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입자 계수

Search Result 76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산화 그래핀 나노유체의 파울링 현상에 따른 시스템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

  • Gang, Hye-Won;Kim, Hyo-Seok;Kim, Nam-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382.1-382.1
    • /
    • 2016
  • 비등 열전달 시스템은 각종 발전 시스템, 열교환기, 냉방 및 냉동 시스템과 같이 다양한 산업에서 이용되며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또한 비등 열전달 시스템에서의 임계 열유속은 열전달 시스템의 한계 및 안정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비등 열전달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임계 열유속을 향상시키려는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작동유체를 나노유체로 사용할 경우 임계 열유속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하지만 작동유체를 나노유체로 사용할 경우 나노입자가 열전달 표면에 침착되는 현상을 유발하며 열전달 시스템의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화 처리된 그래핀 나노유체의 파울링 현상에 따른 열적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산화 처리된 그래핀 나노 파울링은 유속과 파울링을 위한 코팅시간이 증가할수록 산화 처리된 그래핀 나노유체의 임계 열유속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임계 열유속은 증가하나 비등 열전달 표면의 온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열전달 계수는 유동이 없는 순수 물 비등 열전달 계수와 비교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 Explicit Solution to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of Wav Surface Vertical Barrier (수면에 설치된 2차원 이중 연직면에 의한 파랑 반사의 양함수 해법)

  • Lee, Sang-moo;Kim, Seu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10a
    • /
    • pp.150-155
    • /
    • 2001
  • 단일 소파막에 대한 파도 반사문제와 투과. 또 이중으로 설치된 소파막에 대한 반사와 투과문제에 대한 양함수 해를 도출하였다. 단일 막에 대한 파도의 반사가 에어리 파의 해당 벽에 의해서만 입자반사로서 일어난다고 보고 이를 원거리 파도에너지와 일치시켜 반사 파고를 얻었다. 이중 막에 대해서는 각각의 파도가 독립적으로 단일 막에 의해서 반사 또는 투과가 되고 이들이 중첩되어 전체 파고가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간주하여 전체 반사계수와 투과계수를 결정하였다. 단일 막에 대한 투과계수의 결과는 정성적으로 다른 계산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실험결과보다는 높게 예측되었다. 이중 단일 막에 대한 결과는 낮은 주파수에서 실험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중간 주파수에서 완만한 감소를 보였다. 계산이 양함수 해로 얻어지므로 개념설계와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Dynamic thermal properties of particulate foods in a continous flow cooking system (연속살균장치에서의 소고기 정육면체의 열전달특성 측정)

  • 홍지향;한영조;고학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1999.12a
    • /
    • pp.523-530
    • /
    • 1999
  • 연속살균장치는 $130^{\circ}C$에서 $140^{\circ}C$의 초고온에서 연속적으로 식품을 열처리 하는 공정으로 재래 배치식 공정에 비하여 순간적인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경제적인 공정이나, 액상과 고상으로 구성된 저산도 식품은 고상입자의 대류열전달 계수와 장치내 체류시간이 정확히 구명되지 않아서 연속살균기술이 성공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연속살균장치에서의 액상식품과 고상식품사이의 대류열전달 계수를 예측하기 위하여 연속살균장치의 Hold tube에서 정육면체 모델 식품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연속살균장치의 홀드튜브에서 정육면체 모델 식품의 온도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소고기를 대상으로 이 시뮬레이션 모델의 입력변수인 비열, 열전도도를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사용하였다. 0.0에서 15.0 centipoise의 점도를 가지는 모델 액상식품의 15.6에서 45.2liter/min 의 유속에 대하여 액상과 소고기 정육면체의 대류열전달계수는 792에서 2107W/$m^2$K으로 예측되었다.

