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녀 구강건강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5초

일부 경기지역 5세 아동의 구강건강실태와 어머니의 구강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al Health State in Children at Age 5 and the Oral Health Behavior in Mothers for Some Parts of Gyeonggi Region)

  • 한지형;임도선;안용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5-120
    • /
    • 2009
  • 본 연구는 각 지역자치단체에서 아동 및 보호자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구강보건사업을 계획 및 수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화성시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을 대상으로 2007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아동의 구강검사와 어머니의 자가기입식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얻었으며, 총 23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아동의 건전치율이 79.12%를 보이고 있으며, 여아가 80.36%로 남아 78.13%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우식치율은 남아 8.74%, 여아 6.07%, 우식경험처치율은 남아 11.37%, 여아 12.59%를 보였다 2. 5세 아동의 유치우식경험율(df rate)이 전체 39.3%를 보이고 있으며, 남아가 41.3%로 37.2%인 여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우식경험유치지수(dft index)도 남아가 3.9개로 여아 3.2개보다 높은 지수를 나타내 여아가 남아에 비해 구강건강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어머니의 구강건강행위를 알아본 결과 자가구강건강상태는 미취업의 경우가 취업하고 있는 경우보다 더 좋다고 답하였다(p = 0.002). 스케일링 경험 유무나 정기검진 유무에 있어서는 취업하고 있는 경우가 약간 높은 결과를 보이고 있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 4. 자녀의 구강관리를 알아본 결과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p = 0.011), 취업을 하고 있지 않은 어머니일수록 간식을 적게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 = 0.41), 자녀의 정기검진 유무에 있어서는 학력수준이 높을수록(p = 0.047), 취업을 하고 있을수록(p = 0.044) 높게 나타났다.

  • PDF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요인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in Long-term Care Center)

  • 신민우;안권숙;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24-537
    • /
    • 2017
  •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특성,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 신체적 기능(ADL, IADL) 및 정신적 기능(CES-D, MMSE-K)과 삶의 질(WHOQOL-BREF)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장기요양인정자로 판정받은 장기요양시설급여노인 602명으로 하였으며, 2016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직접 면접조사와 구강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생활비조달을 본인이 하는 경우보다 자녀가 조달하거나 정부의 보조를 받는다는 군에서, 요양기간이 길수록, 비음주군보다 음주군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식사를 규칙적으로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건강하다는 군보다 건강하지 않다는 군에서, 1일 칫솔질 횟수가 적을수록, 구강건조증이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가 낮을수록, 신체적 기능(ADL, IADL)이 낮을수록, 정신적 기능(CES-D, MMSE-K)이 낮을수록 유의하게 낮았다. 특히 삶의 질은 다른 요인보다 건강관련행위특성과 정신적 기능(CES-D, MMSE-K)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건강관련행위를 비롯하여 우울 및 인지기능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아우식증 예방을 위한 모범 유치원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 효과 - 인천 일부지역 유치원을 중심으로 (Effect of Oral Healthcare Program of Exemplary Kindergartens for Prevent the Dental Caries in Incheon City, Korea)

  • 안세연;황윤숙;한수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01-509
    • /
    • 2013
  • 본 연구는 치아우식증 예방을 위한 모범 유치원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2012년 4월 구강보건 교육 전, 후 유아의 구강보건행태 변화에 대해 부모를 통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유아를 대상으로는 치면세균막관리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교육 전, 교육 직후, 교육 3주 후에 PHP index를 측정하였다. 전체 156명의 유아 중 참여에 동의하지 않았거나, 해당일 결석으로 구강보건교육에 참여하지 못한 유아와 설문지 회수가 되지 않은 유아를 제외하고 총 13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보건교육 시행 후 자녀의 시기별 칫솔질 실천율과 칫솔질 빈도, 소요시간, 칫솔질 행동에는 변화가 없었다(p>0.05). 치아건강교육에 대한 관심은 변화 없었으나(p>0.05), 칫솔질 방법 인지와 칫솔질 권유 시 반응, 치아의 중요성 인지는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p<0.05). 2. 유아의 구강환경관리능력(PHP index)은 교육 전 3.87, 교육 직후 2.71, 교육 3주 경과 후 3.27로, 교육 전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01). 3. 보호자의 자일리톨 급식 인지율은 90.0%, 충치예방효과 인지율은 75.3%, 권유의사는 50.8%였으며, 추후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할 경우 보호자의 76.9%는 참여한다고 응답하였다. 부모의 관찰 결과 유아의 33.1%는 자일리톨 급식후, 60.7%는 구강보건교육 후 충치예방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고 하였다. 결과적으로 충치예방 모범 유치원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교사와 부모, 유아를 대상으로 계속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유아의 구강건강행동이 습관화되고 칫솔질 능력이 완성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와 재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자녀의 구강건강 관심도 및 인지도에 따른 치아우식예방법의 인식과 실천 (Awareness and practice of dental caries prevention according to concerns and recognition for off-spring's oral health)

