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주도학습능력

검색결과 547건 처리시간 0.033초

대학원 생물학 강좌에서 역동적 복합 수업 모형(DCIM)의 적용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학습 동기 유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Application of Dynamic Complex Instruction Model (DCIM) to a Biology Class in the Graduate School and Its Effect in Chang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Motivation Types)

  • 오순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295-306
    • /
    • 2011
  •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 교수자 주도의 강의, 세미나, 토론 수업 모두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일정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역동적 복합 수업 모형(dynamic complex instruction model, DCIM)이 오순애(2010)에 의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DCIM을 대학원 생물 교과에 적용하였을 때, 대학원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측정 검사 도구로는 유귀옥(1997)이 번안한 West & Bentley(1990)의 자기주도적 학습 준비도 척도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인인 학습 동기 척도 측정에는 오순애(2001)가 번안한 Hayamizu (1997)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구광역시 소재 K 대학교 2010년 1학기 2개 대학원생 생물 수업을 대상으로 DCIM이 적용되었으며, 수업 전 후에 척도를 이용한 검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교수자 주도의 일방적 강의 수업을 실시한 통제 집단에 비해 DCIM 적용 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학습 동기는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대학원 수업에 DCIM의 적용이 대학원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 PDF

온라인 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상호작용 및 수업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Learner-Learner Inter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 유지은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3권
    • /
    • pp.255-281
    • /
    • 2020
  • 코로나 19로 인해 온라인 학습으로 대표되는 학습 방법의 변화가 보편화 되고 있는 지금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및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 모두 온라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을 증가시켰으며, 또한 높아진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은 수업만족도를 증가시켰다. 변인 간의 잠재평균비교분석을 통해 대학생과 고등학생 집단 간 변인들의 통계적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다집단 분석을 통해 고등학생의 경우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수업만족도와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고, 대학생의 경우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 학습의 수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간호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 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심미정;오효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328-337
    • /
    • 2012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문제해결능력을 확인하고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3년제 전문대학 2개교의 간호학생 217명이었고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3월 2일부터 3월 31일까지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성별, 출신학교, 성격성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학습동기는 출신학교, 졸업 후 교과목 활용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는 출신학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문제해결능력은 졸업 후 교과목 활용도에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학습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으로 문제해결능력을 37.3%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를 높이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뉴로피드백 훈련이 중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of Middle Student)

  • 안상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486-3491
    • /
    • 2011
  • 본 연구는 2010년 1월부터 2010년 7월까지 B. 뇌훈련 센터에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을 위하여 방문한 내담자 60명(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의 뇌파를 검사하여 뉴로피드백 훈련 전과 훈련 후의 뇌 기능과 자기주도학습능력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뇌 기능의 훈련 전후 결과를 시계열 선형분석으로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자기조절지수, 훈련모드, 자기주도학습 능력 설문지에서 실험군의 평균이 상승해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뉴로피드백의 기술을 적용한 뇌 훈련은 자기조절지수와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겠다.

간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과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관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인과적 관계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Self-Efficacy,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서요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74-289
    • /
    • 2017
  • 본 연구는 직업기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행동의 선택과 지속성을 유지하는 자기효능감의 영향관계와 자기효능감과 직업기초능력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와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인식을 통해 형성되는 주도적인 학습능력이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J도 소재 3개 전문대학의 간호학과 학생 396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다. 각각의 잠재변인은 직업기초능력,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관,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과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관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직업기초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고 간호전문직관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완전매개로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간호전문직관은 직업기초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직업기초능력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정보검색 능력과 빈도의 종단적 패턴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능력 차이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According to Longitudinal Pattern of Information Retrieval Ability and Frequency)