  • PDF

Friction and Wear Characteristics of Graphite Fiber Composites (탄소 섬유 복합재료의 마찰 및 마모 특성)

  • 심현해;권오관;윤재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9.06b
    • /
    • pp.29-34
    • /
    • 1989
  • 고분자 복합재료들은 오늘날 광범위하게 마찰 부위들에 응용되고 있다. 다양한 첨가제와 보강재들이 고분자 물질들에 넣어져 강도와 마모 특성들을 향상 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복합재료들로서 현재 입수 가능한 것에 베어링 재료들이 있으며 이에 포함되는 것이 자체 윤활 보강 플라스틱 들이며 이들에는 고체 윤활제, 즉, 테플톤, $MoS_2$, 혹은 흑연가루들이 첨가된다. 실험적 그리고 이론적인 연구들이 여러 조건들에서의 섬유 보강 복합 재료들의 마모 거동에 대하여 보고되었다(예를 들어, 미끄럼 마모, 연마 마모, 입자 충격 마모, 비빔 마모). Tsukizoe와 Ohmae의 보고에 의하면 탄성계수 탄소섬유 복합재료는 가장 적은 마모가 횡단 방향(Transverse)에서 있고, 고 강도 탄소 섬유 복합재료는 길이 방향(Longitudinal)에서 있다. 가장 많은 마모는, 고 탄성계수 복합재료는 길이 방향에서, 고 강도 섬유 복합재료는 횡단 방향에서 잇다. 그들이 또한 발표한 것은 양쪽의 고 탄성계수와 고 강도 섬유 복합재료들의 수직방향(Norma)에서 눌러 불음(Seizure)가 일어났다고 한다.

  • PDF

Propagation Analysis of Surface Crack Due to Hertzian Contact (헤르쯔접촉에 의한 표면균열의 전파해석)

  • Kim, Seock-Sam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8 no.2
    • /
    • pp.35-43
    • /
    • 1992
  • 취성재료의 마멸천이기구를 규명하기 위해 반무한탄성체상에 표면균열이 존재할 때 그 위를 헤르쯔 접촉하중이 이동할 경우를 해석모델로 하여 선형파괴역할을 도입하여 해석하였다. 해석방법으로는 표면균열을 인상전위의 연속분포로 치환하여 Erdogan-Gupta의 방법으로 균열끝면의 응력확대계수를 구하여, 취성재료의 균열전파조건인 Erdogan-Sih Criterion을 사용하여 그 전파특성을 해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마멸율이 적은 마멸에서 마멸율이 큰 마멸로 전이할 때 급격한 표면손상과 마찰계수의 급격한 증가를 동반하므로 이에 대한 해석에 중점을 두었다. 해석결과는 접촉하중과 마찰계수의 증가는 표면균열의 전파를 야기시켜 대규모 마멸입자를 생성시키게 됨을 보여주었다.

Measuring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Nanofluids Considering Effect of Film Temperature Change over Heated Fine Wire (막온도 변화를 고려한 가는 열선주위 나노유체의 대류열전달계수 측정 실험)

  • Lee, Shinpy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7 no.8
    • /
    • pp.725-732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nanofluids flowing over a heated fine wir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s were measured for four different nano-engine-oil samples under three different temperature boundary conditions, i.e., both or either variation of wire and fluid temperature and constant film temperature. Experimental investigations that the increase in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nanofluids in the internal pipe flow often exceeded the increase in thermal conductivity were recently published; however, the current study did not confirm these results. Analyzing the behavior of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under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s was a useful tool to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boundary layer thickness of nanofluids.

Inherent optical properties of Scrippsiella trochoidea (적조생물 Scrippsiella trochoidea의 고유 광특성)

  • Lee, Nu-Ri;Moon, Jeong-Eon;Ahn, Yu-Hwan;Yang, Chan-Su;Yoon, Hong-Ju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183-187
    • /
    • 2007
  • 적조원격탐사의 기초연구로서 적조생물의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적조생물 종은 와편모조류에 속하는 종으로 Scrippsiella trochoidea이다. 광학적 특성 조사를 위해 순수 배양된 생물종을 미세조류은행(KMCC)에서 구입하여 배양하였다. 배양된 샘플로 chlorophyll 농도, 홉광계수(absorption coefficient, a), 소산계수 (attenuation coefficient, c), 역산란계수(backscattering coefficient, $b_b$), 입자크기분포(size distribution, Fd)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00년 적조 생물종 원격탐사 기술개발 보고서의 결과와 비교해 보았으며, 홉광계수 측정방법에 있어서 filter technique과 부유상태에서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홉광계수에 있어서 기존연구와 본연구의 결과는 매우 유사한 홉광 스펙트럼올 나타내었으며,filter technique와 부유상태에서 측정한 홉광도는 filter technique를 이용한 것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multiple absorption, 즉 ${\beta}-effect$에의한 것으로 보인다. 역산란 스펙트럼은 노이즈가 많이 나타났는데 이것은 농도가 충분하지 않아서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적조생물의 고유광특성이 해색에 영향을 미칠것이라고 보고 이들 결과는 해색을 재현하기 위한 해색모텔의 입력변수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Dynamic Shear Modulus of Crushable Sand (잘 부서지는 모래의 동적전단탄성계수)

