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동 악보 작성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악보 인식과 연주 기능을 제공하는 음악 플레이어 (A Music player providing a musical scor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function)

  • 이승환;황보인;홍기찬;최우석;고정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49-951
    • /
    • 2015
  • 컴퓨터의 활용 범위가 다양화되면서 음악 분야에도 컴퓨터의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다. 기존의 악보 인식 방법들은 대부분 특정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악보만 편집과 재생이 가능하고 다른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악보는 수정과 재생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이미 작성된 악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재생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스마트폰 소지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악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악보를 인식시킨 후 연주 기능을 이용하여 음악을 즐길 수 있다.

  • PDF

퍼지 ART 알고리즘을 이용한 인쇄 악보의 자동 인식과 연주 (Automated Recognition of Printed Music using Fuzzy ART Algorithm and Performance)

  • 김미정;김광백;박충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410-414
    • /
    • 2008
  • 음악 연구에 따른 컴퓨터의 역할이 점차 중요한 비중을 차지함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악보 인식 방법이 요구된다. 기존의 악보 인식 방법에서는 특정 수정 프로그램에서 만든 악보만 그 프로그램에서 재수정과 재생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미 작성 되어있는 악보들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재생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악보 인식 방법은 수평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악보 이미지의 오선을 제거한 후, Grassfire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악보 구성 기호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악보 구성 기호들은 악보 구성 기호의 특징을 이용하여 음표와 쉼표, 그 외의 기호들로 분리한다. 분리된 음표 기호들은 박자마다 다른 음표 형태의 특징을 이용하여 다시 세밀하게 분리하고 쉼표와 그 외의 기호들은 퍼지 AR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식한다. 인식된 악보 구성 기호들을 이용하여 각각 정보를 저장하고 향후에 악보 구성 기호에 해당하는 음의 재생을 용이하게 한다. 제안된 악보 인식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50장의 악보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악보 영상의 인식 방법이 실험을 통해서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악보작성 및 재생 시스템 (Melody Note - Music Score Editor and Play System)

  • 김태기;이대정;박미라;민준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59-1062
    • /
    • 2009
  • 컴퓨터에 의한 음악의 처리가 점차 발전함에 따라 음악의 자동 입력에 관한 연구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에 음악을 입력하는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전의 연구들은 전문가만이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즉, 기존 악보 제작 프로그램은 초보자가 사용하려면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비전문가가 음성으로 만들어낸 음을 추출한 후, 음원의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악보를 그리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비전문가가 작곡을 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컴퓨터에 의해 처리된 악보를 다양한 악기로 연주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비전문가도 음성과 간단한 시스템 조작에 의해 작곡을 할 수 있고, 원하는 악기로 연주되는 음악을 만들 수 있다.

  • PDF

Hierarchical ART2 알고리즘을 이용한 악보 영상 인식 (Music Image Recognition using Hierarchical ART2 Algorithm)

  • 김미정;김재균;박충식;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369-374
    • /
    • 2008
  • 음악 연구에 따른 컴퓨터의 역할이 점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함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악보 인식과 효율적인 악보의 편집 및 수정 방법이 요구된다. 기존의 수동 입력 방식에서는 악보를 부정확하게 입력하여 수정하는 경우에는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각 수정 프로그램에서 만든 악보는 특정 프로그램에서만 재수정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미 작성 되어있는 악보들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악보 인식 방법은 수평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악보 이미지의 오선을 제거한 후, 4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Grassfire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악보 구성 기호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악보 구성 기호들은 Hierarchical ART2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식한다. 인식된 악보구성 기초들을 이용하여 악보 구성 기호들이 속하는 마디의 위치 정보를 각각 저장하고 향후에 악보 구성 기호의 편집과 수정이 용이하게 한다. 제안된 악보 인식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100장의 악보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시된 Hierarchical ART2 알고리즘을 이용한 악보 영상의 인식 방법이 실험을 통해서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 PDF

퍼지 ART 알고리즘을 이용한 인쇄 악보의 자동 인식과 연주 (Automatic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Printed Musical Sheets Using Fuzzy ART)

  • 김광백;이원주;우영운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84-89
    • /
    • 2011
  • 음악 연구에 따른 컴퓨터의 역할이 점차 중요한 비중을 차지함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악보 인식 방법이 요구된다. 기존의 악보 인식 방법에서는 특정 수정 프로그램에서 만든 악보만 그 프로그램에서 재수정과 재생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미 작성 되어있는 악보들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재생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악보 인식 방법은 수평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악보 이미지의 오선을 제거한 후, grassfire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악보 구성 기호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악보 구성 기호들은 악보 구성 기호의 특징을 이용하여 음표와 쉼표, 그 외의 기호들로 분리한다. 분리된 음표 기호들은 박자마다 다른 음표 형태의 특징을 이용하여 다시 세밀하게 분리하고 쉼표와 그 외의 기호들은 퍼지 AR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식한다. 인식된 악보 구성 기호들을 이용하여 각각 정보를 저장하고 향후에 악보 구성 기호에 해당하는 음의 재생을 용이하게 한다. 제안된 악보 인식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50장의 악보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악보 영상의 인식 방법이 실험을 통해서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Hierarchical ART2 알고리즘을 이용한 악보 인식 (Musical Score Recognition Using Hierarchical ART2 Algorithm)

  • 김광백;우영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1997-2003
    • /
    • 2009
  • 음악 연구에 따른 컴퓨터의 역할이 점차 중요한 비중을 차지함에 따라 효과적인 악보 인식과 효율적인 악보의 편집 및 수정 방법이 요구된다. 기존의 수동 입력 방식에서는 악보를 부정확하게 입력하여 수정하는 경우에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각 수정 프로그램에서 만든 악보는 특정 프로그램에서만 재수정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미 작성 되어있는 악보들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악보 인식 방법은 수평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악보 이미지의 오선을 제거한 후, 4 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Grassfire 알고리즘을 적응하여 악보 구성 기호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악보 구성 기호들은 hierarchical ART2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식된다. 제안된 악보 인식 방법 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100장의 악보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시된 hierarchical ART2 알고리즘을 이용한 악보 영상의 인식 방법이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비점역자를 위한 '음악점자 변환기'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sic-To-Braille Translator)

  • 남윤건;민홍기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15-220
    • /
    • 2016
  • 음악 점자는 문자 점자에 비해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기호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음악 점역은 점자 기호의 숙지와 함께 악보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필요하다. 현재 문자 점역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있어서 점역사의 도움 없이 점역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음악 점역은 아직까지 음악 전문 점역사의 도움 없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자동 점역하는 것이 어렵다. 음악 점역사가 악보를 보고 직접 점자로 작성하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점자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도 음악점역을 할 수 있는 '음악점자 변환기'를 설계 및 구현 하였다. 가사처리를 위해 문자 점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악보 구현은 음표, 쉼표, 길표, 조표, 박자표, 타이, 슬러, 도돌이표를 개발하여 실제 악보의 성공적 변환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