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플란트 지지 의치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2초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전방부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 수복 증례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a maxillary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 강현모;김지환;김재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42-452
    • /
    • 2022
  • 무치악 환자의 구강 재건을 위한 임플란트를 활용한 치료 계획으로는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가공 의치, 임플란트 피개 의치,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 등이 있으며, 각각의 방식에 대한 적응증과 장단점이 다양하다. 본 증례의 환자는 상악 국소의치의 모든 잔존 지대치의 발거가 필요했으며 후방부 잔존골이 부족하여 식립 가능한 임플란트의 개수가 한정적이었다. 따라서 골 지지가 양호한 전방부에 4개의 임플란트 식립하여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크라운과 후방연장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로 수복해주었고 환자에게 경제적으로 효과적이면서도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하였다. 상악 무치악 환자에게 이와 같은 치료 계획은 경우에 따라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임상적, 생역학적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하악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사용 후의 환자만족도에 관한 전향적 연구 (A prospective study of patient satisfaction after implant supported mandibular overdenture treatment in fully edentulous patients)

  • 홍주희;정겨운;신상완;방은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8
    • /
    • 2015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하악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와 전통적인 총의치의 환자 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하악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치료가 계획된 40명의 상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51세 - 82세)를 대상으로 하였고, 모든 환자는 저작기능, 발음, 심미, 통증, 전반적인 만족도를 기존의 총의치 장착 시와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장착 1주 후, 12주 후에 visual analog scale법을 이용하여 답하였다. 각 시기의 만족도 비교를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measures ANOVA)을 시행하였다(P<.05). 결과: 모든 설문 항목에서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장착 1주 후, 12주 후에 총의치를 장착했을 때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P<.05).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장착 12주 후에 저작기능, 발음, 통증, 전반적인 만족도는 장착 1주 후에 비해 증가된 결과를 보였고, 심미에 대한 만족도와 전체적인 만족도는 감소함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는 기존의 총의치에 만족하지 못하는 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임으로써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증례 (A case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restoration using implant supported surveyed crown in a maxillary edentulous patient)

  • 성시영;최연조;류재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29-36
    • /
    • 2022
  • 상악 무치악 환자의 구강 회복을 계획할 때 치료 방법으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 수복과 총의치 수복 또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오버덴쳐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총의치 수복의 경우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 없고 상대적으로 경제적이며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 수복의 경우 일반적으로 총의치 수복에 비해 기능적인 부분이 우수하지만 임상적으로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운 경우가 존재한다. 최근에는 환자의 요구 및 잔존 치조골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부분적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도 시도되고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전방부의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을 시행한 증례로 심미 및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 보고하는 바이다.

하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에 대합되는 상악 총의치 하방의 골흡수에 대한 고찰 및 증례보고 (Maxillary Resorption under Complete Dentures Opposing Mandibular Implant Supported Fixed Prosthesis: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Report)

  • 김보국;김유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4호
    • /
    • pp.426-433
    • /
    • 2013
  • 완전 무치악 환자를 총의치로 수복할 때 특히 하악의 경우 유지, 지지 면적이 상악보다 좁아 의치의 탈락, 불량한 지지 및 안정성, 통증을 유발하여 의치의 사용이 불편할 수 있다. 이런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수복은 심미성, 안정성, 저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상악 완전무치악은 구개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총의치로 수복하였을 때 많은 환자들이 잘 적응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상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의 치료 옵션으로 하악은 임플란트로 지지를 받는 고정성 보철물 또는 임플란트 오버덴쳐로 수복하고 상악은 연조직에 의해 지지를 받는 전통적인 총의치로 수복하는 전악 보철수복이 제시되었다. 이 때 상악 총의치에 대합하는 하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이 상악 잔존치조제의 골흡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임플란트와 레진 클래스프를 이용한 심미 가철성 국소의치 증례 (Esthetic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implants and resin clasp: Case report)

  • 김수민;전영찬;정창모;윤미정;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58-65
    • /
    • 2015
  • 완전 무치악 환자의 수복 시 총의치나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와 더불어 임플란트를 지대치로 이용하는 국소의치가 치료 방법의 하나로 고려될 수 있다. 적은 수의 임플란트를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식립한 후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할 경우, 임플란트를 통해 안정을 얻고 부가적으로 유지 및 지지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임플란트 식립을 통한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환자의 수술 부담을 줄여줄 수 있으며, 치료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오랫동안 국소의치를 사용해 온 환자에서 치아 상실 후 잔존 치조골의 상태 및 환자의 요구를 고려하여 임플란트 지지 국소의치를 제작한 증례로서 전치부에 식립한 임플란트는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하고 구치부의 짧은 임플란트는 지지 기능만 부여하였다. 또한 의치상과 클래스프를 열가소성 아크릴 레진으로 제작함으로써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만성 치주염 환자에서 다수치 발거 후 디지털 임시 즉시 의치 제작 및 임플란트 지지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증례 (Digital interim immediate denture fabrication and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fabrication after multiple teeth extraction in patient with chronic periodontitis: a case report)

