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가조절

Search Result 39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뇌혈류 자가조절과 내인성 $K^{+}$ channel 개방물질에 대한 연구

  • 홍기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85-85
    • /
    • 1993
  • 뇌동맥계는 일과성 저혈압에 반응하여 혈관확장이 야기되고, 혈압 상승시에는 혈관수축이 일어남으로서 뇌혈류가 일정하게 조절된다. 이러한 자가조절은 뇌손상 등의 병적 상태에서 야기된다. 연구의 목적은 \circled1 Cromakalim, CGRP(calcitonin-gene related peptide), 및 substance P에 의하여 뇌연막동맥의 직경이 어떻게 변동하는가를 관찰하고 \circled2 이들 신경성 peptide의 작용에 대하여 $K^{+}$ 통로 개방 봉쇄제인 glibenclamide의 전처치 효과를 검색하고 \circled3 Capsaicin 전처치가 뇌혈류 자가조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혈류 자가조절은 대퇴동맥을 통한 사혈에 의하여 혈압하강을 일으킬 때 뇌연막 동맥은 이완하였고, reservoir내의 혈액을 체내로 주입함로서 혈압반전을 일으켰을 때는 혈관 수축이 일어났다. 2. 연막동맥은 glibenclamide (1~3$\mu$M)의 관류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아니하였다. 3. 혈압변동에 따른 혈관직경의 변화를 회기직선으로 분석하였다. Glibenclamide 1과 3$\mu$M의 전처치 관류에 의하여 혈압하강에 따른 혈관 이완경사도와 혈압반전에 따른 혈관수축 경사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약화되었다. 4. Cromakalim (0.1-30$\mu$M)의 각 농도를 대뇌표면에 관류시 연막동맥의 기초직경은 약물농도에 의존하여 증가되었고, 이는 glibenclamide (1$\mu$M) 전처치 관류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5. CGRP (0.1~100 nM)와 substance P (0.1~10nM)도 용량에 의존하여 혈관이완을 일으켰다. 전자는 glibenclamide (1$\mu$M) 전처치 관류에 의하여 억제되었으나 후자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6. Capsaicin(50 nmol: intracisternally) 주사에 의하여 뇌혈류자가조절의 변동이 초래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CGRP가 혈압변동에 의하여 반사적으로 유리되고, 이는 glibenclamide-sensitive $K^{+}$ 통로에 작용하는 것으로 시사된다.

  • PDF

Propofol Patient-Controlled Sedation Using WalkMed (Medex Inc, USA) Infusion Pump in Dental Patients (치과 환자에서의 WalkMed사(Medex Inc, USA)의 자가통증조절기를 이용한 Prorofol 자가진정조절법)

  • Kim, Hyun-Jeong;Park, Chang-Joo;Yum, Kwang-Won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 /
    • v.1 no.1 s.1
    • /
    • pp.16-20
    • /
    • 2001
  • 연구배경: 일반적으로 자가통증조절기가 자가진정조절을 위해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장치들은 몇몇 진정제 투여 시 너무 긴 최소 폐쇄간격을 가지고 있다 WalkMed사(Medex inc, USA)의 자가통증조절기는 폐쇄간격을 0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30 ml/h로 추가용량을 투여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환자 개개인의 요구에 맞추어 환자의 진정을 조절하기 위하여 위장치를 이용한 propofol 자가진정조절기의 가능성를 조사하였다. 방법: Propofol과 전산 프로그램된 WalkMed 주입장치를 이용한 자가진정조절법이 치과치료를 받는 24명의 건강한 환자에게 시행되었다. Propofol 지속 주입량은 2 mg/kg/h로, 추가용량은 5 mg으로 조절되었으며 치소 폐쇄간격은 0으로 설정하였다. Ketoloac 30 mg이 통증 조절을 위하여 진정법 시행 전에 근주되었다. 결과: 진정법 시행 동안 주입된 propofol의 평균량은 3.4 mg/kg/h이었으며 평균 추가용량은 1.6 mg/kg/h이었다. 시간 당 추가용량에는 많은 변이가 있었다(0-32). 모든 환자는 진정법 시행 동안 완전한 각성상태였으며 이러한 진정 법에 만족하였다. 진정 법과 관련된 주요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WalkMed사의 자가통증조절기를 이용한 propofol 자가진정조절법이 치과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Possible controlled Exercise intensity DC/DC converter for grid-interconnected Exercise equipment of private power generation (운동강도 조절이 가능한 계통연계 자가발전 운동기구용 DC/DC 컨버터)

