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신스트레스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7초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임신 및 출산, 양육 변인에 관한 연구: 2002년과 2007년 실태 비교를 중심으로 (Prevalence Study of Mothers' Perception on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Comparison Between Years 2002 and 2007)

  • 김양은;조복희;정민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8-8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36개월 미만 첫 자녀를 둔 어머니 270명(2002년 183명, 2007년 87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임신 및 출산, 양육지식과 양육스트레스 수준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1)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Inventory(KCDI)(Larsen & Juhasz, 1985), 2) 양육스트레스(김기현, 강희경, 1997)와 양육관련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초통계와 신뢰도 검사, t-test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2년에 비해 2007년에는 결혼 후 첫 자녀를 임신 하는 시기는 빨라졌고, 자연분만으로 출산을 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었다. 출산 시 남편이 분만실에서 같이 출산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아졌으며, 산후조리는 친정이나 시댁에 의존하던 비율이 줄어들고, 산후조리원이나 고용인을 두고 조리를 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었다. 반면, 남편의 육아에 대한 참여 수준은 2002년과 2007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어머니의 양육지식 수준은 2002년에 비해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에 대한 어머니의 스트레스는 2002년에 비해 더 높은 수준으로 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난 5년간 의 영아모의 임신 및 출산에 관한 여러 환경의 변화를 살펴본 것으로, 향후의 변화추이를 예상해 볼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여성 청소년 한부모의 스트레스 수준과 학업지속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이 미치는 영향: 여가 및 문화, 정보통신비 지원의 조절효과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Levels and the Sustainability of Education of Adolescent Female Single-parent: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Culture and Info-communication Cost)

  • 이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349-36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한부모의 스트레스 상황이 학업지속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가, 문화, 정보통신 영역에서의 한부모를 위한 사회적 지원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지 검증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8세 이상의 임신 중인자나 임신해 있으면서 출산 후 자녀를 양육할 계획을 가진 자, 자녀를 낳아 키우고 있는 청소년 한부모 248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4명 중 1명이 수혜자로, 청소년 한부모들의 스트레스로 인한 학업 중단 경향을 여가, 문화, 정보통신비 지원이 조절하여 학업지속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가, 문화, 정보통신비 지원이 스트레스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려는 청소년 한부모의 학업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청소년 한부모의 학업지속을 위해 여가와 문화, 정보통신 영역에서의 사회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결혼이주 임신여성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유형에 따른 모-태아애착과 모성정체성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Maternal Identity according to Type of Stress Coping Strategies on Immigration Pregnancy Women)

  • 나현;문소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32-240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stress coping types of married immigrant pregnant women and find out the differences in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maternal identity based on each types. Methods: 151 married immigrant women who visited 3 women's hospitals located in J-do for pre-pregnancy checkup were selected as study objects. Data were analyzed by dsecriptive statistics, cluster analysis, t-test, ANOVA, and $Scheff{\acute{e}}$ multiple comparison test. Results: Cluster analysis revealed 4 distinct stress coping styles; low stress-coping involvement social support-oriented type, high stress-coping involvement hopeful thinking type, low stress-coping involvement type, effective stress coping types. Women frequently using effective stress coping type among the four types reported higher maternal-fetal attachment. The group of active coping styles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maternal identity. Conclusion: Proper stress coping of married immigrant pregnant women regarding pregnancies proved to result in high levels of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maternal identity. Studies measuring the stress coping styles that affect pregnancies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임신 중 스트레스, 우울과 모-태아 애착 및 태아체중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to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 권미경;방경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76-283
    • /
    • 2011
  • Purpose: Prenatal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potential negative consequences for the mother and inf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gnant women's stress, and depression and their impact on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questionnaire and fetal sonogram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166 pregnant women. Results: Women who have a low educational level, poor health and are dissatisfied with their marriage showed low maternal-fetal attachment. Prenatal depress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length of pregnancy and level of stress. Even though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stress and fetal weight (r=-.15, p=.099) and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r=-.13, p=.095)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act of the prenatal psychological state of mothers can not be ignored as it relates to fetal health. Conclusion: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can be affected by maternal emotional state, including stress or de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imary care nurses in hospitals and public health centers should provide prenatal depression screening an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스트레스 취약성 및 스트레스 대처 모델을 적용한 임신 중 우울 관련요인 (Factors of Prenatal Depression by Stress-vulnerability and Stress-coping Models)

  • 김영란;정재원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8-47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related factors of prenatal depression by stress-vulnerability and stress-coping models for pregnant women.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ith a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A total of 107 pregnant women who visited a general hospital in a metropolitan city were recruited from August to October, 2013.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cluded the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I, and the instruments measuring Self-Esteem, Marital Satisfaction, Pregnancy Stress, Stressful Life Events, and Cop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of prenatal depression was $11.95{\pm}6.2$, then showing 19.6% with mild depression, 15.0% with moderate depression, and 0.9% with severe depression on BDI II scale. Prenatal depress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pregnancy stress (r=.55, p<.01), stressful life events (r=.26, p<.01)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 esteem (r=-.38, p<.01), marital satisfaction (r=-.40, p<.01), and coping (r=-.21, p<.05). Factors of pregnancy stress, self-esteem, stressful life events, and planned pregnancy explained 38% of the total variance of prenatal depress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that health providers need to assess prenatal depression and to control the influencing factors.

