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잎의 성장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5초

식물공장의 LED 광강도 변화에 따른 식물성장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lant Growth Variation According to Change of Luminous Flux LED Light in Plant Factory)

  • 홍지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04-311
    • /
    • 2020
  • 본 연구는 식물공장 요소 기술의 표준화를 위하여 LED 광원의 광강도에 따른 식물의 성장변화와 최적 LED 광강도 범위를 확인하였다. 1400 lx와 1600 lx 영역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을 확인하였고 광강도 증가에 따라 성장과 둔화가 반복되며 성장을 지속하지만, 잎의 성장이 없으면 웃자라는 현상과 함께 성장은 둔화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400 lx에서 800 lx까지의 성장 특징은 실험 기간 어느 정도 성장이 지속하였지만, 웃자라는 현상은 7일까지 유지되었고, 잎이 성장하지 않아 일간 평균 성장차가 현저히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000 lx에서 1,400 lx까지의 성장은 광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잎의 성장과 일별 성장이 확인되었고 성장증가와 성장둔화가 반복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1,600 lx와 1,800 lx는 1,400 lx 영역과 유사한 성장을 보였지만, 잎의 성장은 높았다. 그러나 1,800 lx에서는 1,400 lx보다 높은 성장을 보였고, 시간 경과에 따라 성장이 둔화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광강도가 강할수록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열로 인하여 식물 주변의 온도상승이 수반되어 잎의 열화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식물의 성장에 따른 재배 트레이의 공간설정과 재배용 광원과의 거리 조절이 필요하며, 광원의 최대강도 사용에 따른 재배공간의 능동적인 공기조화 계획이 필요하다.

특징기반 영상 워핑을 활용한 다양한 디지털 잎 모델링 (Modeling of Various Digital Leaves Using Feature-based Image Warping)

  • 김진모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35-24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잎을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하여 특징기반 워핑을 활용한 잎 모델링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다수의 다양한 잎의 형상을 쉽고 직관적으로 제어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러운 잎맥 패턴을 효과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영상처리 응용 기술 중 하나인 워핑 방법을 활용한다. 먼저 잎몸 영상으로부터 잎몸의 형상을 판단할 수 있는 근사화된 컨투어 정보를 찾고, 이를 기반으로 특징기반 워핑에 사용되는 제어선을 자동으로 계산한다. 다음으로 제어선기반 워핑을 통해 잎몸 영상을 직관적으로 변형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갖는 잎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변형된 잎몸 영상의 컨투어 정보들로부터 컨투어기반 잎맥 성장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자연스러운 잎맥 패턴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잎몸에 해당하는 샘플 이진영상 한 장을 사용하여 식물을 구성하는 다양한 형상의 잎을 효율적으로 생성 가능한지 여부를 실험을 통해 입증한다. 또한 워핑을 잎몸의 성장에 적용하여 잎의 자연스러운 성장을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결명자(決明子)(Cassia tora L.) 엽(葉)과 종자(種子)의 추출물(抽出物)과 휘발성분(揮發成分)의 타감성(他感性) 생육저해작용(生育沮害作用) (Allelopathic Inhibition by Extracts and Volatiles from Leaf and Seed of Sicklepod (Cassia tora L.))

  • 임선욱;김금숙;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0-167
    • /
    • 1992
  • 본 실험은 결명자(決明子)(Cassia tora L.)의 재배지에서 타작물이나 잡초의 생육이 저해되는 현상이 단순한 물리적 조건의 경쟁뿐 아니라 타감작용(allelopathy)에 기인함을 탐색함과 동시에 결명자의 자가독성을 확인하는 연구로서, 결명자 식물의 종자와 잎의 수용성 추출액 및 휘발성분이 무우(십자화과), 벼(화본과), 녹두(두파)등의 발아와 유묘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결명자 종자의 수용성 타감물질에 의한 저해효과에 대해, 벼는 발아보다 유묘성장이 더욱 민감하게 저해되었고, 반면 무우는 발아가 배축의 길이 성장보나 더 민감하게 저해되었다. 2. 결명자 종사의 수용성 추출액 처리에 의해 추출액의 처리농도가 커질수록 벼 유묘의 엽록소 함량은 무처리구의 50%에서 65%까지 감소하였다. 3. 결명자 잎의 수용성 추출액 처리에 의해 무는 배추길이와 생체량이, 벼는 발아가 저해되었으나, 녹두는 단지 생체량에서 약간의 저해를 보였다. 4. 결명자 미숙종자의 휘발성분은 무우의 발아와 생육에 저해작용이 있으며, 특히 뿌리의 생장이 발아나 배축성장보다 더 민감하게 저해되었다. 5. 결명자 잎의 휘발성 성분은 무우, 벼, 녹두의 발아나 생육에 저해적인 타감작용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발아보다는 유묘의 성장이 더 많이 저해되었다. 6. 결명자 잎의 휘발성분에 의해 결명자 스스로의 발아와 유근 성장이 저해되는 자가중독 현상이 확인되었다. 7. 결과적으로, 결명자의 종자와 잎에는 일부 타식물에 대하여 타감작용과 아울러 자가중독을 유발하는 수용성 및 휘발성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정된다.

