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입자 계수

Search Result 76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Devolatilization Model of Woody Biomass Particle in a Fluidized Bed Reactor (유동층 반응기에서의 목질계 바이오매스 입자의 탈휘발 예측 모델)

  • Kim, Kwang-Su;Leckner, Bo;Lee, Jeong-Woo;Lee, Uen-Do;Choi, Young-Tai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0 no.5
    • /
    • pp.850-859
    • /
    • 2012
  • Devolatilization is an important mechanism in the gasification and pyrolysis of woody biomass, and has to be accordingly considered in designing a gasifier. In order to describe the devolatilization process of wood particle, there have been proposed a number of empirical correlations based on experimental data. However, the correlations are limited to apply for various reaction conditions due to the complex nature of wood devolatilization. In this study, a simple model was developed for predicting the devolatilization of a wood particle in a fluidized bed reactor. The model considered the drying, shrinkage and heat generation of intra-particle for a spherical biomass. The influence of various parameters such as size, initial moisture content, heat transfer coefficient, kinetic model and temperature, was investigated. The devolatilization time linearly in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moisture content and size of a wood particle, whereas decreases with reaction temperature.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of results when the external heat transfer coefficient is over 300 $W/m^2K$, and smaller particles are more sensitive to the outer heat transfer coefficient. Predicted results from the model show a similar tendency with the experimental data from literatures within a deviation of 10%.

수용액기반 Cu-In-Se 나노입자 합성

  • Choe, Yeong-U;Lee, Dong-Uk;Yong, Gi-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368-368
    • /
    • 2011
  • I-III-VI족 화합물반도체인 CuInSe2(CIS)는 1.02 eV 직접천이형 bandgap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광흡수 계수($1{\times}10^5\;cm^{-1}$)를 가지고 있어 박막형태양전지의 광흡수층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저비용, 대면적화, 고효율의 태양전지 구현을 위해 CIS 나노입자를 합성하고 용매에 분산시켜 Ink화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CIS 나노입자합성에 사용되는 수열합성법은 독성이 강하고 고비용의 용매를 사용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수용액기반의 수열합성법과 열처리과정을 통하여 CIS 나노입자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나노입자를 XRD, EDAX, SEM, TEM 분석을 통하여 CIS가 합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lastoplastic Behavior and Yield Surface of Polymer Nanocomposites by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분자동역학 전산모사를 이용한 나노입자 복합재의 탄소성 거동과 항복 예측에 관한 연구)

  • Yang, Seung-Hwa;Yu, Su-Young;Cho, Maeng-Hy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558-56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나노복합재의 탄소성 거동과 항복응력을 예측하기 위해 분자동역학 전산모사를 수행하였다. 나일론 기지와 실리카 나노입자가 포함된 단위 셀 구조로부터 나노입자의 체적분율 변화에 따른 응력-변형률 선도를 등변형률을 적용한 등온등압 앙상블 전산모사로부터 도출하였다. 4%의 변형률 범위에서 나노복합재의 탄성계수를 도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2% 오프셋 방법으로 항복응력을 예측하였다. 나노입자의 유무에 따른 항복평면의 변화와 고분자 재료에서 나타나는 정수압 효과가 항복평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일축 인장/압축 그리고 이축 인장/압축을 수행하였고, 각각의 경우에 나타나는 나노복합재 내부의 자유체적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나노입자의 강화효과를 고찰하였다. 또한 고분자 기지로 인해 발생하는 정수압 효과를 반영한 von-Miss 항복평면을 도출하고, 입자의 체적분율 변화에 따른 항복응력의 예측이 가능하도록 정수압효과에 대한 파라메터를 체적분율의 함수로 근사하였다.

  • PDF

분자동역학 모의실험을 이용한 Lennard-Johns 입자계의 확산계수 계산

  • Jeong, Gu-Hwa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5.03a
    • /
    • pp.171-176
    • /
    • 2015
  • 일반적으로 어떠한 계의 크기가 커지면 확산계수 (Diffusion coefficient, D) 는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의 개수와 계의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정방계와 직방계에서의 확산계수를 계산하였다. 확산계수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Einstein-Smoluchowski 관계식을 사용하였다. 정방계에서 x, y, z축의 확산계수를 계산해본 결과, 계의 크기와 원자의 개수가 증가할 때 각 축의 확산계수도 같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직방계에서 x, y축의 셀 길이를 고정시키고 z축의 셀 길이를 늘여가며 확산계수를 계산해본 결과, x, y축의 확산계수는 정방계와 비슷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z축의 확산계수는 변화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f Response Characteristics and False Counts in Optical Particle Counter (광학 입자 계수기의 응답특성 및 오계수에 관한 연구)

  • 안강호;이재헌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6 no.3
    • /
    • pp.547-554
    • /
    • 1992
  • Response characteristics and false counts of laser and white light optical particle counters (OPC) have been studied as a function of particle size using monodisperse polystylen laterx (PSL) particles. Theoretical light scattering calculations for He-Ne laser based counter have been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hus good agreements have been found. The light scattering intensity in monochromatic light shows an oscillatory character for the transparent and spherical particles of PSL due to Mie resonance. Because of this effect, the response of the LAS-X OPC showed almost same responses in the diameter ranges of 0.4mu.m to 0.6mu.m and 0.7mu.m to 1.0mu.m for PSL particles. A laser optical particle counter with high flow rate applied for clean room has been studied to identify the noise sources. Three different manufacturer's clean room optical particle counters alos have been tested to measure the background noise level.

