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 불일치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7초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의 내담자 단일사례연구: Fairbairn의 심리구조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tic Client: Focused on Fairbairn's Psychological Structure)

  • 고준식;안인숙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2호
    • /
    • pp.109-117
    • /
    • 2023
  • 현대산업사회는 직장인에게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을 요구하며, 자기불일치를 야기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Fairbairn의 심리구조를 중심으로 분열된 자아를 통합하고 대인관계 패턴을 변화시켜 자기불일치를 감소시키는 상담전략을 제안하는 것이었다. 상담은 2022년 3월부터 7월까지 주 1회, 총 14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t-검증을 사용하였고, 자기질문지를 사전, 사후 실시하여 내담자의 자기불일치 수준을 비교하였다. 내담자는 상담 초기에 직장상사와 갈등하면서 분노, 우울, 위장장애 등의 신체화 증상과 엄격한 자기 및 타인 평가들을 나타냈으며, 자기불일치 수준이 높았다. 상담을 통해 내담자의 리비도적 자아와 반비리도적 자아가 탈억압되어 중심자아로 기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자기불일치가 감소하는 모습이 나타났으며, 자기불일치 사전-사후검사 결과에서 유의미한 상담성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Fairbairn의 심리구조를 적용한 사례연구로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의 내담자가 대인관계 패턴의 변화를 확인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전문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Self-Discrepancy on Well-being in College Student: A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 정명화;형정은;조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606-620
    • /
    • 2015
  • 본 연구는 자기불일치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및 경남에 소재한 전문대학에 재학중인 58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불일치, 안녕감, 사회적 지지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기불일치, 안녕감, 사회적 지지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SPSS 21.0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분석하고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자기불일치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불일치와 안녕감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사회적 지지와 안녕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연구 가설과는 달리 자기불일치와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가 주는 시사점을 논의를 통해 밝혔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외적 자기가치 수반성과 물질주의의 관계: 자기 불일치,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Contingencies of Self-Worth and Materialism of Undergraduates: Self-Discrepancy and the Stability of Self-Esteem as Mediators)

  • 신지윤;설경옥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3호
    • /
    • pp.373-392
    • /
    • 2022
  • 본 연구는 Donnelly 등(2016)의 물질주의 추구에 대한 도피이론을 적용하여 대학생의 물질주의 추구 과정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도피이론에서 제시된 6단계 중 높은 삶의 기준에 비추어 자신의 부족함을 느끼는 1단계를 외적 자기가치 수반성으로, 부족한 자신을 비난하는 2단계를 실제-이상적 자기 간 불일치로, 자신을 혐오적으로 인식하는 3단계를 낮은 자존감 안정성으로 개념화하였다. 이상의 도피이론 3단계에 따라 외적 자기가치 수반성이 자기불일치와 자존감 안정성을 매개로 물질주의를 예측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가설 확인을 위해 대학생 465명(여 26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외적 자기가치 수반성과 물질주의 간 관계에서 자기 불일치의 매개효과 및 자기 불일치와 자존감 안정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물질주의에 대한 외적 자기가치 수반성의 직접효과 또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능력주의 한국사회에서 대학생이 물질을 좇게 되는 과정을 도피이론을 적용하여 경험적으로 밝힌 의의가 있다.

관성개념에 대하여 자기의 생각과 불일치하는 상황의 유형에 따른 학생의 반응 (Students' Responses Confronted with Discrepant Situation Patterns about Inertia Concept)

  • 이경호;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16-527
    • /
    • 1999
  • 이 연구의 목적은 자신의 생각과 불일치 하는 관성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불일치 상황은 과학개념 변화 모형(권재술. 1989)을 참고하여 두 가지로 정하였다. 면담을 통하여 세가지 관성관련 문항에 대한 학생의 사전 개념과 불일치 상황에 대면한 후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불일치 상황 1에서 많은 학생들은 새로운 상황을 설명하지 못하였으며, 일부학생들은 자신의 선개념을 버리고 새로운 개념으로 그 상황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 학생들의 새로운 개념은 대부분 비과학적인 개념이었다. 불일치 상황 2에서 대표적인 학생 반응은 자신의 선개념을 부분적으로 수정하면서도 본질적으로는 변화하지 않는 동화전략이었다. 한편, 학생들의 개념은 문항에 따라 다양하였으며, 불일치 상황에 대면한 후에 이전보다 더욱 다양한 개념 유형을 보여주었다.

  • PDF

부모의 성취압력과 청소년의 자기불일치가 학업적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Adolescents' Self-Discrepancies on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 정소희;양성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3-37
    • /
    • 2011
  •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achievement pressure from parents and the discrepancy of real self and ideal self on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adolesc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140 students including 559 middle school students in second grade and 581 high school students in second grade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ale students were more effected by the achievement pressure from parents than female students and the ideal discrepancy of self-discrepancies had a great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regardless of gender. In conclusion, higher achievement pressure and lower ideal discrepancy represent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대학병원 응급 영상검사에서 영상의학과 전공의 가판독과 전문의 최종 판독 간의 불일치 발생률 분석 (Analysis of the Rate of Discrepancy between Preliminary Reports by Radiology Residents and Final Reports by Certified Radiologists for Emergency Radiology: Studies in a University Hospital)

