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플란트 환자

검색결과 497건 처리시간 0.026초

기성품 바 어태치먼트 시스템인 SFI bar를 이용한 피개의치 전악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maxillary implant overdenture using prefabricated bar attachment system: a case report)

  • 신은정;주한성;방몽숙;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31-337
    • /
    • 2014
  • 전통적인 바와 클립 유지형 피개의치의 경우, 인상채득 및 기공과정에서 오차가 생길 수 있어 바가 nonpassive fit하게 제작될 수 있다. 최근에 나온 기성품 바 어태치먼트 시스템인 SFI-Bar (Stress Free on Implant Bar) system (Cendres+Metaux, Biel/Bienne, Switzerland)은 튜브바로 연결하여 조립하는 방식이므로 밀링방식이나 캐스팅방식에서 겪을 수 있는 작업상의 많은 어려움과 긴 작업 시간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고, 임플란트 주위골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도 줄여줄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골흡수가 심한 상악 무치악 환자에게 최근에 나온 stress free implant bar인 SFI-Bar system을 사용한 피개 의치로 수복하였다. SFI Bar를 이용한 피개의치 제작시 수동적 적합을 얻을 수 있어 임플란트에 스트레스를 덜 가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추후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장기적인 결과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을 이용한 자연치 치간거리의 평가 (Evaluation of interdental distance of natural teeth with cone-beam computerized tomography)

  • 오상천;공현준;이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4호
    • /
    • pp.278-283
    • /
    • 2017
  •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이상적인 임플란트 근원심적 식립 위치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cone-beam CT)을 사용하여 건강한 자연치열에서 백악-법랑 경계부와 치조골 흡수를 가정한 그 하방 2 mm에서 전치, 소구치, 대구치의 치간거리를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원광대학교 치과대학병원에서 cone-beam CT를 촬영한 건강한 치열의 200명 환자를 선정하였다. Cone-beam CT 이미지를 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medicine) 파일로 전환하여,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하였고, cone-beam CT 이미지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head reorientation을 시행한 후,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재구성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얻었다. 모든 계측은 3명의 치과의사에 의해 최적화된 파노라마 이미지 상에서 시행되었다. 결과: 백악-법랑 경계부에서 상악 평균 치간거리는 전치 1.84 mm, 소구치 2.07 mm, 대구치 2.08 mm 그리고 하악은 전치 1.55 mm, 소구치 2.20 mm, 대구치 2.36 mm였다. 백악-법랑 경계부 하방 2 mm에서 상악 평균 치간거리는 전치 2.19 mm, 소구치 2.51 mm, 대구치 2.60 mm 그리고 하악은 전치 1.86 mm, 소구치 2.53 mm, 대구치 3.01 mm였다. 결론: 자연치열에서 치간거리는 전치부보다는 구치부에서 더 컸으며, 백악-법랑 경계부보다 그 하방 2 mm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전 치열에서 가장 좁은 곳은 하악 전치, 가장 넓은 곳은 하악 대구치였다.

임플란트 환자의 일반적 특성 및 구강관심도에 따른 기능별 만족도 연구 (Study for general characters of dental implant patients and satisfaction level of function by dental interest level)

  • 유은미;황윤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56-467
    • /
    • 2009
  • For this study, self-completion survey for 149 implant patients of dental clinics and hospitals in Seoul and Kyunggi areahas been executed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increasing patient satisfaction level by effective consult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for the patients who want dental implantatio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like below. 1. In terms of demographics of the study, sample size of female patients(n=85) was more than that of male patients(n=64) and patients in their 50s were major age group. When it comes to the educational level, university graduates were 85 and high school graduates were 44. And 132 were married and 6 were single. In the income level, monthly income between KRW 2~4 million was major group(n=59). 2. In the study, patients' most concern was complication or adverse events(n=41), and price(n=39) & annual dental check-up(n=49) were following it. And 80 patients responded that dental health is the most valuable(n=80) and whole body health was following(n=37). In terms of knowledge on dental implant, 100 patients responded 'know just a little', 31 and 13 answered 'generally know' and 'well know' each. 3. As a result of analyzing implant patients' satisfaction level by segment, general satisfaction rate was highest as 4.20, social satisfaction rate was 4.20, psychological function was 4.06 and masticatory function was 3.90. 4.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patient satisfaction level by general characters of dental implant patient, chewing function was the highest in the age group of 60s with score of 4.21 and in terms of social function, the group with over KRW 8 million of monthly income showed highest score with 4.54. When it comes to the psychological function, patients in their 70s showed highest satisfaction level with 4.52. In the end, patients in their 70s showed highest score with 4.81 in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it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5. In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by interest in dental health, appearance showed highest score with 4.57 and it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hole body. In the variance by dental knowledge, 'well know' group showed highest score with 4.58, and that of 'just a little' group was 4.33. That means there are correlations between dental knowledge and satisfaction level. 6. As a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s amongst variances of the study, there were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m. And there were very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especially between social and psychological function and between psychological and overall satisfaction level. In conclusion, higher psychological function has strong relations with both social func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level(p<.001).

