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속

검색결과 1,349건 처리시간 0.043초

맴돌이 자속의 영향을 고려한 철도추진용 선형유도전동기의 동특성 연구 (Dynamic Characteristics Analysis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Vortexes of Flux in a LIM for Railway Propulsion System)

  • 박찬배;이병송;이주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437-442
    • /
    • 2009
  • 선형유도전동기와 같은 속도기전력을 포함하는 운동자계 문제를 Galerkin 법을 이용하는 FEM으로 해석할 경우, Peclet Number의 값에 따라 해가 오실레이션 할 수 있으므로 해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며, 더불어서 2차측 Back-Iron에서 자속이 외부와 쇄교하지 못하고 내부에서 맴도는 자속 맴돌이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Up-Wind 기법을 이용하여 자속의 맴돌이 현상을 해결하게 되는데, 범용 S/W Tool(Maxwell 2D)의 경우 Up-Wind 기법을 적용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eclet Number 값에 따른 선형유도전동기의 2차측 Back-Iron에서 발생하는 자속의 맴돌이 현상을 살펴보고, 자속의 맴돌이 현상이 선형유도전동기의 동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다채널 자속누설 센서를 이용한 강케이블의 국부 단면손상 검색 (Local Fault Detection Technique for Steel Cable using Multi-Channel Magnetic Flux Leakage Sensor)

  • 박승희;김주원;이창길;이종재;길흥배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87-29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다채널 자속누설 센서를 이용하여 강케이블의 국부손상을 검색하였다. 먼저 자속누설 기법을 고정된 케이블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의 8채널 자속누설 센서헤드를 제작하였고, 국부손상이 발생한 케이블을 구현하기 위하여 PVC 파이프에 강케이블을 채워 강케이블 다발 시편을 제작하였고, 케이블 시편 외부 및 내부에 다양한 크기 및 방향을 가지는 국부손상을 단계적으로 발생시켰다. 이와 같이 제작된 강케이블 시편을 대상으로 각 손상단계에서 자속누설 센서헤드를 이용하여 자속신호를 스캔하고 출력전압으로 표현하였다. 이어서 일반극치분포를 이용해 손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어줄 임계값을 설정하였고, 이를 각 채널에서 계측된 자속신호와 비교하여 객관적인 손상판단을 수행하였다. 또한 케이블 모니터링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정보인 손상의 길이방향 위치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기 위해 모든 채널의 자속값을 합하여 총합값의 형태로 임계값과 함께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임계값을 초과한 부분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 위치를 실제 손상과 비교함으로써 본 기법의 국부손상 검색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누설자속 기반 강판 두께별 국부 손상 진단 감도 분석 (Analysis of Magnetic Flux Leakage based Local Damage Detection Sensitivity According to Thickness of Steel Plate)

  • 김주원;유병준;박세환;박승희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53-6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강판에 발생한 국부적인 손상의 진단을 위해 강자성의 연속체 구조물에 적합한 비파괴진단 기법인 누설자속 기법을 적용하였다. 강판시편의 두께 변화에 따른 누설자속 기반 진단 기법의 민감도를 분석하기 위해 각각 다른 두께를 가지는 몇 가지의 강판시편을 준비하였고, 각각의 시편에 3가지 깊이의 인공결함을 가공하였다. 홀센서와 자화요크를 이용하여 일정한 자화밀도를 가지는 누설자속 센서헤드를 제작하여 강판시편으로부터 누설자속 신호를 계측하였다. 센서헤드로부터 수집된 자속신호의 품질향상을 위해 일련의 신호처리 과정을 거쳤으며, 각 손상지점으로부터 계측된 누설자속 신호의 확인을 통해 국부손상 감지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강판두께에 따른 누설자속 기법의 손상감지 민감도의 분석을 위해 각각 다른 두께의 강판시편으로부터 검출된 MFL 신호에서 P-P value를 정량적으로 추출하였고 그 값을 비교 분석 하였다.

삼상 분리 및 일체화된 자속구속형 초전도 사고전류제한기의 동작특성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ree-Phase Separated and Integrated Flux-Lock Type SFCLs)

  • 임성훈;조용선;박형민;박충렬;한태희;두호익;송재주;최효상;한병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510-511
    • /
    • 2006
  • 하나의 철심을 매개로 각 상의 1, 2차 권선이 동일한 권선비로 결선된 삼상 일체화된 자속구속형 초전도 사고전류제한기의 동작특성을 모델링하였다. 삼상 일체화된 자속구속형 사고전류제한기는 평상시에 각 상의 두 코일에서 유기되는 자속이 서로 상쇄되어 철심내부의 자속은 발생하지 않게 되지만 임의의 한 상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할 경우 삼상이 분리된 사고전류제한기와 달리 사고상 뿐 아니라 건전상에 연결된 초전도소자도 ��치가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등가회로를 이용한 모델링을 통해 삼상이 분리된 경우와 삼상이 일체화된 경우의 동작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유도전동기의 회전자 시정수 변동에 대한 슬립 보상 (Slip Compensation for Rotor Time Constant Variation of Induction Motor Drives)