  • 이지영;조평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1005-1016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mothers on their children's oral health and their concern for that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hip of their awareness of methods of dental-caries prevention to their practice of the method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7 guardians of preschoolers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5 to May 27, 2011,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8.0. Results : 1.Self-rated concern for children's oral health, 87.7 percent and 12.1 percent replied, "So-so." Whether they were working or not and whether they were mainly responsible for child rearing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at(p<.05). 2. As to subjective awareness of their children's oral health, the largest group of the mothers answered "So-so." (44.9%) The second replied that their children were in good oral health(40.5%), and the third group in poor oral health(14.2%). 3.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concern for their children's oral health and awareness of methods of caries preven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oothbrushing education and sealant(p<.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actice, but application of fluoride was the least. 4.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awareness for their children's oral health and awareness of the preventive methods of cari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in awareness of toothbrushing education(p<.05). In practic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practice of toothbrushing education and sugar-intake restriction(p<.01). 5. In regard to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practice of the preventive methods of caries, awareness of all the factors involving toothbrushing education, sealant, application of fluoride and restriction of sugar intak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practice of them. Better awareness led to better practice. Conclusions : In order to ensure children's successful oral health care, more authentic education of how to prevent dental caries should be offered by experts such as dental hygienists and dentists. Especially, detailed information on application of fluoride, restriction of sugar intake and pit and sealant should be provided for mothers to help their children to stay away from dental caries.

가구특성과 미성년 자녀의 치과이용 - 모의 특성을 중심으로 -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Underage Children's Dental Clinic Use - Focusing on the Mother's Characteristics -)

  • 김정욱;배호중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3호
    • /
    • pp.121-140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을 활용하여 어머니의 특성 및 가구특성변수가 아동 청소년기 자녀의 치과이용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분석결과, 모(母)의 교육수준은 미성년 자녀의 치과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친가정에 비해 한부모가정에서 양육되는 자녀들의 치과이용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환별 치과이용 여부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충치로 인한 치과이용 가능성은 모(母)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한부모가정 자녀들은 양친가정 자녀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치의 경우 모(母)의 특성이나 가구특성에 따른 치과이용 차이를 살필 수 없었는데 이는 유치에서 영구치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연령의 영향이 절대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교정의 경우 모(母)의 교육수준 및 가구소득이 치과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개선방안을 강구하는 데 아동의 성장단계 및 가구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전략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 PDF

서울 거주 외국인 아동의 치과 이용 실태 조사 (A Survey on Utilization of Dental Services by Foreign Children in Seoul)

  • ;선예지;이효설;김승혜;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54-163
    • /
    • 2017
  • 이번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외국인 아동의 치과진료 현황 및 만족도를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는 것으로, 국내 거주 외국인 아동에 대한 치과의료서비스의 확충 및 관련 제도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총 3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중 14개 문항은 응답자의 국적을 포함한 인구통계학적 정보에 관한 문항이었고 나머지 21개 문항은 응답자의 구강 위생 관리 및 치과 경험에 관한 것이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총 391명 외국인 집단의 국적 분포는 현재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국적별 통계 실태를 반영하진 않았다. 이번 연구 참가자 중 18.9%가 아프리카 출신이었는데, 이는 북미 비율 (21.0%)과 비슷할 정도로 높았다. 또한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진 보호자가 80% 이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외국인들이 연구 대상에 다수를 차지하는데 비해, 외국인 아동 및 보호자의 구강위생 및 우식 예방과 관련된 치과적 지식이 부족함이 나타났다. 한국에 오기 전과 후의 치과 경험율은 비슷하였다. 전반적인 만족도 검사에서 치과 치료의 질과 직원의 친절도 등에서는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언어 소통의 불편함과 진료비에 대한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비교적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의 한국 체류 외국인들도 자녀의 구강 건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국내 거주 외국인 아동의 구강 건강을 증진시키고 치아 우식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외국인 아동에 대한 영유아 치과 검진의 확대 및 구강 보건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구강건강 관심도 조사 (Parents' concern for child oral health)

  • 김경선;김선주;김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05-41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est level of mothers in oral healt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4 mothers whose children attended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K.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15 through April 30, 2007, and SPSS WIN 11.5 program was employed to analyze their answer shee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 group of mothers whose children brushed their teeth three times a day on the average made up 55.7 percent of those who were at the age of 35 and under. Among the mothers having three or more children, those mothers accounted for 59.1 percent. The daily mean toothbrushing frequency of children was higher among the better-educated mothers. 2. Concerning dietary and oral guidance, the mothers whose academic background was better curbed their children's excessive sugar intake more often,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As to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by the number of child and academic credential, those who had two children(36.0%) taught them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frequently(pE.01), and the better-educated mothers taught about it often(pE.05). The gap between the groups and the others was significant. 3. As for experience of visiting dental institutions, the working mothers visited dental institutions more often than the stay-at-home mothers, and the gap between th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Regarding purpose of the visit, the largest group aimed to get treatment(64.6%), followed by having a dental checkup(14.6%) and receiving preventive treatment(13.5%). As to any inconveniences in using dental institutions, those who were working and who were in the upper income bracket found it more inconvenient to do that because of a long distance or time constraints.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ignificant. 4. In regard to concern for dental care, the mothers who were better educated(pE.001) and whose family income was 3 million won or more had their teeth scaled more often,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1). The rate of the regular visitors of dental institutions stood at 32.7 percent of the junior-college graduates, 31.0 percent of the mothers receiving college or higher education and 10.1 percent of the high-school graduates(pE.01). And those who earned larger income paid a visit to dental institutions more often and on a regular basis.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 PDF

