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료조직

Search Result 2,55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조직성숙이 6시그마의 도입성과에 미치는 영향

  • Yu, Ji-Su;Kim, Ju-Yeong;Kim, Hye-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8a
    • /
    • pp.133-15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6시그마에서 기대한 성과를 얻으려면 도입과정에서 일련의 단계를 거쳐야한다는 가정을 하였으며 특히 조직성숙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6시그마에서 성과를 얻는 단계를 준비단계, 수용단계, 성숙단계로 정의하여 단계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준비단계는 다시 조직변화요인, 추진시스템요인으로 세분하였고, 결과변수인 성과는 시장경쟁력성과, 조직구성원성과, 재무성과로 구분하였다. 6시그마를 도입하여 기대한 성과를 얻으려면 이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처야한다는 가정을 토대로 단계 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기업을 표본단위로 판단표집(judgement sampling)을 통해 설문자료를 수집 처리 하였다. 최종적인 분석에는 281업체에서 수집된 자료가 사용되었다. 6시그마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은 준비단계, 수용단계, 그리고 성숙단계까지 도달해야만 기대한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분석 견과로 제시한다. 즉, 준비와 수용만 되었다고 큰 성과를 얻는다기 보다는 성숙단계까지 되어야 성과가 제대로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Research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Job Stress by DISC Behaviors Pattern of Hospital Staffs (보건직 종사자의 행동유형(DISC)별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Kim, Ji-Hee;Kim, Mi-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917-919
    • /
    • 2011
  • 본 연구는 보건직 종사자의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여 바람직한 행동패턴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 : 부산 및 울산광역시의 종합병원과 병의원에서 1년이상 근무한 보건직 종사자 240명 중 자료의 누락이 없는 184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업무환경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행동유형에 따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는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보건직 종사자의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만족, 조직몰입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직무 스트레스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인터뷰 - 김미해 사서(국립중앙도서관 자료조직과)

  • Sim Hyo-Jeong
    • KLA journal
    • /
    • v.44 no.1 s.338
    • /
    • pp.18-19
    • /
    • 2003
  • 한국출판연구소(이사장 윤청광)는 지난해 12월 4일 ‘2002 한국출판평론.학술상’ 수상자를 선정.발표하였다. 이번 한국출판학술상은 2001년 9월 이후 발표된 관련 논문이나 단행본을 대상으로 수상자를 선정한 것으로, 반갑게도 한국출판학술상 우수상 수상자 명단에 국립중앙도서관 자료조직과의 김미해 사서가 포함되어 있었다. 김미해사서는 2002년 2월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출판잡지전공 석사졸업논문인 ‘국제표준자료번호(ISBN/ISSN)의 활용도 제고방안 연구’를 제출하여 수사의 영광을 안았다. 이번 김미해 사서의 수상을 계기로 사서들도 도서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출판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또한 출판계와 도서관계의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통해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의 인프라 구축을 굳건히 할 계기가 되기를 바라면서 인터뷰를 하였다.

  • PDF

Empirical Study on Software Process Capability and Maturity Level, and Development of the Appraisal System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능력 및 성숙 수준에 관한 실증적 비교 분석과 평가 시스템 개발)

  • 홍정유;이수정;경원현;고석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2.11a
    • /
    • pp.178-198
    • /
    • 2002
  • 1980년대 초기 미 국방성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의 소프트웨어 개발능력에 대한 판단 착오로 금전적, 시간적, 성능상의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다. 따라서 미 국방성은 카네기 멜론 대학의 SEI(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를 통하여 소프트웨어 개발능력을 측정하고, 조직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CMM(Capability Maturity Model)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CMM에 기반을 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 방법은 외부 전문가를 이용하여 평가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방법이다. 따라서 많은 기업에서 이러한 평가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특히, 중ㆍ소규모의 조직에서 사용하기에는, CMM의 평가방법은 너무 복잡하고 추상적이다. 소규모 기업의 경우에 3년여에 걸친 프로세스 향상노력으로 많은 성과가 이루어 졌음에도 불구하고 CMM의 평가방법을 이용한 결과는 1 단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사례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CMM의 평가 방법은 중소 규모 조직에는 적절치 않다는 것을 입증한다. 따라서 중소 규모 기업이나 조직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의 성숙도 평가와 개선을 위한 모델들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펼쳐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모델인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영역 분류에 의거해서,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취득에 관련된 조직들이 각 프로세스 영역을 얼마나 중요하게 평가하는지, 그리고 해당 영역에서의 기준, 절차 그리고 방법을 문서화시키는 것을 얼마나 중요하게 평가하는지를 조사하였다. 한국의 소프트웨어 개발 관행은 CMM이나 ISO Is504 등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하고 있는 국제 표준과는 많이 다르며, 나아가서는 예를 들어, 미국의 일반적인 관행과도 많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미국이나 유럽의 대규모 소프트웨어 조직을 위해서 개발된 CMM이나 ISO 15504 등은 우리나라의 중소 규모 소프트웨어 조직에는 특히 부적절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조직의 종류, 조직의 규모, 그리고 프로젝트 수행 규모에 따라서 각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영역의 중요도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영역의 기준, 절차 그리고 방법을 문서화시킬 필요성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조직들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서 무엇을 정말로 필요로 하는지를 밝힘으로써, 한국 소프트웨어 산업의 현실적인 특수성을 고려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와 개선 모델의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조직들이 실제로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밝힘으로써,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입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Empirical Study on Software Process Capability and Maturity Level, and Development of the Appraisal System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능력 및 성숙 수준에 관한 실증적 비교 분석과 평가 시스템 개발)

