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료개발

Search Result 19,281,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템플릿에 기반한 객체 지향 탄성파 자료 처리 시스템

  • 김남윤;이두성;최재경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6a
    • /
    • pp.88-9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현장에서 획득한 2차원 탄성파 탐사 자료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탐사 자료는 매우 방대하여 효율적인 자료 처리 및 관리 시스템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듈의 처리 과정에서 QC(Quality of Control)를 쉽게 하기 위해 윈도우 기반 GUI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모듈의 처리 흐름과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는 템플릿 개념을 소개한다. 또한 객체 지향 개념을 도입하여 모듈들의 삽입, 삭제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개발 환경은 MFC를 바탕으로 Windows 운영체제에서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탄성파를 이용한 지반 조사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보육시설 어린이를 위한 영양교육 자료개발 및 활용방안 모색

  • 민영희;김연정;진예원;박혜련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399.1-399
    • /
    • 2004
  • 영양사가 배치되지 않은 보육시설에서의 효율적인 영양교육 방안을 찾고자하는 목적으로 안양시 동안구 소재 73개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전수조사하여 영양교육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진단결과를 바탕으로 필요한 영양교육 자료와 함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총 17종의 교육자료를 메뉴얼과 함께 개발하여 보육시설에 대여할 수 있도록 하였고 교육은 총 4회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중략)

  • PDF

Development of Linux-Based Web Storage Management System (리눅스 기반의 웹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의 개발)

  • 이보라;장현희;박성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811-814
    • /
    • 2003
  • 네트워크의 발전과 파일의 대용량화는 웹 스토리지의 개발을 초래했다. 웹 스토리지는 웹 상에 저장 공간을 두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자료를 저장 및 관리하도록 개발된 시스템이다. 자료를 필요로 하는 위치에서 언제 어느 때나 접근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자료를 제공하는데 용이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신에게 할당된 웹 스토리지 공간을 사용자가 쉽게 관리하고 웹 스토리지 내의 자료를 다른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Needs and Directions for Developing Localization Materials in Geology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 Focused on the Unit of 'Strata and Fossils' (초등과학 교과서 지질 분야의 지역화 자료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 '지층과 화석' 단원을 중심으로)

  • Lim, Sungm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2 no.3
    • /
    • pp.184-19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eeds and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localization data in the geological field of elementary school. Many studies show that geology-related learning is highly effective in the form of direct learning, and It is reported that this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cientific attitudes. As such, the first-hand experience of the geological learning is outdoor geology learning and is the basis and core of the development of localization materials. However, the analysi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outdoor geology learning site is mainly conducted in some region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geological sites are distributed evenly throughout Korea,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evelop geological-related localization materials to learn elementary school geology-related units. In addition, some areas where outdoor geological study grounds were developed are composed only of learning places and no specific learning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In this regard, not only geological researchers but also field teachers working in the area need much effort. Development of localization material in the geological field needs to be developed at the level of material presented in the geology unit of the textbook. And in the actual class, it is desirable to use the textbook data and the developed localization data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 outdoor geology field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pre-experience-post activities so that learners can have various geological experiences.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EAM Instruction Material for Mathematics Subject-Based Advanced Technology and ICT Teaching Tools (초등수학 교과 기반 첨단 기술 및 ICT 교구 활용형 융합교육 자료 개발에 대한 사례 연구)

  • Lee, Jong-ha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5 no.4
    • /
    • pp.333-352
    • /
    • 2022
  •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the STEAM instruction materials for mathematics subject-based advanced technology and ICT teaching tools. In order to develop the STEAM materials, a PDI model in which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teps were simplified to Improvement was used. The developed STEAM material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by a group of experts. The subject of the STEAM class material developed in this study is 『Graph! The bridge that connect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 『You are the same but different!』 , 『Creating a virtual reality three-dimensional space together』 , 『And making interesting figures』 and 『Cover the roof of the turtle ship!』 . As a sugges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development study, various STEAM education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nd shared so that STEAM educ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elementary education field. And for the spread and settlement of STEAM education, the cultivation and expansion of STEAM education capabilities of on-si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r pre-service teachers will be an absolute prerequisite. And this suggests the need for a continuous and long-term approach to follow-up research on STEAM education.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the Nature of Science and Pilot Application to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과학의 본성 지도자료 개발과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한 시험적용)

  • Park, Jong-Won;Kim, Doo-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8 no.2
    • /
    • pp.169-179
    • /
    • 2008
  • In this study, 46 teaching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42 statements describing the NOS. Each teaching material involves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tific inquiry skills as well as NOS statements. Teaching materials consist of students' learning worksheets and teachers' guides. Among the materials, 11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NOST) were applied to 3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s results, the degree of difficulty was appropriate and students showed interests in scientific thinking rather than new concepts or inquiry activities involved in the materials. It was expected that understating the NOST would be helpful for conducting scientific inquiry in more authentic way. And similarly to the Park's (2007)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S and scientific creativity, students actually responded that undertrading the NOST could help their creativity.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teaching the NOST would be plausible elements for teaching scientific creativity.

