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동분류시스템

Search Result 777,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Developing a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for Botanical Literatures (식물학문헌을 위한 자동분류시스템의 개발)

  • 김정현;이경호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2 no.4
    • /
    • pp.99-117
    • /
    • 2001
  • This paper reports on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ic book classification system using the faced classification principles of CC(Colon Classification). To conduct this study, some 670 words in the botanical field were selected, analyzed in terms [P], [M], [E], [S], [T] employed in CC 7, and included in a database for classification. The principle of a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is to create classification numbers automatically through automatic subject recognition and processing of key words in titles through the facet combination method of CC. Particularly, a classification database was designed along with a matrix-principle specifying the subject field for each word, which can allow automatic subject recognition possible.

  • PDF

A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for Hanmail Net Questions Using Multiple Neural Networks (다중 신경망을 이용한 한메일넷 질의 자동분류 시스템)

  • 이지행;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232-234
    • /
    • 2000
  • 최근들어 정보의 양이 날로 방대해 짐에 따라 이를 자동으로 분류해 줄 수 있는 무서 자동분류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다. 문서 자동분류는 새로운 문서를 미리 정의된 부류로 대응시키는 일련의 작업을 말하며, 각종 패턴인식 기법들을 이용하여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많은 사용자들의 질의들을 분류하여 자동으로 응답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자동 질의 분류시스템을 제안한다. 실험은 500만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는 한메일넷의 실제 사용자 질의를 수집하여 수행하였으며, 자동분류 방법으로는 다중 신경망을 이용하였다. 또한 효율적인 특징추출 기법과 결과 결합방법을 적용하여 분류의 정확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2204개의 실제 질의메일에 대한 실험결과, 91.1%까지의 정확율을 얻어 제안한 시스템이 실제 한메일넷의 자동응답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selection of Best suited Automatic Web Document Classification Based on Intranet (인트라넷 기반의 최적의 웹문서 자동 분류기법 선정)

  • 김국희;윤희병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10a
    • /
    • pp.423-426
    • /
    • 2004
  • 인트라넷에서는 증가하는 웹문서의 검색을 목적으로 웹 검색엔진의 도입이 활발히 진행 중이며 대부분 찾아야할 키워드를 알고 접근하는 검색엔진 형태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무엇을 찾아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 웹문서 분류체계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일부 구축되어 있는 분류체계는 수작업에 의한 분류로 인해 증가하는 웹문서의 양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곤란하므로 자동분류기법을 활용한 분류가 더 효율적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방인트라넷의 수작업으로 구축된 분류체계를 대상으로 용어 가중치를 계산하는 방법을 달리하여 다양한 분류기법을 적용하여 성능을 비교평가하고 웹문서 자동분류시스템에 적용하여 분류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 PDF

Automatic Generation of Standard Classification Code (표준 통계 분류 코드 자동 생성)

  • 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05a
    • /
    • pp.388-390
    • /
    • 2006
  • 본 논문은 수동 코드 분류 규칙과 예제기반의 자동 학습을 이용하는 한국어 표준 산업/직업 코드 자동분류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산업과 직업에 대하여 설명하는 자연어를 입력받아 해당 산업/직업 분류 코드를 생성하는 시스템으로 수작업으로 구축된 규칙을 적용한 후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레코드는 예제 기반의 학습을 이용한 자동 분류 시스템에 의해서 해당 코드를 할당한다.

  • PDF

Design of Auto Navigation System for Apparel HS Code Based on Big Data Analysis (빅데이터 기반 HS CODE 자동 제안 시스템 설계)

  • Choi, Shinah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8a
    • /
    • pp.155-158
    • /
    • 2018
  • 수출입 기업이 관세 혜택을 받거나 올바른 관세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통관 진행 시 올바른 품목 분류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품목 분류의 기준이 1만개가 넘을 정도로 방대하여 신규 사용자나 품목에 이해가 부족할 경우 분류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HS Code 분류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빅데이터 기반 이미지 분석을 통한 자동 제안 시스템을 목표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분석을 통한 HS Code 자동 제안시스템을 위한 수출입 품목 중 의류 품목의 수출입 품목에 국한하여 의류 HS Code 자동 분류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안한다.