  • PDF

약수 함수의 합성 곱 기반의 새로운 나무 모델링 (A New Tree Modeling based on Convolution Sums of Restricted Divisor Functions)

  • 김진모;김대열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37-646
    • /
    • 2013
  • 본 연구는 다수의 나무로 구성된 실외 지형에 적합하고 다양하고 자연스러운 나무를 모델링하기 위하여 새로운 성장 규칙(약수 함수의 합성 곱 기반)의 모델링 방법을 제안한다. 기본적으로 나무를 구성하는 가지와 잎의 효율적 관리와 자연스러운 가지 증식을 위하여 기존의 성장 볼륨기반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이 논문의 주요 특징은 각 성장 단계에서 가지와 잎의 성장과 운명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약수 함수 합성 곱 이론을 도입하는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일반화된 생성 함수를 갖는 여러 약수 함수와 성장 규칙의 변형을 통해 사용자의 제어를 최소화하여 다양한 나무를 모델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모델링 방법은 가지와 잎을 동시에 고려하는 특징이 있으며, 다수의 나무들로 구성된 실외 지형 구축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제안한 방법을 통해 자연스럽고 다양한 나무 모델 생성과 이를 활용하여 넓은 자연 지형 구축 가능성과 다수의 나무를 구성하는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실험을 통해 증명한다.

헛개나무 잎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Hovenia dulcis Thumb Leaves Extracts)

  • 박선희;장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371-1376
    • /
    • 2007
  • 예로부터 약용으로 이용되어온 헛개나무 잎을 이용하여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세포 성장 저해효과를 조사하였다. 헛개나무 잎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Ames test로 검색한 결과, 헛개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과 분획물 그 자체의 돌연변이원성은 없었으며, 헛개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은 직접 변이원인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와 간접변이원인 benzo(a)pyrene(B(a)P)의 돌연변이 유발성을 크게 저해하였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에서 분리한 분획물들도 유의성 있는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헥산, 클로르포름, 부탄올 분획물의 경우는 물 분획물보다 MNNG와 B(a)P에 대해서 더 큰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헛개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물들의 사람의 암세포주인 HT29와 HepG2에 대한 성장 저해 효과를 MTT assay로 검토한 결과 헛개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과 헥산, 클로로포름 분획물들이 높은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사람의 정상 간세포인 Chang cell에서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헛개나무 잎은 발암물질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emna gibba의 성장저해시험 중, 각각 endpoint간의 비교에 관한 연구

  • 이혜정;이성규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1년도 춘계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 /
    • pp.118-118
    • /
    • 2001
  • Lemna gibba에 대한 성장저해시험은 OECD Lemna Growth Inhibition Test(1998)와 EPA Auqatic Toxicity Test Using Lemna sp, (OPPTS 850.4400)에 제시된 시험 방법으로, 시험물질에 대한 수중식물의 독성값을 알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실험은 각각의 Guideline에서 제시된 endpoint를 서로 비교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시험의 결과를 표현 할 수 있는 endpoint를 찾고자 하였으며, 이때 사용된 endpoint로는 잎의 수, 잎 면적, 습중량, 건중량을 이용하였다. (중략)

  • PDF

컨투어기반 잎맥 패턴의 절차적 모델링 (Contour-based Procedural Modeling of Leaf Venation Patterns)