  • 윤여원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8 no.4
    • /
    • pp.67-80
    • /
    • 1992
  • In the analysis of dynamic problem, determination of mazimun shear modulus is essential for the estimation of shear stress at any strain level. Although many models for silica sands were presented, the direct accomodation of those models to crushable sand would be difficult because of crushability during torsion. In this research dynamic behaviour of tested sand is presented. The shear modulus of loose crushable sand shows similar results to silica sand. However, as the density of crushable sand increases the shear modulus decreases because of crushability by increasing surface contact area. And modulus number is expressed in terms of state parameter by Been and Jefferies (1965).

  • PDF

Investigation of Thermal Stability of Epoxy Composite Reinforced with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and Micrometer-Sized Silica Particles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와 마이크로미터 크기 실리카 입자로 강화된 에폭시 복합재료의 열 안정성에 관한 연구)

  • Oh, Ryun;You, Byeong Il;Ahn, Ji Ho;Lee, Gyo Woo
    • Composites Research
    • /
    • v.29 no.5
    • /
    • pp.306-314
    • /
    • 2016
  •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thermal stabilities of the epoxy composite specimens in addition to the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those were reinforced with carbon nanotubes and micrometer-sized silica particles. To disperse the filler in matrix relatively simple physical process, specimens were fabricated using shear mixing and sonication. Tensile strength, coefficients of thermal expansion and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pecimens were measured with varied contents of the two fillers.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were also discussed,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rmal expansion related to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specimens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several micromechanics models. The hybrid composites specimens incorporating 0.6 wt% of carbon nanotubes and 50 wt% of silica particles showed better mechanical properties than the others with increase in tensile strength up to 11%, with respect to those of the baseline specimens. As the silica contents were increased the thermal expansion was reduced down to 36%, and the thermal stability was improved with the decreased thermal deformation. Thermal conductivity of the epoxy composite specimens incorporating 50 wt% of silica particles was enhanced, which demonstrate improvement of 72%.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hybrid composites specimens incorporating the two fillers were improved simultaneously.

An Experimental Study on Heat Transfer in the Furan Foundry Sand Fluidized Bed (Furan Foundry Sand 유동층에서 열 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Jong-Suen;Baek, Ko-Kil;Kim, Uen-Young;Jeon, Sung-Taek;Lee, Duck- Bong
    • Solar Energy
    • /
    • v.15 no.3
    • /
    • pp.105-117
    • /
    • 1995
  • Heat transfer coefficients on a single spiral coil tube in the furan foundry sand fluidized bed have been investigated. Heat transfer coefficients(ho) to an immersed single spiral coil tube were measured in the bed. The bed diameter was 0.21 m. The following quantities were varied: (l)bed temperature, (2)mean particle diameter, (3) fluidization rate, (4)the ratio of heated coil tube pitch to diameter(p/Do), and (5)the ratio of heated coil tube pitch to mean particle diameter(p/dp).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values of maximum Nusselts number were compared with the values of maximum Nusselts number predicted by the existing correlations. The values of heat transfer coefficient increase with the increase in bed temperature and fluidization rate, but decrease with increase in particle diameter. An empirical formulus of maximum Nusselts number which is applicable in the furan foundry sand fluidization bed is as follows: $$Nu_{max}=1.01\;Re^{0.48}Prg^{0.4}(p/dp)^{0.28}(p/Do)^{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