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성 센서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Structure and Magnetic Properties of Fe-N Films with Flow Rate of Nitrogen (질소 유량 변화에 따른 Fe-N 박막의 구조 및 자성 특성에 관한 연구)

  • Han, Dong-Won;Park, Won-Uk;Kim, Yeon-Ju;Gwon, A-R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6.11a
    • /
    • pp.179-179
    • /
    • 2016
  • 희토류계 영구자석은 높은 보자력과 잔류 자화을 가지고 있어 자기기록저장매체, MEMS(엑츄에이터), 센서 등의 응용 분야에 적용시키기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희토류계 원소의 수급 및 가격의 문제점으로 친환경자석으로의 전환 및 희토류나 중희토류를 사용하지 않는 비희토류계 영구자석을 개발하는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중 Fe-N 계 자성 물질인 $Fe_{16}N_2$는 포화 자화 값이 현재까지의 자성물질 중 가장 높은 값(240emu/g)을 나타내며 상대적으로 높은 결정자기이방성 상수를 가지고 있어 비희토류계 영구자석 물질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e_{16}N_2$ 박막을 얻기 위해 DC Magnetron Sputtering 방법을 이용하여 Si wafer 위에 박막을 증착하고 증착공정 조건 중 질소 유량 및 Sputtering Power를 변수로 따른 박막의 성장, 조직변화, 자성 특성을 관찰을 통해 최적의 공정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N_2$ 가스 유량 변화에 따른 박막의 성장 속도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N_2$ 가스 유량의 증가에 따라 박막 내 Fe의 함유량은 감소하였다. 모든 공정 조건에서 $Fe_3N$, $Fe_4N$, $Fe_{16}N_2$ 상들이 섞여 성장하였으며 XRD를 통한 상분석과 더불어 VSM을 통한 자성 특성을 분석해본 결과 $Fe_{16}N_2$의 분율이 가장 높게 성장된 공정 조건은 Power는 200W, $N_2$ 가스 유량은 20sccm이었으며 이 조건에서 2.45T의 포화 자화 값과 1.4T의 잔류 자화 값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Feasibility Study of Remote Field Eddy Current Testing for Nonmagnetic Steam Generator Tubes (비자성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원격장와전류 탐상 가능성 연구)

  • Shin, Young-K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21 no.5
    • /
    • pp.518-525
    • /
    • 2001
  • As steam generator (SG) tubes have aged, new and subtle flaws have appeared. Most of them start growing from outside the tubes. Since signals from outer diameter (OD) defects are very weak compared to those from inner diameter (ID) defects in the conventional eddy current testing due to skin effect, this paper studies the feasibility of using remote field eddy current (RFEC) technique, which has shown equal sensitivity to ID and OD defects in the ferromagnetic pipe inspection. Finite element modeling studies show that the operating frequency needs to be increased up to a few hundred kHz in order for RFEC effects to occur in the nonmagnetic SG tube. The proper distance between exciter and sensor coils is also found to be about 1.5 OD, which is half the distance used in the ferromagnetic pipe inspection. Defect signals obtained by the designed RFEC probe show equal sensitivity to ID and OD defects and the existence of linear relationship between defect depth and phase signal strength. These results tell us that RFEC inspection is feasible even in nonmagnetic steam generator tubes.