미취학아동에서의 부모의 양육방식과 치아 우식 간의 상관 관계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Dental Caries in Preschool Children)

  • 이미소;탁민경;김재곤;양연미;이대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8-8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3세에서 6세 사이의 한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치아 우식과 부모의 양육방식 간의 상관 관계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다. 3세에서 6세 사이의 어린이 158명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부모의 양육방식은 권위있는 부모, 권위주의적인 부모, 허용적인 부모로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Parenting Styles and Dimensions Questionnaire(PSDQ)를 번안하여 부모의 양육방식을 평가하는데 척도로써 사용하였다. 353명의 부모와 자녀 중 158개의 설문지가 완성되었고, 권위있는 부모가 95.6%로 대다수를 이루었으며 권위주의적인 부모가 3.8%, 허용적인 부모가 0.6%를 차지하였다. 부모의 양육방식과 치아 우식과의 관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권위있는 양육방식에서의 평균 dft index 값이 다른 그룹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다. 권위있는 양육방식의 하위척도들에 따른 dft index를 비교하였을 때, 권위있는 경향 정도가 증가할수록 dft index가 감소하였다. 권위있는 양육방식의 자녀에서 우식 경험률이 낮게 나왔다. 또한 권위있는 경향이 강해질수록 자녀의 우식 경험률이 낮아졌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방식이 자녀의 구강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치과의사는 부모의 양육방식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에 대해 지도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익산시 거주 모친의 자녀에 대한 구강건강관리 행태 (Mother'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 to their Children In Iksan)

  • 최미숙
    • 환경위생공학
    • /
    • 제21권2호
    • /
    • pp.36-46
    • /
    • 2006
  • The purpose i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ther'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 to their children. Two hundreds sixty seven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among the residents living of Iksan city, Korea.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and administered to the samples. The research focused in the following items: the subjects'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education level and employment and so on; their knowledge of plaque; the leading causes of caries, regular dental examinations; dental treatment; their interest in their children's dental health; the frequency of the subjects examining their children's teeth; non-cariogenic food preparation, etc. Being based in collected data, mothers'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 to their children were analyzed according to maternal socio-demographic factor and result were following.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ubjects knowledge of dental plaque in accordance with their employment or unemployment and family income.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ther's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 to their children according to parents' education level, the subjects' age and family income. Most of mother answered the main reason of dental caries was that their children did not toothbrush their teeth regularly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subjects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 level of fathers and family income. The subjects had a low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preventing caries with the help of fluoride. They didn't have enough understanding of water fluoridation. So it is necessary that active campaigns should be launched to enlighten people in relation to the ways of preventing dental caries with fluoride.

일부 어머니의 구강보건지식 및 행태에 따른 자녀의 구강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status of children's dental health following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 권현숙;이은경;조갑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70-684
    • /
    • 2009
  • Objectives : This research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closely affect the children's dental health and the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dental health behavior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the latter with the status of children's dental health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dental health business that would target children. Methods :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rbitrarily from three nursery schoo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argeting 186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four to six and their mothers. The children were subjected to dental Inspection, and the status of their dental caries was studied whereas the mothers were subjected to the survey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dental health behavior. Results : 1. Level of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is higher when the mothers' educational level is higher(p=0.02) and when the household's monthly income is higher(p=0.009). 2. When the level of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is higher, children tended to brush their toothbrushing using proper method(p=0.025). Moreover, when the level of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is higher, they tended to take their children to dental clinic mostly for preventive measures than for treating cavity(p=0.023). 3. When the level of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is higher, children's dmft index was significantly low(p=0.02). When the mothers use fluoride-containing toothpaste, children's children' dmft index was even lower(p=0.02). 4. As the children tended to brush their teeth more often, dmft index was lower(p=0.003). When the reason that the children visited dental clinic was more to prevent, than to treat cavity, dmft index was even lower(p=0.000) Conclusions : When the above mentioned results are summarized,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dental health behavior significantly affect children's dental health.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ternal and child dental health program that factors in both the mothers and children in order to prevent children's dental caries and to increase their dental health, and continued care is required to discover and treat dental caries early 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