  • 홍정유;이수정;경원현;고석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2.11a
    • /
    • pp.178-198
    • /
    • 2002
  • 1980년대 초기 미 국방성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의 소프트웨어 개발능력에 대한 판단 착오로 금전적, 시간적, 성능상의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다. 따라서 미 국방성은 카네기 멜론 대학의 SEI(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를 통하여 소프트웨어 개발능력을 측정하고, 조직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CMM(Capability Maturity Model)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CMM에 기반을 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 방법은 외부 전문가를 이용하여 평가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방법이다. 따라서 많은 기업에서 이러한 평가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특히, 중ㆍ소규모의 조직에서 사용하기에는, CMM의 평가방법은 너무 복잡하고 추상적이다. 소규모 기업의 경우에 3년여에 걸친 프로세스 향상노력으로 많은 성과가 이루어 졌음에도 불구하고 CMM의 평가방법을 이용한 결과는 1 단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사례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CMM의 평가 방법은 중소 규모 조직에는 적절치 않다는 것을 입증한다. 따라서 중소 규모 기업이나 조직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의 성숙도 평가와 개선을 위한 모델들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펼쳐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모델인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영역 분류에 의거해서, 우리나라의 소프트41어의 개발과 취득에 관련된 조직들이 각 프로세스 영역을 얼마나 중요하게 평가하는지, 그리고 해당 영역에서의 기준, 절차 그리고 방법을 문서화시키는 것을 얼마나 중요하게 평가하는지를 조사하였다. 한국의 소프트웨어 개발 관행은 CMM이나 ISO 15504 등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하고 있는 국제 표준과는 많이 다르며, 나아가서는, 예를 들어, 미국의 일반적인 관행과도 많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미국이나 유럽의 대규모 소프트웨어 조직을 위해서 개발된 CMM이나 ISO 15504 등은 우리나라의 중소 규모 소프트웨어 조직에는 특히 부적절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조직의 종류, 조직의 규모, 그리고 프로젝트 수행 규모에 따라서 각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영역의 중요도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영역의 기준, 절차 그리고 방법을 문서화시킬 필요성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조직들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서 무엇을 정말로 필요로 하는지를 밝힘으로써, 한국 소프트웨어 산업의 현실적인 특수성을 고려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와 개선 모델의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조직들이 실제로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밝힘으로써,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입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자동화와 대학도서관조직구조

  • Yun, Hui-Yun
    • KLA journal
    • /
    • v.31 no.4 s.263
    • /
    • pp.8-19
    • /
    • 1990
  • 이 논문은 Michael von Cotta-Schonberg가 Libri, Vol.39, No.1 (March 1989)에 발표한 ‘Automation and Academic Library Structure', pp.47~63을 완역한 것으로 도서관자동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 대학도서관계의 조직구조를 재검토하는 데 참고가 될 자료로 사료됨.

  • PDF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Aviation Security Work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항공보안업무 종사자의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Cho, Yong-Hoon;Lee, Chi-Young;Park, Su-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49-50
    • /
    • 2023
  • 본 연구는 항공보안업무 종사자의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항공보안검색요원 300명을 대상으로 집락표본추출법(cluster sampling method)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중 표기오류, 누락, 전체 항목의 동일 표기 등을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27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조직문화는 조직유효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의 하위요인인 합리문화, 합의문화, 발전문화는 조직유효성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계문화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합의문화, 위계문화, 발전문화 순으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쳤으나 합리문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f Airline Members on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Work: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항공사 구성원의 조직문화 유형이 조직업무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Lee, Jung-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8
    • /
    • pp.594-603
    • /
    • 2019
  •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an Airline company to discover and utilize new knowledge because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considered core tools for achieving high performance and competitive advantage, and achieving high performance and competitive advantage will surely determine the long-term survival of airline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the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and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work by airline members from a holistic viewpoint.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f airline members on knowledge sharing, a creative innovation culture, a relational group culture and a hierarchical orientation culture all showed positive effects on knowledge sharing. Second, the knowledge sharing by airline membe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work. Third, the creative innovation culture, the relational group culture and the hierarchical orientation culture all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work. Fourth, knowledge sharing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work.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Job Fit,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Job Training Program Participant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중소기업 직무교육훈련 참여자의 개인-직무적합성과 자기효능감 및 조직몰입의 관계)

  • Seong-Jun Jeon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3 no.4
    • /
    • pp.207-23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JF(person-job fit) and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factor.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at person-job fit has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efficacy has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the studies to identify whether self-efficacy has a role in mediation between PJF and the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been insufficient. To that end, we considered self-efficacy as the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JF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 used the data which to perform national policy research from 690 workers at a small or medium firm.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it was suitable for the acceptance criteria. Besides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verify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PJF,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PJF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ignificantly. Also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ignificantly.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JF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significant. In order to improve person-job fit, this study suggested that SMEs' owners should consider job rotation system and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employees. Based on this study result and implications, we discussed limit of research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The Convergence Relation of Communicatio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Nurse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감정노동, 조직몰입 간의 융합관계)

  • Ahn, Sung-Y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6
    • /
    • pp.147-152
    • /
    • 2017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grasp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nurse 's communication ability,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purpose, 106 nurses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s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2016 to August 15, 2016. Communication skills were measured by Kim & Woo 's communication ability measurement tool, emotional labor was measured by Morris & Feldman' s too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developed by Mowday et al.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 ability differed according to age (F = 5.78, p = 0.004), marital status (t = -4.06, p <0.001) and position (t = -5.35, p <0.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 = 0.293, p = 0.002). This result suggests a convergence implication on the provision of basic data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in nursing practic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