  • 심재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551-560
    • /
    • 2019
  • 고도화된 정보 시대의 학습은 학습자가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정보자원에 접근하여 정보를 자기주도적으로 습득하고 평가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기술에 기반한 온라인 학습 플랫폼의 등장은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반하여 초중등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정보를 검색하여 학습하는 환경으로 발전하고 있다.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초중등 학습자의 정보검색 능력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대한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변인간의 긍정적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이는 특정 교과 수업과 콘텐츠에 국한된 횡단적인 연구로 보다 확장된 형태의 종단적인 연구를 통해 정보검색 능력과 자기주도학습 능력 간의 관련성을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8년 동안 수집된 서울교육종단연구의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보검색 능력과 정보검색 빈도의 종단적인 패턴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간호대학생의 플립러닝 학습이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태도,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Attitude, Lesson Satisfaction for Nursing Students of the University)

  • 김진;차남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11-17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플립러닝 학습이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태도,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은 2022년 3월 1일부터 6월 16일까지 A 시의 대학생 4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인 원시실험설계이다. 사전과 사후조사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태도, 학습만족도를 조사하였고 플립러닝 강의를 실험군에게 적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7.0 버전을 사용하였고 실험 전과 후의 효과 검정은 Paired T-test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습태도는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수업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플립러닝 교육방법은 자기주도학습능력(t=-8.73, p<.001), 학습태도(t=-6.99, p<.001)와 수업만족도(t=-2.17, p<.0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가정과 교육에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이효순;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01-218
    • /
    • 2007
  • 본 연구는 가정과 교육에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받은 집단 내에서 성적에 따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가? 셋째, 교육방법에 따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J시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 여학생 164명(실험반 82명, 비교반 82명)을 대상으로 도서관 활용수업과 일반 강의식 수업을 14시간 실시하였다. 교육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한 후 SPSS 12.0을 이용하여 자료처리를 하였다. 분석방법은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증, 독립표본 t-검증, 대응표본 t-검증, 반복측정분산분석, 이원변량분석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받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반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모든 하위 항목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실험반의 점수 향상이 훨씬 많았다. 비교반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하위 항목 중 창의성과 자율성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받은 집단 내에서 학업 성적에 따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변화는 문제해결능력을 제외한 모든 하위 항목들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능력은 학업 성적에 따라 점수의 상승폭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업 성적이 낮은 집단에서 상승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서관활용수업을 받은 집단이 일반 강의식 수업을 받은 집단보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점수의 상승폭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능력 점수가 낮은 집단이 학습능력 점수가 높은 집단에 비하여 점수의 상승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학교 도서관 활용수업은 중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학업성적이 낮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점수가 낮은 집단에서 더 큰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로는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중 구체적으로 어떤 점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켰는지 다양한 실험설계를 통하여 조사할 것이 요구된다.

  • PDF

수출기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The Impacts of self-directed learning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 오주연;최병우;김형기
    • 통상정보연구
    • /
    • 제15권1호
    • /
    • pp.207-22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경쟁시대의 기업성과향상을 위하여 수출기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집권화와 분권화된 조직문화특성이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학습능력 변수 중 학습의 책임수용성 변인만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권화의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학습의 책임성 수용(t=-1.934, p<0.01), 학습자적 신념(t=-1.820, p<0.001), 미래지향성(t=2.249, p<0.001) 변인들과 조직몰입 관계에 집권화가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래지향성(t=-1.645, p<0.01) 변인과 조직몰입 관계에 분권화가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학습자 개인적차원과 조직적 차원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한 지원 및 분위기 조성이 전제 되어야 한다는 기존 연구결과를 수출기업에서 다시 재확인하였으며, 지식정보사회에서 조직의 역량과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관료제적 계층조직에서 유기적 학습조직으로 적극 변화되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 서울지역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Maturity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정주영;박균열;이인수;이수진
    • 직업교육연구
    • /
    • 제35권4호
    • /
    • pp.89-107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지역 중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 간 종단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능력 변인의 경우, 1차년도에서 6차년도에 이르는 시간경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성숙도 변인 역시 1차년도에서 6차년도에 이르는 시간경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 흐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관계를 보인 반면, 진로성숙도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강화 프로그램 정착, 입시제도가 아닌 진로발달단계를 고려한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 중 고등학교에의 진로진학상담교사 추가 배치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