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tic Client: Focused on Fairbairn's Psychological Structure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의 내담자 단일사례연구: Fairbairn의 심리구조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3.04.17
  • Accepted : 2023.04.24
  • Published : 2023.04.30

Abstract

Modern industrial society demand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from office workers and causes self-discrepanc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counseling strategy that integrates the divided self based on Fairbairn's psychological structure and reduces self-discrepancy by changing interpersonal relation patterns. 14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rom March 2022 to July 2022. T-test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to compare the level of self discrepancy by conducting the Self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During the initial stage, the client was in conflict with his boss and showed anger, depression, somatic symptoms such as gastrointestinal disorder, strict judgement on himself and others, and high self-discrepancy.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client's libidinal ego and anti-libidinal ego were de-repressed and integrated into his central ego, and his self-discrepancy level was decreased, which was confirmed through the pre-post test. This research, as a case study applying Fairbairn's psychological structure, has a meaning that it confirmed a change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 patterns of a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tic client.

현대산업사회는 직장인에게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을 요구하며, 자기불일치를 야기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Fairbairn의 심리구조를 중심으로 분열된 자아를 통합하고 대인관계 패턴을 변화시켜 자기불일치를 감소시키는 상담전략을 제안하는 것이었다. 상담은 2022년 3월부터 7월까지 주 1회, 총 14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t-검증을 사용하였고, 자기질문지를 사전, 사후 실시하여 내담자의 자기불일치 수준을 비교하였다. 내담자는 상담 초기에 직장상사와 갈등하면서 분노, 우울, 위장장애 등의 신체화 증상과 엄격한 자기 및 타인 평가들을 나타냈으며, 자기불일치 수준이 높았다. 상담을 통해 내담자의 리비도적 자아와 반비리도적 자아가 탈억압되어 중심자아로 기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자기불일치가 감소하는 모습이 나타났으며, 자기불일치 사전-사후검사 결과에서 유의미한 상담성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Fairbairn의 심리구조를 적용한 사례연구로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의 내담자가 대인관계 패턴의 변화를 확인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Fairbairn, W. R. D. (1952). Endopsychic structure considered in terms of object relationship. Psychoanalytic Studies of the Personality.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2. 최영민. (2010). 쉽게 쓴 정신분석이론. 서울: 학지사
  3. Celani, D. P. (2010). Fairbairn's object relational theory in the clinical setting.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4.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 456-470. https://doi.org/10.1037/0022-3514.60.3.456
  5. 김윤희, 서수균 (2008). 완벽주의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3), 581-613.
  6. 성은아, 김영석 (2021). 대학생들의 사회부과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11), 450-461. https://doi.org/10.5392/JKCA.2021.21.11.450
  7. 천지원, 이동귀 (2021).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에 의해 조절된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3(1), 367-390.
  8. Higgins, E. T. (1987).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Psychological Review, 94, 319-340. https://doi.org/10.1037/0033-295X.94.3.319
  9. 김영수, 신희천 (2012). 자기불일치가 대인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 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13(2), 745-760. https://doi.org/10.15703/KJC.13.2.201204.745
  10. 이승태, 장유진 (2021).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 조절초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2), 513-529.
  11. 김대현 (2016).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성취-관련 자기불일치와 속박감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2. 최정원 (1996). 실제자기 수준, 이상적 자기수준 및 자기불일치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3. 서수균 (1996). 자기집중적 주의, 실제 자기개념 및 자기안내자 선호성을 고려한 자기 불일치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4. 임형연 (2021). 자기불일치 현상과 SNS자기표현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