  • PDF

임플란트 완성 환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 요인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successful dental implants)

  • 박정현;엄상화;권현숙;조갑숙;허승주;이소영;유병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717-727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urposed to estimate the level of oral health quality of lif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related factors and oral health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uccessful dental implants. Methods : Thi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2009 to March 2010 with 126 patients confirmed successful dental implants in Busan. Th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related factors were estimated with OHIP-14 and 8 oral health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ver 9.1) program. Results : The score of oral health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uccessful dental implants was $12.25{\pm}7.82$. The scores of subscale of the oral health quality of life were $1.24{\pm}1.35$ in social disability, $1.60{\pm}1.37$ in handicap, $1.60{\pm}1.44$ in psychological disability, $1.70{\pm}1.38$ in functional limitation, $1.81{\pm}1.35$ in physical disability, $2.14{\pm}1.46$ in physical pain, $2.17{\pm}1.46$ in psychological discomfort, respectively. The related factors of oral health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uccessful dental implants were absence of other type prosthesis and experience of tooth brushing education. Conclusions : Th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uccessful dental implants was relatively good condition. Social supports and chances for high quality denture and tooth brushing educations are needed to improv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dental implants.

한국인의 상악 전치부 순측골 두께와 치은 생체형(gingival biotype)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facial bone thickness and gingival biotype of the anterior maxilla in Koreans)

  • 박지훈;김은강;김형민;주지영;이주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3호
    • /
    • pp.169-177
    • /
    • 2015
  • 목적: 한국인의 상악 전치부 순측골 두께와 치은 생체형(gingival biotype)의 분포 및 상관관계를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부산대학교치과병원에 내원한 57명의 환자, 335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백악법랑경계로부터 4 mm, 6 mm, 8 mm 지점의 순측골 두께를 측정하였고, 치은 생체형은 치주탐침자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대상치아에서 1 mm 이하의 얇은 순측골(4 mm 지점 87%, 6 mm 지점 88%, 8 mm 지점 90%)이 우세하게 관찰되었고, 전체 대상자의 21%에서 얇은 치은 생체형이 확인되었다. 치은 생체형과 순측골 두께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존재하지 않았다. 결론: 성공적인 전치부 심미 임플란트 치료를 위해서는 치은 생체형 검사 같은 임상적 검사 이외에 순측골 평가를 위한 추가적 CBCT 등의 방사선 검사가 필수적이다.

치과내원 환자들의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리 행태에 따른 삶의 질 (Relationship of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Care to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of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 윤현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94-602
    • /
    • 2015
  • 본 연구는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리 행태에 따른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2013년 3월부터 7개월간 일부지역의 치과병 의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검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84명을 분석하였다. OHIP-14는 일반진료를 받은 환자에서 가장 높았고, 하위영역으로 기능제한 교정치료 8.27점, 신체적 동통 7.24점, 정신적 불편감 7.90점, 신체적 능력저하 7.79점, 정신적 능력저하 8.14점, 사회적 능력저하 8.24점 모두 일반진료에서 높았고, 사회적 불리에서는 교정치료(8.78)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서는 모두 남자에서 높았고, 연령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이 나빠졌으며, 직업은 주부에서 대부분 낮게 나타났고, 전신질환이 없는 경우 삶의 질이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강건강관리 행태에서는 정기검진을 받지 않고, 통증 시 치과내원이 가능한 경우 삶의 질이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강건강상태에서는 실란트 시술을 받은 치아, 충전치료를 받은 치아와 상실치아, 보철치료를 받은 치아, 임플란트 식립 치아가 없는 경우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의 구강건강관리 시스템구축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예방진료와 구강보건교육을 바탕으로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자연치아를 오래 보존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기초로 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생각된다.

삼차신경손상의 온도역치검사에 대한 예비연구 (A Pilot Study for Thermal Threshold Test of Trigeminal Nerve Injuries)

  • 김미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4호
    • /
    • pp.243-250
    • /
    • 2012
  • 임플란트 수술이나 발치 같은 침습적인 치과치료로 인한 삼차신경 손상의 증가는 최근 치과계의 가장 민감한 문제의 하나로서 향후 법적인 문제로 까지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신경손상에 대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평가 즉, 정량적 감각신경 검사(quantitative sensory testing)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온도역치 검사는 QST의 필수 항목으로 구강영역에서도 신뢰성이 입증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삼차신경손상과 관련한 온도역치 검사에 대한 보고가 아직 없기에, 본원에서 시행한 일부 증례의 온도역치 검사의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1년 5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삼차신경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중 온도역치 검사를 시행한 18명의 환자 자료를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냉인지역치(cold detection threshold, CDT)는 이환측이 비이환측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온인지역치(warm detection threshold, WDT), 냉통각역치(cold pain threshold, CPT), 열통각역치(heat pain threshold, HPT)는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향후 더 많은 피검자를 대상으로 온도 자극과 관련하여 감각저하나 감각과민, 통각저하나 통각과민 같은 유형별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다수의 치아 상실과 치아 마모로 인해 수직고경이 감소된 환자의 완전 구강 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a patient with reduced vertical dimension due to numerous tooth loss and excessie worn dentition: A case report)