Particle Shape Evaluation of Aggregate using Digital Image Process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한 골재입자의 형상 분류)

  • Hwang, Taik-Jean;Cho, Jae-Yoon;Lee, Kwan-Ho;Song, Yo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4
    • /
    • pp.53-5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particle shape evaluation of granular soil and aggregate using Digital Image Process(DIP). DIP is very useful to measure the roughness and particle shape of aggregates. Couple of aggregates, like standard sand, two different crushed stones, and two different marine aggregates, have been employed. Shape factor of two different marine aggregates is ranged 0.35 to 0.54. Crushed stone I is that of 0.74 which is highly flat, but standard sand is elongated shape. Especially, two marine aggregate showed a big difference of width and length which meaned a long shape. There is any significant difference of elongation ratio and flakiness for each aggregate with different measuring system, like direct measurement of vernier calipers and DIP method. Within the limited test results, DIP is one of useful to get the particle shape of aggregate with limitation of measuring errors and to apply the particle distribution curve.

Retrieval of Depolarization ratio using Sunphotometer data and Comparison with LIDAR Depolarization ratio (선포토미터 데이터를 이용한 편광소멸도 산출과 라이다 편광소멸도와의 비교)

  • Kim, Kwanchul;Choi, Sungchul;Noh, Youngmi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2 no.2
    • /
    • pp.97-104
    • /
    • 2016
  • We present linear particle depolarization ratio at 440, 675, 870, and 1020 nm retrieved from measurements with an AERONET sun/sky radiometer at Osaka, Japan. The retrieved data were compared with lidar derived linear particle depolarization ratio at 532 nm at the same site. We find good agreement between linear particle depolarization ratios derived with Sun photometer and measured by lidar except for those at 440 nm.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between lidar derived data and sun/sky radiometer derived data were 0.28, 0.81, 0.88, and 0.89 at 440, 675, 870, and 1020 nm, respectively. We find that the linear particle depolarization ratio derived with sun/sky radiometer varies by the mixing between Asian dust and pollution particles. As the mixing ratio of Asian dust and pollution particles is increased, the linear particle depolarization ratio values are lower than the values of pure Asian dust. It was confirmed by the value of single-scattering albedo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Calculation of Multiple Scattering in Water Cloud and Application in Remote Measurement of Cloud Physical Properties (구름에서의 다중산란효과 계산 및 이를 이용한 구름 물리변수 원격 추출 방법 연구)

  • Kim, Dukhyeon;Park, Sunho;Choi, Sungcheol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5 no.1
    • /
    • pp.1-7
    • /
    • 2014
  • Multiple scattering effects in cloud are important error sources of the Mie scattering Lidar inversion method, which should be measured to correct the Lidar equation in single wavelength Mie Lidar. We have calculated the multiple scattering effects in liquid water clouds by using a Monte Carlo method, and we have applied these multiple scattering effects in measuring water cloud effective size and LWC (Liquid Water Content). When cloud effective size is less than $2.5{\mu}m$, we can easily extract cloud effective size and LWC by using two wavelength Lidar such as extinction coefficients measured at 355nm and 1064nm. For a larger size cloud, we can find that saturated degree of linear polarization is strongly correlated with cloud effective size, LWC, and extinction coefficients. From these correlations we know that we can measure LWC and cloud effective size if we use single wavelength Rotational Raman Lidar and Mie scattering polarization Lidar.

Analysis techniques review for the development of a water quality prediction model (수질 예측 모형 개발을 위한 해석기법 검토)

  • Seong, Hoje;Rhee, Dong Sop;Park, In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01-301
    • /
    • 2020
  • 물은 보다 나은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원이며,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받는 것은 국민 생활 영위에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국내 주요 수자원은 하천수를 통해 확보하고 있으며, 안전한 수자원 공급을 위해서는 하천관리를 통한 수질오염사고에 대비한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페놀, 황산 등 독성오염물질 유출로 인한 수질오염사고가 발생한 바 있고, 그 피해액이 수백억에 달한다. 이러한 수질오염사고로 인한 피해액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수자원 공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의 거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국내하천의 경우, 대부분 하폭 대비 수심비가 크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2차원 혼합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 내 오염물질의 2차원적 혼합거동을 해석할 수 있는 수치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며, 현장에 적합한 해석기법을 검토하고 모형 개발 방향을 결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내 수질오염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수질 분석 및 예측을 목표로 오염물질 혼합해석에 주로 활용되는 격자기반 모형과 입자추적 기반 모형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했다. 용존성 오염물질을 대상으로 격자 기반 및 입자 기반 혼합해석 모형을 개발했으며, 오염물질의 주입형태와 하천 내 유속 분포를 가정해 혼합해석을 수행했다. 격자 기반 모형의 경우, 경계조건과 분산계수의 결정이 필요하고 수렴/발산 문제로 인해 모형의 안정적 실행을 위한 조건 수립이 필요하다. 입자 기반 모형의 경우에도 입자 수에 따른 계산시간 개선이 필요하지만, 입력조건 결정이 간편하고 분산계수 입력이 필요 없어 신속한 모의조건 설정이 가능하다. 오염물질 혼합해석 모형 개발을 위한 해석기법 검토 결과, 신속한 수질 분석 및 예측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계산시간 개선을 전제로 모의조건 설정이 용이한 입자 기반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