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아존중감

검색결과 1,855건 처리시간 0.042초

청소년의 애착과 우울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 강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53-362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 및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우울의 경로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애착이론의 내적 작용 모델 및 취약모델에 근거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5년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자료 2,058사례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교사 애착은 청소년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청소년 우울을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이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교사애착이 청소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유의한 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 우울 예방을 위하여 친밀한 관계 강화 및 자아존중감 향상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자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compassion on Depression in High School Students)

  • 이종화;염순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79-484
    • /
    • 2023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우울에 자아존중감과 자기자비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편의 추출된 고등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297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과 자기자비 모두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아존중감과 자기자비는 음의 영향력을 가지는 변수로 우울에 대한 설명력은 63%이었고, 자아존중감보다 자기자비가 우울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등학생들의 우울을 중재하기 위해 낮은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자기자비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과 적용의 연구를 제언한다.

금융역량과 자아존중감 그리고 금전관계 문제의 관계 분석: 지역사회복지기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s among Financial Capability, Self-esteem and Money Relationship: Focusing on Community Center Users)

  • 장동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397-404
    • /
    • 2015
  • 이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기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금융역량과 자아존중감 그리고 금전관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경험적 분석을 위해 서울, 경기, 충남의 지역사회복지관 및 지역자활센터 이용자 총 4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빈도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수준이 지역사회복지기관 이용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금융역량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셋째, 금전관계 문제가 심각할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았다. 넷째, 금융역량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금전관계 문제가 부분적으로 매개했다.

청소년의 인권존중과 학교적응의 융합적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 차유미;차성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07-214
    • /
    • 2019
  • 본 논문은 청소년의 인권존중과 학교적응의 융합적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2016년 한국아동 청소년인권실태조사의 중학교 2학년 2,366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모형 적합도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랩을 적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적합하였으며, 청소년의 인권존중과 학교적응의 융합적 관계를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즉, 청소년들이 인권존중 경험이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학교적응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학교적응도를 높이기 위해 교사에 대한 인권교육 강화, 인권존중과 자아존중감을 접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성인기 자아존중감 변화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Self-esteem Changes Among the Adults Across the Lifespan : Examining the Predictors of the Change)

  • 김혜미;문혜진;장혜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1호
    • /
    • pp.83-107
    • /
    • 2015
  • 사회복지 실천현장과 학술 연구 분야에서 자아존중감의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자아존중감과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대한 국내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의 변화과정에 주목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추정하는데 목적을 두며, 특히 개인별 특성 요인과 더불어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개인내 변화요인의 영향을 동시에 추정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의 변화 과정을 입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 대상을 연령층으로 구분하여 영향 요인들의 효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생애주기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변화 과정을 조망하였다. 한국복지패널 1~8차 자료 중 19세 이상 성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다수준 성장 모델을 적용한 결과, 성별, 교육수준과 같은 고정된 개인별 특성 뿐 아니라 가족, 사회적 관계, 고용 및 혼인상태 등 변화 요인들이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이 연령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성별과 같은 개인적 특성과 더불어 심리사회적 상태 등의 복합적 산물이며, 상태적 특성을 가진 자기개념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인의 상황적 욕구에 대한 적합한 대응을 통해 자아존중감이 향상될 수 있음을 함의한다.

  • PDF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학령전기 아동의 정서적 반응성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rental self-esteem on children's emotional responsiveness and attention: through the child's self-esteem)

  • 한정원;이한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28-636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7차 자료를 활용하여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학령전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정서적 반응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 7차 년도 조사의 본조사와 어머니, 아버지 설문조사에 모두 참여한 가족 1383 가구(부모 1383쌍과 아동 138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정서적 반응과 주의집중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정서적 반응과 주의집중에 직접효과가 있으며,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아동의 정서적 반응과 주의집중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정서적 반응성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학령전기 아동과 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학령전기 아동의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한 교육과 어머니의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과 유지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보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가족환경 및 또래환경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Family Environment, Peer Environment and Career Maturity)

  • 차정원;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3-67
    • /
    • 2014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환경(부모양육태도, 가족응집성), 또래환경(또래관계의 질, 또래 괴롭힘)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시 4개 중학교 3학년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23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성 및 측정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가족환경은 또래환경에 직접적으로 높은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가족환경과 또래환경이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가족환경보다 또래환경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진로성숙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환경과 또래환경은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진로성숙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조모형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또래환경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자아존중감이 매개역할을 하고, 가족환경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또래환경과 자아존중감이 차례대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환경, 또래환경,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의 구조적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PDF

여대생의 성역할고정관념이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Gender-Role Stereotype on Sexual Assertiveness: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이혜림;한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54-460
    • /
    • 2021
  •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성문화와 높아지고 있는 여성의 성적 권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여대생들의 성적 권리 보호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우리 사회의 성역할고정관념에 대해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자아존중감의 영향력 또한 함께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성적자기주장과 성역할고정관념, 자아존중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82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여대생의 성적자기주장, 성역할고정관념,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여대생의 성역할고정관념이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여대생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소벨 테스트(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성역할고정관념, 성적자기주장,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역할고정관념은 자아존중감(r=-.24, p<.01), 성적자기주장(r=-.39, p<.01)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아존중감은 성적자기주장(r=.20, p<.01)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여대생의 성역할고정관념과 성적자기주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역할고정관념이 성적자기주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β=.45, p<.001)을 미칠 때, 자아존중감이 부분 매개(β=.42, p<.001)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Sobel test: Z.=9.16, p<.05). 따라서 여대생의 성적자기주장 능력 향상을 위해 성역할고정관념의 영향력에 대한 대처 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성역활 관련 교육 프로그램이나 자아존중감 관련 상담의 필요성을 시사 하는 바이다.

청소년이 인식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적용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pplication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이서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9-65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가 인식하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개인의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이 상호간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년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패널의 1차~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고, 변수들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유용한 자기회귀교차모형을 적용하여 종단적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이 인식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가 각각 이후 시점의 부정적 양육태도 인식,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전 시점의 부정적 양육태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이후의 자아존중감이나 삶의 만족이 유의하게 낮았고, 이전 시점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이 유의하게 높았다. 삶의 만족이 높을수록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더 낮게 인식하였고, 자아존중감은 높았다.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낮추는 반면 자아존중감에서 부정적 양육태도 인식으로 가는 교차지연계수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청소년기의 부정적 양육태도 인식과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인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 형성과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청소년의 팬덤활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dolescent fandom activity on self-esteem :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 최옥주;김동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243-25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팬덤활동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칠 때 자아탄력성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의 초4패널의 7차년도(2016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378명의 설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덤활동은 자아탄력성을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팬덤활동은 자아존중감을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은 자아존중감을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탄력성은 팬덤활동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팬덤활동은 자아존중감을 직접적으로 낮추기도 하지만 자아탄력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낮추기도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팬덤활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이르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