  • 정연범;신청일;제환준;김정훈;정진욱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5호
    • /
    • pp.1186-1195
    • /
    • 2021
  • 목적 대학병원 성인응급실에서 영상의학과 전공의 가판독과 전문의 최종 판독 간에 불일치가 발생한 빈도를 조사하고, 이 발생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대상과 방법 2016년 12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성인응급실에서 촬영된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 검사 중, 전공의 가판독과 전문의 최종 판독 간에 불일치로 인해 환자의 진단이나 치료 계획이 변경될 수 있는 경우를 중대한 불일치로 정의하고, 이를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이후 전공의 근무 시간대, 응급실 근무 경력, 세부 분야별로 중대한 불일치 발생률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결과 총 72137건의 가판독 중 중대한 불일치를 보인 검사는 총 1348건(1.9%) 이었다. 중대한 불일치의 유형으로는 위음성(72.0%)이 가장 많았고, 오판(26.3%), 위양성(1.7%) 순이었다. 또한 급성 소견의 중대한 불일치(87.2%)가 비급성 소견의 중대한 불일치(12.8%)보다 많았다. 중대한 불일치 발생률은 24시간 교대 근무 후반부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새벽 2시부터 4시 사이가 2.9%로 가장 높았다. 전공의의 응급실 근무 경력에 따른 발생률 차이는 없었고, 세부 분야별 발생률은 0.6%-4.5%로 다양했다. 결론 가판독과 최종 판독 간에 중대한 불일치 발생률은 2% 미만이었고, 24시간 교대 근무 후반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과학 교육 평가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들의 성취 불일치 사례 -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를 중심으로 - (Cases of Discrepancy in High School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ce Education Assessment: Focusing on Testing Tool in Affective Area)

  • 정수임;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91-909
    • /
    • 2017
  • 이 연구는 과학 교육 현장에서 인지적 정의적 평가를 중심으로 한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불일치 사례를 분석했다. 308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성취도를 양적 자료로 수집했고, 그 중 33명의 학생을 면담한 질적자료를 분석했다. 주로 검사 도구의 측면에서 불일치 사례의 원인과 유형을 고찰했다. 연구 결과 양적 자료인 인지적 성취와 정의적 성취 영역 각각에서 과목별, 구인별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학생들이 상당수 있었고, 특히 두 영역 간 성취도 경향이 일치하지 않는 학생들도 20% 이상 분석되었다. 선택한 진로와 진학을 위해 의도적으로 과학 학습을 조절한 사례, 학교 과학과 과학에 대한 인식 차이에 따라 다른 반응 등의 사례가 면담을 통해 발견되었다. 도구로 측정한 양적 자료와 학생들의 면담 내용인 질적 자료를 비교한 결과 스스로 반응한 양적 자료와 다르게 자신을 평가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생들이 검사 도구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비롯된다. 검사 도구와 관련된 불일치 유형은 '문항 개발자가 의도한 개념과 학생들이 이해하는 개념 간 차이'와 '표현된 반응과 속마음 간의 차이'로 나타났다. 검사 도구에서 사용한 용어가 학생들에게 모호하게 인식될 때 자의적이거나 일관성 없이 반응하는 경우가 전자에, 사회적 바람직성이나 자아 방어 기제에 의한 반응 왜곡은 후자에 해당한다. 이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보고식 검사 도구가 학생들의 실제 인식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정교화하려는 노력, 학습 경험을 획일적으로 고정시키는 평가 개선 등이 필요하다.

중·고등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 대처방식과 희망적 사고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elf-discrepancies Upon Depression and Anxiety Level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The Moderating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and Positive Thinking Patterns)

  • 이가은;강민주
    • 아동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41-155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coping strategies and positive thinking patterns moderate the negative effects of self-discrepancies on maladjustive emotions represented by depression and anxiety.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308 middle school students and 301 high school students from schools from metropolitan area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the high school students reported higher scores in terms of depression, anxiety, and active coping strategies than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the middle school students reported higher scores in terms of positive thinking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high school students' active coping strategies and positive thinking patterns moderated the negative effects of self-discrepancies on maladjustive emot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lf-discrepancies negatively affected maladjustive emotions, whereas active coping strategies and positive thinking patterns positively affected maladjustive emotions. In addition, active coping strategies and positive thinking patterns had a moderating effect only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소아암 생존자 집단과 건강통제 집단의 삶의 질과 문제행동 비교 및 부모보고와 자기보고의 차이 연구 (Discrepancy between Parent and Child Report on Quality of Life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 and Adolescent cancer survivors and Healthy Control Group)

  • 김민희;정경미;이명아;유철주;원성철;신윤정
    • 한국심리학회지ㆍ건강
    • /
    • 제16권3호
    • /
    • pp.483-500
    • /
    • 2011
  • 의학 발전과 함께 소아암이 치료 가능한 질병이 되면서, 소아암 생존자 아동, 청소년의 장기적인 심리사회적인 적응과 관련된 문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소아암 생존자 아동, 청소년의 삶의 질과 문제 행동 수준을 건강 통제 집단과 비교하고, 자녀의 심리적 적응 상태를 평가하는데 나타나는 부모와 자녀의 보고 불일치 양상이 소아암 경험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알아보았다. 소아암 생존자 집단과 건강 통제 집단의 아동, 청소년과 그들의 어머니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PedQL의 아동 버전과 부모 버전을 이용하여 삶의 질을 측정하였고, K-CBCL과 K-YSR을 이용하여 문제행동 수준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소아암 생존자 집단은 건강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신체적, 사회적 기능에서 낮은 삶의 질을 경험하고 있었고, 높은 수준의 내재화된 문제 행동을 보이고 있었다. 이 때의 결과는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였느냐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정보원간의 보고 불일치 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 모두에서 부모는 자기 보고에서보다 문제 행동은 더 낮게, 삶의 질은 더 높게 보고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아암 생존자 집단과 건강 통제 집단에서 나타난 부모와 자기 보고의 불일치 정도를 비교해보았을 때, 삶의 질의 대부분의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내재화된 문제행동 영역에서 소아암 생존자 집단이 건강 통제 집단보다 부모와 자녀의 보고 차이가 유의미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