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신

검색결과 2,204건 처리시간 0.032초

일부지역 임산부의 구강위생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ral Hygiene Status for Pregnant Women in Some Areas)

  • 김진수;고은희;김창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1-105
    • /
    • 2006
  • 본 연구는 2005년 3월 14일부터 4월 28일까지 서울시내 일부지역 산부인과 2곳, 보건소 1곳, 임산부 체조교실 2곳을 직접 방문하여 임신 20주 이상 된 임산부 200명을 대상으로 구강청결도를 수량으로 표시할 수 있는 간이구강위생지수를 측정하여 임산부의 구강위생상태를 임신기간별로 파악하여 향후 임산부 구강건강관리 및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신기간별 간이구강위생지수는 임신초기는 $1.10{\pm}0.91$이고 임신중기는 $1.78{\pm}1.02$이며, 임신말기의 간이구강위생지수는 $1.73{\pm}1.03$으로 나타났다. 임신기간 전체의 간이구강위생지수는 $1.47{\pm}1.03$이며, 간이잔사지수는 $0.96{\pm}0.51$이고 간이치석점수는 $0.51{\pm}0.52$로 나타났다. 2. 임신기간별 상악과 하악의 간이구강위생점수는 상악과 하악 모두 임신초기, 중(말)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임신초기보다는 중(말)기로 갈수록 잔사지수, 치석지수, 간이구강위생지수 모두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임신기간별 전치부와 구치부의 간이구강위생점수는 전치부와 구치부 모두 임신초기, 중(말)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임신초기보다는 중(말)기로 갈수록 잔사지수, 치석지수, 간이구강위생지수 모두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구자질과 태생기.주산기.영아기 사망에 관한 연구: 제1보-태생기 생명현상의 수량적 분석 (A Study on Fetal and Infant Mortality in Association with Population Quality: Report 1-Quantitative Analysis on Fetal Life)

  • 김정근;이승욱;이주열;김무채
    • 한국인구학
    • /
    • 제19권2호
    • /
    • pp.47-76
    • /
    • 1996
  • 이 논문은 인구자질정책을 전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된 임신추적조사의 결과이다. 경기도 가평군 전지역을 대상으로 1993년 11월 3일부터 1995년 12월 31일까지 유배우 여성이 경험한 모든 임신을 추적조사하여 임신경과와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조사기간중 782건의 임신이 관찰되었는데, 이중 642건은 최종 임신종결 형태가 확인되었으며 140건은 전출 및 조사종료에 따라 관찰이 중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추적조사 자료로 태생기 생명표를 작성하여 그 생명현상을 분석하였다. 태생기 생명표에 따른 임신종결확률은 출생률 53.5%, 태아사망률 14.5%, 인공유산율 32.0%로 전임신기간을 통해서 46.5%의 임신손모가 있었으며, 태아주령에 따른 임신종결확률의 곡선모양은 인공유산율과 태아사망률 모두 L형을 나타내었다. 한편 인위적으로 임신을 중단시키는 인공유산을 제외했을 경우의 태아사망확률은 21.9%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임신 초기에 태아사망이나 인공유산과 같은 임신손모에 의해 태생기의 생명이 상당히 손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신손모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임신간격이 신생아체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pregnancy Interval on Birth Weight)

  • 이광렬;사공준;김석범;김창윤;강복수;정종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2호
    • /
    • pp.173-181
    • /
    • 1989
  • 임신 간격이 선생아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구시내 종합병원 산부인과와 소아과에 내원한 두번 이상의 출산 경험을 가진 25-40세의 여성들은 대상으로 훈련된 간호전문 대학생들이 별도로 고안된 설문서를 통해서 조사 대상 여성의 연령, 산모의 출산시 연령, 임신전 체중, 첫째아 및 둘째아 출산시 선생아 체중, 임신 기간, 신생아의 성별, 임신간격, 조사대상 여성의 학력수준, 남편의 직업유형, 의료보장의 종류, 흡연 및 음주의 습관, 기왕병력 등을 조사하였다. 임신간격별 신생아 평균체중은 6개월 단위로 분류해서 비교하면 6개월 이하 군에서 3,250 grams로 최저치를 보였고 점차 증가하여 25-30개월 군에서 3,357grams로 최고치를 기록 하였다. 일원 분산 분석을 사용하여 평균체중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유의한 수준의 차이는 없었다(P=0.47). 연속변수인 첫째아의 출산시 체중, 임신 전 산모의 체중, 산모의 출산시 연령, 임신 기간과 임신 간격 및 신생아 체중과의 상관계수는 임신 간격과 산모의 연령, 임신 기간과 신생아 체중, 임신전 체중과 신생아 체중, 첫째아의 출산시 체중과 신생아 체중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나(각각 r=0.39, 0.30, 0.16, 0.44) 산모의 연령, 임신 기간, 임신 전 체중, 첫째아의 출산시 체중이 혼란변수로는 작용하지 않았다. 이산변수인 산모의 교육수준, 남편의 직업 유형, 의료보장의 종류, 신생아의 성별과 임신 간격과의 관계는 유의한 수준의 관련성이 없었고 (각각 p=0.59, 0.75, 0.75, 0.82) 따라서 이들 변수들이 혼란변수로는 작용하지 않았다. 출산시 신생아 체중을 종속변수로 하는 stepwise방식의 다중 회귀 분석 결과 유의한 회귀 계수를 가지는 독립변수는 첫째아의 출산시 체중, 임신 기간, 신생아의 성별, 임신전 체중의 4가지 변수였고, 이들 변수들이 가지는 설명력은 28.7%였다. 1,347명의 조사대상 신생아 중 저 체중아인 경우 27명으로 저 체중아 출산율은 2%였으며 임신 간격 별로는 7-12개월 군이 3.6%로 가장 높았고 13-18개월 군이 0.6%로 가장 낮았으나 임신 간격과 관련하여 일정한 증 감의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 PDF

