recursive least square)의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2)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관측행렬(observation matrix)을 최적차수의 SVD(reduced-rank singular value decomposition)로 재구성하고, 3) 이에 견실개념(robustness concept)을 적용해서 최적의 성도변수(vocal tract parameter)를 찾아내고 역필터를 적용해서 음원(voice source)을 효과적으로 구분해낸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으로 음원을 추정할 경우, 변화가 심한 음원파형을 잘 추정할 수 있으며, 음원의 특성을 구분해낸 성도 파라미터도 효과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내용은 음성합성에서 자연성 개선 및 개인성 구현을 위해서 필수적이며, 다양한 형태의 음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음성코딩, 화자인식, 음성인식에서도 사용되어질 수 있다.

  • PDF

Establishment of monitoring system and droughts response plan between uppermost stream and intake station (상류부 하천-취수원 연계 모니터링 및 가뭄 대응방안 구축)

  • Shin, Jieun;Kim, Ji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44-344
    • /
    • 2021
  •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현상으로 인해 극심한 이상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물 공급 소외지역의 경우 가뭄으로 인해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으며, 특히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수도시설에 의존하는 최상류부 유역의 취수원은 상대적으로 가뭄에 취약하다.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은 강원도 춘천시 물로천의 제1지류 유역으로 주민들이 하천 계곡수를 생활용수의 주 공급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해당지역은 갈수기에 생활용수 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 지역으로 가뭄 대응을 위한 구조적 대책으로 다단식 Sand댐을 설치할 예정이다. 현장조사 결과 물로천의 물은 취수조로 일부 유입되며, 자갈 등을 이용하여 부유물 등이 필터링되어 물탱크로 흘러내리며 중력에 의해 각 가정으로 자연 유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의 하천, 취수조, 물탱크 3개 지점에 압력식 자동 수위 관측기를 설치하였으며, 2시간 간격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매달 유속 측정을 통해 수위-유량 관계 곡선식을 바탕으로 유량을 산정하였다. 도출된 일별 유량 자료와 SWAT 모형의 매개변수 검·보정한 후 이를 장기간으로 확장 적용하여 약 10년간의 장기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일별 장기 유출량 자료를 통해 평균 유량 감수곡선과 감수곡선식을 도출하였고, 무강우에 따른 최대 공급가능일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취수원 연계 모니터링 및 하천 유량에 따른 공급가능일수 등을 제시하여 가뭄 취약지역의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가뭄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최종적으로 추후 Sand댐 건설 전후 비교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소규모수도시설의 가뭄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체계 및 대응 방안을 구축하였다.

  • PDF

Estimation of Precipitable Water from the GMS-5 Split Window Data (GMS-5 Split Window 자료를 이용한 가강수량 산출)

  • 손승희;정효상;김금란;이정환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4 no.1
    • /
    • pp.53-68
    • /
    • 1998
  • Observation of hydrometeors' behavior in the atmosphere is important to understand weather and climate. By conventional observations, we can get the distribution of water vapor at limited number of points on the earth. In this study, the precipitable water has been estimated from the split window channel data on GMS-5 based upon the technique developed by Chesters et al.(1983). To retrieve the precipitable water, water vapor absorption parameter depending on filter function of sensor has been derived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split window channel data and the radiosonde data observed at Osan, Pohang, Kwangiu and Cheju staions for 4 months. The air temperature of 700 hPa from the Global Spectral Model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GSM/KMA) has been used as mean air temperature for single layer radiation model. The retrieved precipitable water for the period from August 1996 through December 1996 are compared to radiosonde data. It is shown that the root mean square differences between radiosonde observations and the GMS-5 retrievals range from 0.65 g/$cm^2$ to 1.09 g/$cm^2$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46 on hourly basis. The monthly distribution of precipitable water from GMS-5 shows almost good representation in large scale. Precipitable water is produced 4 times a day a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n the form of grid point data with 0.5 degree lat./lon. resolution. The data can be used in the objective analysis for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an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humidity analysis especially under clear sky condition. And also, the data is a useful complement to existing data set for climatological research. But it is necessary to get higher correlation between radiosonde observations and the GMS-5 retrievals for operational applications.

Future Projections on the Change of Onset Date and Duration of Natural Seasons Using SRES A1B Data in South Korea (A1B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자연 계절 시작일 및 지속기간 변화 전망)

  • Kwon, Young-Ah;Kwon, Won-Tae;Boo, Kyung-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6
    • /
    • pp.835-850
    • /
    • 2007
  • This study examines long-term trends of onset dates and durations of season decomposed by applying a lowpass filtering using observed 80-year(1921-2000) data and projected 2040s and 2090s data based on the IPCC SRES A1B emission scenario in South Korea. As recent climate changes on seasonal cycles in South Korea, the onset dates of spring and summer began earlier after 1970s. But onset dates of autumn and winter were delayed. Winter duration was more shortened during the post-1990 period. Summer duration is longer and winter duration is shorter at southern and eastern coastal area. The different of summer duration and winter duration in coastal area was longer than over the inland. The reduction in winter duration in South Korea agrees with results in overall global warming trends as a climate change signal. Future model output data predict that winter will disappear in Gangneung, Busan and Mokpo in the 2090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