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주도학습 능력

검색결과 543건 처리시간 0.029초

학년별 독서방식이 어린이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ad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Reading Method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Children)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51-271
    • /
    • 2007
  • 본 연구는 음독, 묵독, 다독, 정독, 통독, 발췌독 등의 독서방식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학년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2학년, 4학년, 6학년 12개 반의 전체 어린이 286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특성 검사지 결과와 질문지로 조사한 독서방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어린이들에게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독서방식은 정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독서방식은 2학년의 경우에는 통독, 4학년과 6학년 어린이의 경우에는 정독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학습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SDLRS)의 타당성 연구 (Study on Validity of SDLRS Instrument for Evaluation of Life-Long Outcome)

  • 한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4호
    • /
    • pp.64-75
    • /
    • 2008
  • 본 연구는 평생학습 능력의 중심 개념인 자기주도학습의 측정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SDLRS)의 신뢰도, 타당도를 검증하여, 공학교육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항목 중 평생학습 능력의 평가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즉,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공과대학 학생들의 개인 변인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는데, 평생학습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Gugliemino(1977)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경기도 소재 A대학의 기계공학 전공 학생들 218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검사도구는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요인분석, t검증, ANOVA에 의한 F검증 등의 분석 방법이 이용되었다. 58개의 원검사 도구는 7차례에 걸친 요인분석 결과 23개 문항으로 압축되었다. 또한 학습에 대한 사랑, 학습에 대한 개방성, 자아개념, 기본학습기능과 독립성, 학습에 대한 책임수용, 주도성과 미래지향성, 독창성과 탐구적 특성의 7개 요인으로 재구조화되었으며 전체 변량의 약 58%를 설명하였으며 Cronbach $\alpha$값은 .8332이었다. 개인적 배경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분석 결과 학년, 산업체 근무기간, 대학원 진학계획, 학점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성별, 산업체 근무여부, 부모의 학력, 가구의 소득 수준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기초로 하여 향후에는 보다 많은 모집단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연구결과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검사도구의 적용을 통해 검사도구간의 상관관계 및 평생학습에 영향을 주는 능력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후속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평생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보다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온라인 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상호작용 및 수업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Learner-Learner Inter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 유지은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3권
    • /
    • pp.255-281
    • /
    • 2020
  • 코로나 19로 인해 온라인 학습으로 대표되는 학습 방법의 변화가 보편화 되고 있는 지금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및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 모두 온라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을 증가시켰으며, 또한 높아진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은 수업만족도를 증가시켰다. 변인 간의 잠재평균비교분석을 통해 대학생과 고등학생 집단 간 변인들의 통계적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다집단 분석을 통해 고등학생의 경우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수업만족도와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고, 대학생의 경우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 학습의 수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초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 및 학업성취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 유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62-47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과 학업 성취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197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취도 점수를 수집하였다.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학업성취를 더 잘 설명하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의 하위변인들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업적 효능감과 학업성취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 취에서도 높은 정적 상관이 밝혀졌다. 회귀분석에 의한 설명력을 살펴보면 학업적 효능감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난이도가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자기주도 학습능력에서는 자신의 학습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평가력과 스스로 학습을 선택하고 계획하며 자신의 과정을 확인하며 결과까지 평가하는 독립성 변인이 유의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하여 교육현장에서 학업적 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의 이러한 변인들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 서울지역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Maturity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정주영;박균열;이인수;이수진
    • 직업교육연구
    • /
    • 제35권4호
    • /
    • pp.89-107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지역 중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 간 종단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능력 변인의 경우, 1차년도에서 6차년도에 이르는 시간경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성숙도 변인 역시 1차년도에서 6차년도에 이르는 시간경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 흐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관계를 보인 반면, 진로성숙도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강화 프로그램 정착, 입시제도가 아닌 진로발달단계를 고려한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 중 고등학교에의 진로진학상담교사 추가 배치 등을 제안하였다.

액션러닝 적용 간호과정 교육이 비판적 사고성향, 셀프리더십,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eaching Nursing Process with Action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Leadership,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이은미;오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47-5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액션러닝을 적용한 간호과정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셀프리더십,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총 96명이며, 자료수집은 2021년 9월부터 12월까지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t=-3.76, p<.001)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비판적 사고성향과 셀프리더십(r=.730, p<.001),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r=.701, p<.001), 셀프리더십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r=.734, p<.001)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액션러닝 적용 간호과정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추후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한 학업성취도 분석 및 예측 수행평가 시스템 연구 (A study of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that used academic achievement analysis and prediction for promo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김현정;최진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677-678
    • /
    • 2008
  • 이 연구는 프로그래밍 교과의 수행평가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하여 학업성취도를 분석 및 예측하는 시스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학업성취도의 평가는 루브릭을 적용하여 프로그래밍 수행평가의 채점을 논리력, 문제해결력, 창의력으로 측정하였으며 학업성취도를 분석하기 위해 학습자별 학업성취도를 측정 준거 별로 그래프로 표현하며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여 향후 점수를 예측하였다. 이로 인해 학습자는 평가 결과 그래프로 현재 자신의 학습상태를 파악하고 예측 결과로 자신의 학습의 준거 별 장 단점을 분석하여 학습 방향 및 학습시간에 대한 자기 성찰에 도움을 주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간호대학생의 플립러닝 학습이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태도,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Attitude, Lesson Satisfaction for Nursing Students of the University)

  • 김진;차남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11-17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플립러닝 학습이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태도,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은 2022년 3월 1일부터 6월 16일까지 A 시의 대학생 4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인 원시실험설계이다. 사전과 사후조사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태도, 학습만족도를 조사하였고 플립러닝 강의를 실험군에게 적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7.0 버전을 사용하였고 실험 전과 후의 효과 검정은 Paired T-test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습태도는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수업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플립러닝 교육방법은 자기주도학습능력(t=-8.73, p<.001), 학습태도(t=-6.99, p<.001)와 수업만족도(t=-2.17, p<.0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이 학교생활만족도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ndergraduates' Self-Directed Learning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ies)

  • 최민경;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207-212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이 학교생활만족도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재학 중인 대학생 341명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 학교생활만족도, 대인관계능력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주도학습의 하위요인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별, 학년, 연령이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요인의 학습자신감, 학습열정, 학습책임감 순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의 하위요인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별, 학년, 연령은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학습책임감, 학습열정, 학습자신감 순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이 학교생활만족도와 대인관계능력에 긴밀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대학 교육 현장에서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학생에 대한 교육 서비스, 학습 지원 등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Instruction on the Creative Ability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3-71
    • /
    • 2006
  • 본 연구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유형과 독서방식에 따라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교육 기간에 따라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2005년 4월부터 12월까지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을 대상으로 한 반은 쓰기 중심 독서프로그램 모형인 'Author-Reader-Inquirer Cycle'을 실시하고, 다른 한 반은 말하기 듣기 프로그램중심 독서프로그램 모형인 'Literature Circles'를 실시하였다.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 1회차 검사, 7월에 단기 교육 사후검사. 2학기말인 12월에 장기 교육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교육은 어린이들의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쓰기 중심의 독서교육 프로그램이 말하기 듣기 프로그램에 비해 효과적이고, 단기 독서교육 보다는 장기 독서교육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서 방식 중에서는 음독, 묵독, 다독, 통독, 발췌독에 비해 정독을 통한 독서방식이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