  • 이수원;전칠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487-492
    • /
    • 2000
  • 본 논문은 유도전동기 간접 벡터 제어시 회전자 시정수 변동에 대한 슬립보상 방법을 제안하였다. 회전자 시정수가 변동하면 고정자 전류의 자속 및 토크 성분의 상호 간섭이 발생하여 벡터제어가 불가능하고 성능이 저하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실제 자속 성분과 기준 자속 성분을 비교하여 위상차 없이 자속 성분을 기준 좌표의 q축에 일치시키고 PI 제어기를 이용하여 슬립을 보상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면 유도전동기의 회전자 저항 변동시 q축 자속 성분이 0이 되어 적정 슬립이 유지되고 정확한 벡터제어가 실현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횡자속 선형전동기의 추력특성에 따른 선형액추에이터의 동특성 (Dynamic response of linear actuator with the thrust force of transverse flux linear motor)

  • 우병철;홍도관;강도현;장정환;김종무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192-1194
    • /
    • 2005
  • 선형전동기는 일반적으로 회전형 전동기를 잘라 평면에 펼친 다음 회전형 전동기와 같이 구동할 경우 직선운동을 하는 전동기이다. 회전형 전동기에 비해서 효율특성을 다소 떨어지지만 직선운동을 위한 전동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회전형의 경우 고정자와 회전자의 극간격을 유지하기 위해서 축을 중심으로 구동할 수 있게 제작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선형전동기의 경우 정확한 극간경의 유지를 위해서 LM guide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로 인해서 고정자회 이동자 사이의 정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속의 흐름과 이동자의 이동방향에 따라 일반적으로 선형전동기를 구분하는데 자속의 흐름으로 인해 만들어지는 평면과 이동자가 움직이는 방향이 같은 면 상에 있으면 종자속이라고 하고 횡방향으로 놓여질 경우 횡자속 선형전동기라고 부른다. 본 연구에서는 횡자속 선형전동기에서 발생되는 추력특성을 고려하여 선형액추에이터를 설계할 경우 발생되는 추력읜 불균일성에 대한 내용으로 전동기의 추력 특성 파형에 따른 성형 액추에이터의 동특성을 알아보았다. 특히 액추에이터에서 발생되는 공진특성을 기준으로 불때 같은 에너지로 약 2배의 동특성을 얻을 수 있었고 반력은 거의 같은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영구자석 쇄교 자속 변화를 고려한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MTPA 제어 알고리즘 개발 (MTPA control algorithm for an IPMSM drive reflecting the PM flux linkage variation)

  • 최성민;류성호;이재석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653-65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온도 변화로 인한 영구자석 쇄교 자속 변화를 고려한 PMSM 드라이브의 MTPA(Maximum Torque per Ampere) 제어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영구자석 쇄교 자속은 고정자 쇄교 관측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추정되고, 추정된 영구자석 쇄교 자속으로부터 토크 오차 보정 계수가 계산된다. 2차원 MTPA look-up table(LUT)은 토크 오차를 보상하기 위해 영구자석 쇄교 자속 변화를 반영하는 MTPA 전류 궤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제안된 PMSM의 MTPA 제어 알고리즘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된다.

누설자속을 고려한 영구자석 선형 동기 전동기의 전원용량 산출법 (Calculating Method for Power Supply Capacity of Permanent Magnet Linear synchronous motor considering Leakage Flux)

  • 김용재;조경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977-978
    • /
    • 2011
  • 영구자석 선형 동기 전동기(Permanent Magnet Linear Synchronous Motor)는 회전 모터와 달리 사용 용도에 맞추어 설계할 필요가 있으며, 회전 모터와 다르게 고정자와 가동자의 길이가 유한장이기 때문에 회전 모터에 비하여 누설 자속이 크다. 따라서, 반송장치용 영구자석 선형 동기 전동기의 전원용량을 정확히 산출하기 위해서는 영구자석 선형 동기 전동기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량을 산출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영구자석 선형 동기 전동기의 전원용량의 산출법에 대하여 나타낸다.

  • PDF

약계자영역에서 유도전동기의 고정자자속 기준제어를 위한 최적 기준자속 선정방법 (Selection of Optimal Stator Flux Reference of Stator Flux-Oriented Induction Machine Drive in Field Weakening Region)

  • 현동석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0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1-194
    • /
    • 2000
  • 기존의 약계자영역에서의 유도전동기의 고정자자속 기준제어방법은 고정자기준자속을 회전자의 회전속도에 반비례해서 저감시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방법에 의해서는 최대토크를 얻지 못함을 보이고 최대토크를 얻기 위하여 전압제한조건 토크제한조건 및 전류제한조건을 고려한 새로운 고정자기준자속 선정방법을 제안한다.

  • PDF

광합성유효광량자속과 광주기에 따른 대목용 박의 생육 특성 (Growth and Development of Bottle Gourd(Lagenaria siceraria Standl.) for Rootstock Affected by Photosynthetic Photon Flux and Photoperiod)

  • 김용현;박현수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9-22
    • /
    • 2000
  • 접목을 실시할 때 접수와 대목의 적정한 생육은 접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활착 후 접목묘의 묘소질 지속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연광 조건에서 육묘를 실시하면 묘의 생육이 불균일하여 묘소질이 일정치 않게 된다. 그러므로 인공광을 이용한 폐쇄된 환경 조건에서 육묘가 바람직하나, 대목용 박에 대한 적정 광합성 유효광량자속 또는 광주기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목용 박의 초기 생육에 미치는 광합성 유효광량자속과 광주기의 영향을 구명하는 데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