  • PDF

System and Utilization for E-Catalog Classifier (전자 카탈로그 자동분류기 시스템과 그 활용)

  • Lee, Ig-Hoon;Chun, Jong-Hoon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4 no.9
    • /
    • pp.876-883
    • /
    • 2008
  • A clearly defined e-catalog (or product) information is a key foundation for an e-commerce system. A classification (or categorization) is a core information to build clear e-catalog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quality of e-commerce systems using e-catalogs. However, as the wide use of online business transactions, the volume of e-catalog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managed in a system has become drastically large, and the classification task of such data has become highly complex.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catalog classifier system, and report on our effort to improve an e-catalog management process and to standardize e-catalogs for enterprises by use of automated approach for e-catalog classifier systems. Also we introduce some of the issues that we have experienced in the projects, so that our work may help those who do a similar project in the future.

Design of Automatic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Using Contextual Information (맥락정보를 이용한 기록 자동분류시스템 설계)

  • Jang, Ji-Sook;Rieh, Hae-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9 no.1
    • /
    • pp.151-173
    • /
    • 2009
  • The classification in the Records and Archives Sciences focuses on the contextual information in producing and utilizing records rather than their contents. This study aimed at designing an automatic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to enable an automatic classification focusing on the aggregation of the context of records rather than the contents of individual record in the classification scheme, structured on the basis of business activities analyses for records reflecting the business activities. The automatic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was designed to have mutual supplements by constructing the classification scheme and thesaurus together as the classification reference, as well as the aggregation of records that have been already classified. Additionally included are plans to apply the classified contextual information of records to the classification reference on the real-time base right after the category assignment of records to be classified. Although there are limitations as the designed system depends on the quality of the contextual inform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system could lead to ensure that the contextual information of records should be more substantial.

An automated Classification System of Standard Industry and Occupation Codes by Using Information Retrieval Techniques (정보검색 기법을 이용한 산업/직업 코드 자동 분류 시스템)

  • Lim, Heui Seo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7 no.4
    • /
    • pp.51-60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an automated coding system of Korean standard industry/occupation for census which reduces a lot of cost and labor for manual coding. The proposed system converts natural language responses on survey questionnaires into corresponding numeric codes using information retrieval techniques and document classification algorithm. The system was experimented with 46,762 industry records and occupation 36,286 records using 10-fold cross -validation evaluation method. As experimental results, the system show 87.08% and 66.08% production rates when classifying industry records into level 2 and level 5 codes respectively. The system shows slightly lower performances on occupation code classification. We expect that the system is enough to be used as a semi-automate coding system which can minimize manual coding task or as a verification tool for manual coding results though it has much room to be improved as an automated coding system.

  • PDF

Classification of the Multimedia Attached File in E-Mail System (E-Mail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첨부파일 자동분류 시스템 설계)

  • 현영순;정옥란;조동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746-749
    • /
    • 2003
  •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와 함께 e-mail 사용자 또한 증가하게 되면서 대량의 메일을 송수신하는 경우, 메일에 대한 효율적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신된 메일의 내용을 텍스트 형태로 가져온 뒤, parallel regular expression을 이용하여 Keyword를 검색하고 추출하여 메일에 첨부되어온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자동으로 분류·저장하는 멀티미디어 첨부파일 자동분류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수신된 메일을 일일이 확인하고 분류해야만 했던 기존의 시스템과는 달리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이용했을 경우 노력과 시간을 절감하고 첨부파일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PDF

Machine Learning Technique for Automatic Precedent Categorization (자동 판례분류를 위한 기계학습기법)

  • Jang, Gyu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574-576
    • /
    • 2007
  • 판례 자동분류 시스템은 일반적인 문서 자동분류 시스템과 기본적인 동작방법은 동일하다. 본 논문에서는 노동법에 관련된 판례를 대상으로 지지벡터기계(SVM), 단일 의사결정나무, 복수 의사결정나무, 신경망 기법 등을 사용하여 문서의 자동 분류 실험을 수행하고, 판례분류에 가장 적합한 기계학습기법이 무엇인지를 실험해 보았다. 실험 결과 복수 의사결정나무가 93%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