계절건강-임신과 감염성 질병-2

  • 홍명호
    • 건강소식
    • /
    • 제31권9호통권346호
    • /
    • pp.14-17
    • /
    • 2007
  • 위생을 철저히 하고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임신 중 감염성 질환에 걸리지 않게 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다른 한 방법은 임신에 문제가 되는 감염에 폭로 되지 않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남성&여성 당뇨인, 그들만의 고민- 임신성 당뇨, 어떻게 관리할까?

  • 이정한
    • 월간당뇨
    • /
    • 통권189호
    • /
    • pp.26-28
    • /
    • 2005
  • 임신 시에는 태아에게 영양소인 당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해 주기 때문에 대체로 고혈당을 유지하는 경향으로 신체가 변화된다. 이러한 고혈당이 병적으로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하여 관리 및 치료를 필요로 하게 된다.

  • PDF

임신성 당뇨병에 대하여

  • 조용욱
    • 월간당뇨
    • /
    • 통권148호
    • /
    • pp.23-25
    • /
    • 2002
  • 임신성 당뇨병은 정도에 관계없이 임신 중에 처음 발생하였거나 진단된 다양한 정도의 당대사 장애를 말한다. 유병률은 인종이나 지역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국내의 경우는 대략 2-3$\%$정도로 보고되어 있고 최근에 들어서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 PDF

자연 생리주기에서 발생된 병합임신 1예 (A Case of Heterotopic Pregnancy in a Natural Cycle)

  • 배성준;김주선;김진학;윤연정;이신애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3권1호
    • /
    • pp.69-69
    • /
    • 2006
  • 병합임신은 두 개의 수정란이 자궁강 내와 자궁강 외에 동시에 착상되어 임신되는 것을 말한다. 그 예가 드물어 자연발생빈도는 약 30,000건의 임신 중 1명으로 나타나지만, 최근에는 불임환자의 체외 수정을 위한 배란 유도제의 사용이나 기타 생식 보조술의 발달, 골반내 염증, 난관수술로 인해 증가하고 있다. 병합임신은 조기 진단이 어려워 이에 따른 모성 사망률, 이환율이 높아지므로, 진단에 있어서 신중함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경찰병원에서 자연 생리주기에서 7주간의 무월경과 심한 하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29세 여환에서 발견된 좌측 난관임신과 자궁강 내 임신이 공존하는 병합임신을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여성의 모유수유 기간 및 임신 횟수와 치주염의 연관성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association between breastfeeding and pregnancy and periodontitis in Women)

  • 이세영;박정란;심선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49-157
    • /
    • 2018
  • 본 연구는 성인여성에서 임신관련 건강요인과 치주염과의 상관성을 연구하기 위해 2010-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치주염이었으며 독립변수는 임신관련 건강요인으로서 출산후 수유기간과 임신횟수를 분석하였으며, 사회경제학적변수 및 건강관련행위는 혼란변수로 보정하였다. 임신횟수와 치주염은 여러 혼란요인을 보정한 후에 상관성이 높았다[임신횟수 2-3번인 여성의 교차비: 2.66(95% 신뢰구간: 1.56-4.54); 임신횟수 4회 이상인 여성의 교차비: 3.02(95% 신뢰구간: 1.70-5.36)]. 결론적으로 치주염은 임신횟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향후 임산부 구강보건교육 및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시험관아기 시술 후 자궁천골인대에 발생한 일차성 복강임신 1예 (A Case of Primary Abdominal Pregnancy on Uterosacral Ligament Following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 원형재;윤태기;석현하;김유신;이경주;권태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4권2호
    • /
    • pp.133-137
    • /
    • 2007
  • 시험관아기 시술 후 발생한 복강임신은 난관이나 난소 이외에 생기는 매우 드문 자궁외 임신으로 다른 자궁외 임신에 비해 특이증상이 없기 때문에 진단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복강임신이 생기는 대표적인 부위는 간, 비장, 장간막, 횡격막 등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저자들은 시험관아기 시술 후 발생한 복강임신 중 자궁천골인대에 발생한 자궁의 임신을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