  • Lee, Jeongjun;Kang, Kyung-Soo;Kim, Dasom;Kim, Semin;Roh, Chung-Wo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287-288
    • /
    • 2016
  • 기존 자가발전 운동기구의 경우,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운동강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Generator에서 생성된 에너지가 모두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계통연계형 자가발전 운동기구의 경우에는 에너지 회수는 가능하지만 운동 강도 조절이 불가능한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계통연계를 통해 에너지 회수가 가능하고, 운동 강도 조절이 가능한 자가발전 운동기구용 DC/DC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회로는 가변저항을 사용하지 않고 입력임피던스를 통해 운동 강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높은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고 계통연계를 통해 에너지 회수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회로의 이론적 특성을 분석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계통연계형 자가발전 운동기구에 적용하여 실험을 통해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 PDF

A Review of Self-Monitoring of Blood Pressure for Self-Management of Hypertension (고혈압 환자의 혈압자가측정에 관한 문헌고찰)

  • Park, Young-Lm;L.Cunningham, Susanna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 /
    • v.13 no.1
    • /
    • pp.95-104
    • /
    • 2007
  • 연구목적: 고혈압환자의 효과적인 자가관리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혈압자가측정(self-monitoring of blood pressure)에 대한 특성, 장점, 범위 및 제한점을 파악한다. 연구방법: 1996년부터 2005년까지 PubMed에 수록된 고혈압환자의 자가관리 방법중 혈압자가측정방법이 포함된 외국의 연구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고찰을 실시하였다. 전체 69개 자가관리방법을 적용한 논문 중에서 혈압자가측정이나 가정에서의 혈압측정(home monitoring)에 대한 45개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혈압자가측정 방법은 고혈압환자의 혈압조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가 혈압을 자가측정한 방법에서 평균 혈압, 수축기 혈압, 맥압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장기적 프로그램에서 혈압조절율이 향상되거나, 이완기혈압의 감소효과도 보고되었다. 혈압자가측정의 기준치는 연구마다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135/85mmHg 수준이 정상혈압의 상한수준으로 제시되었다. 일부 연구에서는 가정 내 혈압측정이 24시간혈압측정을 대체하는 방법으로 추천되었다. 보다 정확한 혈압자가측정을 위해서 신뢰성 있는 혈압측정기구의 사용과 정확한 측정방법이 환자들에게 교육될 필요가 있다. 결론: 혈압자가측정은 고혈압환자의 혈압조절에 유용한 방법으로 고찰되었다. 또한 고혈압의 진단, 혈압치료와 고혈압 약물복용 행위를 향상시키는 교육적 효과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혈압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자기조절프로그램에 혈압자가측정법을 포함하는 것이 추천되며, 추후 한국에서 시도된 관련 연구에 관한 문헌고찰의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 PDF

Paper Title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The Self-care Competence and Behavior in Older Adults with Diabetes :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당뇨병 노인의 자가관리 자신감과 행위와의 관계에서 인지기능의 조절효과: 우울군과 비우울군의 비교)

  • Lee, Song-He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11
    • /
    • pp.189-196
    • /
    • 2019
  • This study identifies the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are confidence and self-care behavior in the diabetic elderly. The participants were 205 elderly subjects with diabetes, who visited a citizen health center located in D city,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20th April to 31st August 2015, and were analyzed by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Our results reveal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epressive and non-depressive groups, when considering diabetes self-management confidence, knowledge, behavior and cognitive function. Cognitive function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are confidence and self-care behavior only in the depressed group. Our results indicate that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apply individual nursing intervention based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level, an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improving the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amongst the diabetic elderly.

Advanced Self Control Consultation Type Educational System (개선된 자가 조절 문의형 교육 시스템)

  • Kim, Boo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367-368
    • /
    • 2010
  • 온라인 기반의 교육 시스템이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쳐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다.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 시스템의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그 보조적 수단에서 독자적인 교육 시스템으로의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 시스템 개발자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 유형 가운데 문의형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자가 조절 학습 효과를 높였던 이전 연구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사용자 부담률을 낮추기 위해 전문가 인터럽트 방식을 도입하여 개선된 자가 조절 문의형 교육 시스템을 제안한다.