Development of a graphic user interface for single reservoir simulation model reflecting discrete hedging rule (용수 감량공급 기준곡선을 반영한 단일 댐 모의 운영 모형의 사용자 편의 환경 개발)

  • Jin, Youngkyu;Lee, Sangho;Park, Jinhyu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74-374
    • /
    • 2018
  • 프로그래밍 언어로 개발된 프로그램들은 최종 사용자 입장에서 입력과 출력이 불편하다. 또한, 모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그래프를 작성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용수 감량공급 기준곡선을 반영한 단일 댐 모의 운영 모형을 최종 사용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 환경을 개발한 것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용수 감량공급 기준곡선을 반영한 단일 댐 모의 운영의 사용자 편의 환경은 미국의 GoldSim Technology Group에서 개발한 GoldSim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사용자 편의 환경에는 단일 댐 모의 운영에 필요한 여러 입력 자료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단일 댐 모의 운영 입력 자료에는 월별 기본계획공급량, 가뭄 단계별 용수 감량공급 비율, 과거 유입량 시계열, 갈수 빈도 유입량 시계열, 가뭄 단계별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 초기 저수량, 저수용량 등이 있다. 개발된 모형의 초기값은 합천댐의 자료가 입력되어 있으나, 입력자료를 변경하여 다른 다목적댐의 모의 운영에 활용이 가능하다. 단일 댐 모의 운영 결과로서 모의 기간 내 발생한 용수별 용수 공급 부족량과 감량공급 일수를 확인가능하다. 또한, 단일 댐 모의 운영 결과를 다양한 그래프로 출력 할 수 있다. 출력 가능한 시계열 그래프는 사용자가 입력한 용수 감량공급 기준곡선, 모의 시 사용한 유입량 시계열, 가뭄 단계, 용수 공급량, 저수량이다. 연구의 사례와 같이 GoldSim을 활용하면 연구개발의 편의 환경을 별도의 편의 환경 개발자를 거치지안고 과학 기술자가 직접 개발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Heavy rain damage Prediction functions in Gyeonggi Province (경기도 지역 호우피해 예측함수개발)

  • Kim, Jongsung;Choi, Changhyun;Oh, Seunghyun;Han, Daeg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03-204
    • /
    • 2016
  • 최근 자연재난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기후변화 및 도시화 등으로 인해 재산피해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연구는 재난이 일어난 후 사후복구차원에서 피해액을 집계하거나 복구비를 추정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재난이 발생하기 전에 피해액을 추정하는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인공신경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전체 자연재난 피해액의 약 95%를 차지하는 호우피해액을 예측하기 위한 피해함수 개발하고자 한다. 대상지역으로는 경기도 지역으로 선정하였고, 1994년부터 2015년까지의 수문기상자료와 시군구별 재해통계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위한 함수개발을 위한 자료로 재구축하였다. 또한 시간별 최대 강우량과 피해액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지속시간별(1~24시간) 최대강우 자료와 재해기간별 선행강우(1~5일)자료, 그리고 재해기간의 총강우량 자료가 상관성이 높다는 것을 파악했다. 이를 독립변수로 활용하고, 재해기간별 피해액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여 지역별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재해예방을 위한 방재체계를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되며, 사전대비 차원의 재난관리를 통해 정책결정권자들의 의사결정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The Conversion of a Set, a Sequence, and a Map in VDM to a Linked List in a Programming Language (VDM의 자료구조인 set, sequency, map의 프로그래밍 언어 자료구조인 linked list로의 변환)

  • Yu, Mun-Se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8D no.4
    • /
    • pp.421-426
    • /
    • 2001
  • A formal development method is used to develop software rigorously and systematically. In a formal development method, we specify system by a formal specification language and gradually develop the system more concretely until we can implement the system. VDM is one of formal specification languages. VDM uses mathematical data structures such as sets, sequences, and maps to specify the system, but most programming languages do not have such data structures. Therefore, these data structures should be converted. We can convert mathematical data structures in VDM to a linked list, a data structure in a programming language. In this article, we propose a method to convert a set, a sequence, and a map in VDM to a linked list in a programming language and prove the correctness of this conversion mathematically.

  • PDF

Development of Water Profile Visualization Method for Water Level Data Quality Management (수위자료의 품질관리를 위한 수위의 공간적 변화 시각화 기법 개발)

  • Park, Hee-Seong;Cho, Herin;Kim, Hyou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05-505
    • /
    • 2015
  • 수위자료는 유량을 판단하기 위한 기초적인 수문자료이다. 하지만 관측자료는 항상 오류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해 지속적인 품질관리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수위자료는 단일 지점에서 시간에 따라 수집되므로 시간에 따른 변화 등을 이용하여 수위자료의 오류 여부를 판단한다. 하지만 실제 수위자료는 상류와 하류가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 하류의 관계를 비교함으로써 수위자료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하천의 수위자료를 해발수위 자료로 변환하여 하구로부터의 거리를 이용해 도시함으로써 수위 프로파일을 시각화하고 그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수위자료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이용해 수위 오류를 찾을 수 있는 시각화 기법을 개발하였다. 그림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각 관측소 수위의 정상 경사와 역 경사를 시간별로 구분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추적함으로써 수위자료의 오류와 수위관측소 제원 정보의 오류 등을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수위자료에 대한 향상된 품질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