  • 이은혁;임영준;권호범;김명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56-466
    • /
    • 2019
  • 최근 디지털 치의학 기술이 치과 치료에 다양하게 활용이 되고 있다. 본 증례는 다수의 치아 상실과 치아 마모로 수직고경이 감소한 환자의 치료에서 이러한 디지털 치의학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다루고 있다. 감소한 수직고경을 주의 깊게 평가하여 회복하였고, 최종 수복물을 고려하여 설계한 수술용 가이드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을 시행하였다. 디지털 악간관계 측정기를 이용하여 하악의 전측방 운동을 측정하여 교합기에 반영하였고, Naturgemäße Aufwachs-Technik (N.A.T.), Natural functional reconstruction (N.F.R.)을 이용한 왁스업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를 스캔하여 CAD/CAM 기술로 임시 수복물을 제작하였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상태까지 진료실에서 조정과정을 거친 뒤 Computer-Aided-Design/Computer-Aided-Manufacturing (CAD/CAM) 기술을 활용하여 최종 수복물로 그대로 이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디지털 치의학 기술과 전통적인 방식의 장점을 활용하여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Case report - 복잡해 보이는 전악 구강 재건 케이스에 간단한 digital smile design을 적용하여 환자의 미소를 회복시켜 주기 (Case report - Rehabilitation of a patient's smile by applying a simple digital smile design method on a complex clinical situation.)

  • 임형구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3-117
    • /
    • 2020
  • 아름다운 미소는 한 사람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준다. 사람들을 만날 때 자신 있게 웃을 수 있다면, 항상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 있고이를 통해 매일의 삶을 보다 즐겁고 행복하게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치과 의사로서 우리는 환자들에게 아름다운 미소를 되찾아 주어야 할 소명이 있다. 치과 의사로서 환자의 저작 기능을 회복 시켜 주는 것도물론 중요하지만, 치과 보철을 통해 심미적인 치아 외형 및 안모를 회복 시켜 주는 것이 최우선적인 과제임을 늘 명심해야 한다. 복잡한 전악 수복 케이스를 접할 때 치료 계획을 세우는 과정이야말로 어떤 치료 과정에 앞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가장 이상적인치료 계획을 세움에 있어 근간은 바로 심미성이 되어야 하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는 각 과정을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지난 몇 년간 "디지털 스마일 디자인" 컨셉이 치과계에 화두가 되어 왔다. 이 컨셉은 다양한 방법으로 임상에 적용될 수 있는데, 본 논고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2차원적인 스마일 디자인을 통해 전악 구강 재건 케이스를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간단한 임상 사진 및 포토샵을이용해 치료 계획을 세우는 방법에 대해 논해 보고자 한다.

한국인에서 상악 전치의 시상 치근 위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agittal root position of maxillary anterior teeth in Korean)

  • 공현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2호
    • /
    • pp.88-94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한국인에서 상악 전치의 치근 위치를 시상면에서 분석하고, 분류에 따른 빈도를 보고함으로써 즉시 식립 임플란트를 위한 방사선학적 자료를 수집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cone-beam CT)을 촬영한 환자 중 연구 기준에 적합한 120명(남성 60명,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축의 방향설정을 시행한 후에, 상악 전치부 치아와 치조골 사이의 관계에 대한 시상 치근 위치를 분석하였다. 치근이 치조골의 협측, 중앙, 구개측으로 위치한 경우 각각 Class I, II, III로 분류하였으며, 치근이 협측과 구개측 모두에서 피질골판에 2/3 이상 닿아있는 경우에는 Class IV로 하였다. 다음으로, 치아의 장축과 치조골의 장축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였다. 기술적 분석 및 Kruskal-Wallis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치아의 위치 및 분류에 따른 시상각을 비교하였다. 결과: 상악 전치부의 시상 치근 위치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Class I은 81.1%, Class II는 10.3%, Class III는 1.9%, 그리고 Class IV는 6.7%로 나타났다. 상악 전치부의 77.5%에서 시상각이 20도 이하로 나타났다. 그러나 견치의 경우, 42.7%에서 20도 이상의 시상각을 보였다. 분류에 따라서는 Class I (16.19)에서 Class II (8.72) 및 Class III (9.93)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시상각을 보였으며, Class IV (3.79)에서 낮았다. 결론: 본 제한된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상악 전치의 치근은 일반적으로 협측 치조골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으나, 일부 치아는 매우 얇은 치조골을 가지고 있으며, 30도 이상의 큰 시상각을 보였다. 따라서 적절한 치과 임플란트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해 시상 치근 위치 및 시상각에 대한 cone-beam CT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