  • 김진모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97-106
    • /
    • 2014
  • 본 연구는 가상 조경을 구성하는 꽃, 나무 등의 디지털 식물 표현에 필요한 다수의 다양한 잎들을 쉽고 직관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절차적 방법은 잎을 크게 잎몸과 잎맥으로 구분하여 잎몸에 해당하는 이진영상으로부터 컨투어를 검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잎맥을 절차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잎을 생성한다. 우선 복잡한 잎맥 구조를 주잎맥, 곁 잎맥 그리고 3차 잎맥으로 나누며 모든 잎맥은 시작 옥신(auxin)으로부터 목적 옥신으로 향하며 절차적으로 성장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성장에 필요한 목적 옥신을 자동으로 계산하기 위해 잎몸에 해당하는 이진영상으로부터 근사화된 컨투어를 찾아 이를 기반으로 후보목적 옥신을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다중 텍스쳐 맵 합성을 적용하여 자연스러운 디지털 잎을 생성한다. 제안한 방법을 통하여 자연스러운 다양한 잎의 생성이 가능하고, 효율적인지 여부를 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Portulaca oleracea L. 추출물에 의한 Escherichia coli KCTC 2441의 생육억제

  • 이은숙;서부일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67-374
    • /
    • 2001
  • 쇠비름 추출물의 농도가 1%정도부터 Escherichia coli KCTC 2441의 성장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7%일 때 균의 성장이 급속도로 억제되었다. 즉 쇠비름 추출물이 Escherichia coli KCTC 2441에 대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6월에 양지 바른 곳에서 자란 쇠비름이 대장균 성장 억제 효과가 높았으며 잎보다는 줄기 부분이 잎 중에서도 적자주색을 띠는 잎이 대장균 성장 억제 효과가 높았다.

  • PDF

생육시기별 식물 잎의 항산화제 함량 변화 (Changes in Antioxidants of Several Plant Leaves During Growth)

  • 강정렬;김석중;박신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4-109
    • /
    • 2004
  • 많은 항산화제가 식물 잎에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식물 잎의 성장시기에 따른 항산화제의 변화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잎, 뽕잎, 탱자나무잎에 존재하는 항산화 성분의 양을 잎의 성장 시기별로 조사하였다. 총 polyphenol의 함량은 잎이 성장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생육초기인 4월에 채취한 감잎의 경우 총 polyphenol의 함량이 4.62 g/dried 100 g으로 나타나, 뽕잎 1.70 g/dried 100 g와 탱자나무잎 0.91 g/dried 100 g에 비해 2.7∼5.1배 많이 검출되었다. Ascorbic acid의 함량도 성장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뽕잎이 2.7∼6.0, 감잎이 5.3∼9.9, 탱자나뭇잎이 3.7∼6.9 mg/dried 100 g으로 감잎이 뽕잎이나 탱자나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Glutathione리 함량도 성장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그 평균함량은 탱자나뭇잎이 35.7, 뽕잎이 15.8, 감잎이 2.3 mg/dried 100 g으로 탱자나뭇잎에서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beta$-Carotene의 함량은 성장을 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성장 후기인 9월에 채취한 잎의 경우, 뽕잎이 411.2 mg/dried 100 g으로 나타나, 감잎 198.5, 탱자나뭇잎 144.1 mg/dried 100 g보다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alpha$-Tocopherol의 함량도 성장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성장 후기인 9월에는 탱자나뭇잎이 52.8, 뽕잎이 48.6, 감잎이 61.7 mg/dried 100 g으로 나타나, 감잎이 다소 높게 검출되었다.

아메리카잎굴파리에 의한 거베라 피해잎의 조직학적 관찰 (Anatomical Observation of Leaf of Gerbera hybrida Hort. Injured by Liriomyza trifolii)

  • 정용모;김진기;안동춘;빈철구;이동우;손흥대;권오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4호
    • /
    • pp.485-488
    • /
    • 1999
  • 아메리카잎굴파리에 의해 피해를 입은 거베라 잎의 피해부위인 흡즙 부위 및 식해흔의 내부조직 구조를 광학현미경(LM)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아메리카 잎굴파리에 의한 피해 잎의 내부조직 관찰 결과, 피해의 진행과정은 대개 3단계로 관찰할 수 있었다. 첫째, 초기 단계로 흡즙 후 산란하는 부위는 비교적 세포조직이 치밀한 책상조직이었으며, 둘째,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주위의 책상 조직만을 식해하면서 잎조직 속에서 굴을 만들기 시작하고, 세째, 성장한 유충은 점점 굴을 크게 하면서 성장하여 잎의 표피층을 뚫고 나오기 직전에는 1층의 책상조직과 책상조직에 연결된 2층의 해면조직까지 식해하면서 잎의 내부에 피해를 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