  • PDF

고자장, 저온 환경의 UHV surface magneto-optical Kerr effect 장비 구축 및 Fe/Cr(001)계의 자성특성 연구

  • Park, Yong-Seong;O, Yong-Rok;Hong, Ji-Sang;Kim, Won-Dong;Hwang, Cha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400-400
    • /
    • 2010
  • 우리는 기본 진공 $10^{-11}\;Torr$의 UHV surface magneto-optical Kerr effect (SMOKE) 시스템을 quarter-wave plate를 사용하였던 기존의 방식에서 PEM (photo elastic modulator)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장비의 기능을 향상시켰다. 기존 quarter-wave plate를 사용하는 방식의 경우 Kerr signal을 구하기 위해 편광자와 검광자를 수직으로 두어 광량을 0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금속의 경우 대부분 가시광선 영역에서 큰 반사율 때문에 측정되는 광량이 편광자와 검광자를 거치면서 넓은 각도 범위에서 최소값을 갖기 때문에 정확한 영점을 잡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는 PEM을 이용한 위상변조방식을 사용하였다. 위상변조 방식은 Kerr signal과 관계된 양을 PEM을 이용하여 50 kH ($1{\omega}$)와 100 kH ($2{\omega}$)의 진동 주파수에 공조시키고 이를 Lock-in-amplifier를 사용하여 탐지하기 때문에 좋은 sensitivity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Kerr ellipticity와 Kerr rotation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자화에 필요한 전자석은 순철로 된 코어를 제작하여 챔버에 부착하였고 10 A에서 최대 7 kOe의 고자장을 얻을 수 있어 포화자화가 큰 물질에 대해서도 필요한 자성영역까지 측정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 저온 측정을 위해 SMOKE 샘플 홀더를 개조하여 액체 질소를 이용하여 100 K 근방의 영역에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저온 장치를 구성하였다. 여기에서 샘플 근처에 위차한 e-beam heater가 장착된 고온 부분과 액체 질소 냉각, 온도감지를 위한 센서, cartridge heater가 장착된 저온 부분을 sapphire plate로 분리하여 저온용 cartridge heater의 파손을 최소화하였다. 이러한 SMOKE 시스템을 구성한 후에 우리는 Fe/Cr(001)시스템의 자성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Fe/Cr 시스템은 Fe/Cr/Fe의 exchange coupling이나 bulk Cr의 복잡한 자성 특성 때문에 주목을 받아왔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저온 및 상온에서 Cr(001) 단결정 위에 증착된 Fe 박막의 자성 특성을 보고한다.

  • PDF

Signal Processing for Pulse Induction Metal Detector (자성센서 기반 지뢰탐지기를 위한 신호처리)

  • Shin, Beom-Su;Yang, DongWon;Jung, Byung-Min
    • Journal of IKEEE
    • /
    • v.22 no.3
    • /
    • pp.532-538
    • /
    • 2018
  •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for signal processing which is used in pulse induction metal mine detectors. The detection power can be obtained from magnetic variation on the search coil. The calibration data should be made when there is no target because the detection power is difference between with and without a target. And it is also updated periodically because of surrounding various noises. Lastly, we keep a watch on the signal slope to identify exact position and signal power of mine detection.

Improved Pattern Recoginition Coding System of a Handwriting Character with 3D (3D Magnetic Ball을 이용한 필기체 인식 향상 Coding System)

  • Sim, Kyu Seung;Lee, Jae Hong;Lee, Byoung Yup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9
    • /
    • pp.10-19
    • /
    • 2013
  • This Paper proposed the development of new magnetic sensor and recognition system to expendite pattern recognition of a handwriting character. Received character graphics should be performed the session and balancing and no extraction of end points, bend points and juntions separately. The Artifical intelligence algorithm is adapted to structure snalysis and recognition process by individual basic letter dictionary except for the handwriing character graphic dictionaryimproving error of recognition algorithm and enomous dictionary for generalization. In this Paper, recognition rate of the received character are compared with pre registered character at letter dictionary for performance test of magnetic ball sensor. As a result of unicode conversion and eomparis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tudy have recognition rate more than 95% at initial recognition rate of 70%.

Meander type magnetic field sensors using amorphous ribbon (아몰퍼스리본을 이용한 미안더타입 자계센서)

  • K. H. Shin;J. Hur;G. Sa-Gong;Kim, Y.;J.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Magnestics Society Conference
    • /
    • 2002.12a
    • /
    • pp.230-231
    • /
    • 2002
  • 고주파전류가 통전되고 있는 연자성체에 외부자계가 인가되면 자성체의 표피효과(Skin effect)에 의해서 임피던스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의 정전류를 통전시키면 자성체의 양단에서 전압의 크기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계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이 때의 전압을 자계로 환산함으로써 자계의 검출이 가능하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자계를 검출하는 소자를 자기임피던스 센서(Magneto-Impedance sensor)라고 한다$^{1.2}$ . 자기임피던스 센서는 주로 연자성이 우수한 아몰퍼스 자성체를 이용하여 구성되고, 구조가 간단하며, 극히 우수한 자계 검출능력을 나타내므로, 차세대의 고감도 자계센서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