  • 박민재;방지원;방주혁;임선영;이용상;이근우;김성용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04-112
    • /
    • 2024
  • 다수 치아를 발치하면 환자는 사회적, 심리적, 심미적인 문제를 마주하게 된다. 이때, 치아를 발치하기 전 임시 즉시 의치를 제작하는 것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임시 즉시 의치를 제작한다면 기공과정이 단순해 지고 환자의 적은 내원 횟수로 임시 즉시 의치를 완성할 수 있다. 한편, 소수의 잔존치가 남은 환자에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수복이 어렵고, 가철성 국소의치의 지지 및 유지가 불량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임플란트 지지 가철성 국소의치(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가 대체 치료 옵션으로 주목되며, 임플란트 보철물을 이용해 추가적인 지지 및 유지가 가능하다. 본 증례에서는 다수치아 발거 후 소수 잔존치 상황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임시 즉시 의치를 제작하였다. 이후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서베이드 크라운을 제작해 가철성 국소의치의 지지, 안정, 유지를 제공하여 임상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두 개의 수술용 가이드와 Milled-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 의치 수복 증례 (Implant-supported milled bar overdenture with two implant surgical guides)

  • 윤필상;김선재;표세욱;장재승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55-62
    • /
    • 2023
  •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서 잔존 치조골의 흡수가 심할 경우 의치의 저작효율과 안정성 향상을 위해 임플란트로부터 지지를 얻는 피개의치를 고려해볼 수 있다.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선정할 때 디지털 진단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환자의 해부학적 요소와 최종보철물의 형태를 고려한 수술용 가이드를 만들어 임플란트 수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에서 다양한 부착장치 중 milled bar 경우 임플란트간의 연결고정 효과뿐만 아니라 견고한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본 증례에서는 치조골 삭제 전, 후의 상황을 가정한 두 개의 수술용 가이드를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milled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장착해주어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결과를 얻었다.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금관을 이용한 하악의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증례 (Clinical application of mandibular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implant-supported surveyed crown: A case report)

  • 박재호;민병귀;양홍서;박찬;박상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54-160
    • /
    • 2018
  • 소수의 잔존치가 편측으로 남아 있을 때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를 제작하는 경우, 기능시 잔존 치아를 연결한 축을 중심으로 의치의 회전이 발생하며 부분 무치악 부분이 긴 경우 점막 지지 비중이 증가되어 지대치에 대한 유지와 안정을 얻기 어렵다. 이런 의치의 움직임은 의치의 유지와 안정을 감소시키며 지대치에 과도한 힘을 가하게 되고 치주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추가적인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부가적인 유지와 안정을 얻는 국소의치의 치료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잔존치와 대칭적인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 후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금관을 제작하여 국소의치 삽입로와 각종 구성 요소를 받아들일 수 있는 설계로 제작하여 좋은 임상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상악 총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 치료를 위한 치료법 비교: 증례 보고 (Comparison of treatments for maxillary full denture and mandibular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in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A case report)

  • 한진원;표세욱;장재승;김선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73-81
    • /
    • 2023
  •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상악은 전통적인 총의치 치료를 통해 충분한 안정, 지지 및 유지를 얻기 용이하지만, 하악은 해부학적 한계로 인하여 치료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를 동반한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구치부에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운 경우에는 이공 전방에 4 - 5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하악의 의치를 고정해주는 하이브리드 형 고정성 총의치로 치료할 수 있고, 구치부에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한 경우라면 다수 유닛으로 구성되는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시대가 지남에 따라 수술방식이나 사용하는 재료 등이 다양하게 변해왔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총의치를 사용하는 완전 무치악 환자의 하악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 치료의 증례를 중심으로 치료 방법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장기간 사용한 이중관 의치의 실패원인 및 자연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이중관 의치 수복증례 (Causes of failures of long-term used double crown denture and new rehabilitation with dental implant and tooth combined denture using remaining teeth and implants)

  • 서정교;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84-390
    • /
    • 2018
  • 치주적으로 지지가 불리한 소수의 잔존치가 남은 환자에게 있어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의치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예후를 보이는 치료가 된다. 편측 악궁에 소수 잔존치가 남고 반대측 악궁에 다수의 자연치가 존재 하는 경우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자연치와 혼재된 형태의 이중관 의치를 제작 할 시 의치의 지지 및 안정요소의 향상과 더불어 저작력의 균형을 맞추어 줄 수 있게 된다. 본 증례는 55세 여자 환자로 만성 치주염으로 인해 치주 지지가 감소한 소수 잔존치 상태에서 자연치만으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 의치 치료를 통해 9.5년간 의치를 사용하였다. 9.5년 후 지대치 파절로 내원 하여 임플란트의 식립을 통해 자연치와 임플란트가 혼재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 의치로 재수 복 하였으며, 이를 통해 재 치료에서도 장기적 예후의 안정성을 기대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