Diabete Care: Healthy Life - 효과적인 자가혈당측정을 위해

  • Sim, Gang-Hui
    • The Monthly Diabetes
    • /
    • s.285
    • /
    • pp.54-59
    • /
    • 2013
  • 자가혈당측정은 당뇨병 관리에 있어 나침판과 지도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는 혈당수치를 보면서 고혈당과 저혈당을 확인하여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식사요법, 운동요법, 스트레스 등이 혈당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확인할 수 있어 생활습관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슐린주사를 하는 경우에는 혈당치를 확인하여 인슐린 용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자가혈당측정을 하는 것이 당뇨병관리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되어도 혈당검사를 소홀히 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이에 금번 호에서는 자가혈당 측정에 대한 당뇨병환자의 마음상태와 혈당에 대한 "감(Sense)을 파악하는 법과 혈당조절을 위한 행동요령에 대하여 소개합니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HbA1c Control and Diabetes Self-care Knowledge, Competenc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n Diabetes elderly (노인 당뇨환자에서 당뇨 자가관리 지식, 자신감, 행위 및 삶의 질과 당화혈색소 조절의 관련성)

  • Lee, Song-he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1
    • /
    • pp.357-366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abetes self-care (DSM) knowledge, DSM competence, DSM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HbA1c control in diabetic elderly. The participants were 205 diabetes elderly who visited the citizen health promotion center located in D city,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4 to August 31 2015, and were analyzed by the t-test and chi-squared test using IBM SPSS 23.0. The mean scores of DSM knowledge, DSM competence, DSM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were $50.61{\pm}16.39$, $71.27{\pm}10.21$, $62.78{\pm}1.29$ and $0.86{\pm}0.11$, respectively. Additionally, DSM behavior (t=2.17, p=0.031), education level (t=11.80, p=0.0019) l, BMI (t=0.001, p=0.012), and number of visits to citizen health center (t=16.497, p=0.001)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controlled HbA1c group and uncontrolled HbA1C group. However, ANCOVA revealed that the level of HbA1c did not affect the DSM behavi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DSM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knowledge level of the elderly. In addition, healthcare institutions with high accessibility in terms of distance and cost to guide and manage desirable diabetic self-care behaviors should be provided everywhere.

The Effect of a Self-exercise with Ankle Movement Control Device through Visual Feedback on Ankle Movement and Balance Ability for the Elderly: Case-study (시각적 피드백에 따른 발목 움직임 조절 도구를 이용한 자가 운동이 노인의 발목 움직임 조절과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례 연구)

  • Cho, Sun Young;Shin, Su Jung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v.3 no.2
    • /
    • pp.25-32
    • /
    • 2013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nkle movement and the balance when the elderly conducted self-exercise with ankle movement control device through visual feedback. Method : This case-study included pre-test and post-test. The elderly women aged 80 did self-exercise for 20 minutes both morning and afternoon every day. The pre-test and post-test was conducted tracking test for evaluating ankle control movement and running time measurement of standing on one foot and Timed up-And-Go test for balance. Result : The subject improved the ankle control movement on tracking test and improved the balance in running time measurement of standing on one foot. But, Timed up-And-Go test was no change. Conclusion : The self-exercise with device of ankle movement control through visual feedback improved the ankle control movement and the balance for elderly.

  • PDF

Feasibility of hearing aid gain self-adjustment using speech recognition (말소리 인지를 이용한 보청기 이득 자가 조절의 실현)

  • Yun, Donghyeon;Shen, Yi;Zhang, Zhuohua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1 no.1
    • /
    • pp.76-86
    • /
    • 2022
  • Personal hearing devices, such as hearing aids, may be fine-tuned by allowing the users to conduct self-adjustment. Two self-adjustment procedures were developed to collect the listener preferred gains in six octave-frequency bands from 0.25 kHz to 8 kHz. These procedures were designed to allow rapid exploration of a multi-dimensional parameter space using a simple, one-dimensional user control interface (i.e., a programmable knob). The two procedures differ in whether the user interface controls the gains in all frequency bands simultaneously (Procedure A) or only the gain in one frequency band (Procedure B) on a given trial. Monte-Carlo simulations suggested that for both procedures the gain preference identified by simulated listeners rapidly converged to the ground-truth preferred gain profile over the first 20 trials. Initial behavioral evaluations of the self-adjustment procedures, in terms of test-retest reliability, were conducted using 20 young, normal-hearing listeners. Each estimate of the preferred gain profile took less than 20 minutes. The deviation between two separate estimates of the preferred gain profile, conducted at least a week apart, was about 10 dB ~ 15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