수의학강좌 I: 최근 젖소의 산욕기질병관리, 임신진단요령과 번식률제고 방안

  • 류일선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011-1025
    • /
    • 2010
  • 국내 젖소 우군 사육규모의 다두화, 고능력우의 증가에 따라 발정발견의 실패, 미약발정와 건유기 및 이행기에 영양관리, 건강관리, 생리적 또는 환경적인 스트레스의 증가에 따라 번식률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또한 우군 규모가 대규모화로 젖소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대부분이 분만을 중심으로 100일간에 집중되어 발생하고 있어, 우군 질병의 제어가 중요하다. 또한 분만 전 후의 산욕기에 대사성 질병의 증가에 따라 번식장애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예방관리가 중요하다 하겠다. 따라서 소에서 산욕기의 생리 및 질병예방프로그램, 소 임신 진단요령과 번식률 제고를 위한 발정과 배란의 control의 처치에 응용되고 있는 최근의 프로그램에 관한 응용의 실제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산후우울증의 심리사회적 위험요인 (Psychosocial Risk Fa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 박시성;한귀원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124-133
    • /
    • 1999
  • 연구목적 : 산후우울증은 여러 요인이 관여하여 발생하며, 이들 위험요인에는 다양한 심리사회적 요인이 포함된다. 이전의 여러 연구결과들을 통해 산후우울증의 위험요인이 알려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산후우울증을 대상으로 위험요인을 연구한 경우는 별로 없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산후우울증의 심리사회적 위험요인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 일신기독병원을 방문한 출산 후 약 6~8주에 있는 산모 1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산후우울증의 위험요인에 대하여 조사하고 산후우울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설문지는 이전 연구들을 통해 알려진 위험요인들을 참고하고 산모들의 스트레스와 관계되는 요인들을 추가하여 작성하였다. 산후 우울증을 평가하기 위해 EPDS(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를 번안해서 사용하였고, 산후우울의 정도는 측정된 EPDS 접수에 따라 판단하였다. 결과 : 총 대상 산모 119명 중 EPDS에 의해 산후우울증으로 진단될 수 있는 고위험군은 16명으로, 13.45%의 빈도를 보였다. 고위험군에서는 과거 우울증상을 경험한 경우와 결혼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경우가 저위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또 과거 우울증상을 경험하였던 군, 임신중 우울과 불안증상을 경험한 군, 임신 및 산욕기동안 스트레스 생활사를 경험하였다고 보고한 군, 결혼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군, 그리고 나이가 많을수록 EPDS 접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산모의 교육수준, 종교, 직업의 유무, 임신과 출산에 따른 직업중단 희망임신 여부 분만방법 수유방법, 유아의 입원여부, 그리고 기대했던 유아의 성별 및 실제 유아의 성별은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산후우울증은 산후에 비교적 높은 빈도로 발생 가능하며, 우울증의 과거력, 임신동안 우울과 불안증상의 경험, 스트레스 생활사, 결혼생활에 대한 낮은 만족도, 그리고 산모의 연령과 같은 요소들이 산후우울증의 위험요인이었다. 임신과 산욕기 동안 산모에 대하여 적절히 정신의학적으로 개입함으로서 조기에 산후우울증을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으며, 산후우울증으로 인하여 산모와 유아에게 미치는 다양한 손실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Maternal-Fetal attachment among Pregnant Women)

  • 이승아;이성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020-2028
    • /
    • 2015
  • 본 연구는 Mercer의 어머니되기 이론적 모델에서 제시한 태아애착행위의 영향 변수(임신스트레스, 자존감, 결혼적응도, 자아통제감, 산전우울)를 고려하여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산전검사를 위해 산부인과와 보건소에 방문한 임부 140명을 대상으로 2014년 8월 23일에서 11월 25일에 걸쳐 자가보고식 형태의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는 SPSS 2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아애착행위는 30세 이하 임부에서 31세 이상 임부보다 유의하게 높았고(t=2.79, p=.004), 초임부에서 경임부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3.27, p=.041). 태아애착행위는 임신스트레스(r=-0.22, p=.009)와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존감(r=0.45, p<.001), 결혼적응도(r=0.42, p<.001), 자아통제감(r=0.24, p=.005)과는 정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존감, 결혼적응도, 나이로 밝혀졌으며, 전체 모형의 26.1%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산전관리를 통해 임부의 자존감과 결혼적응도에 대한 이해 및 사정이 필요하고, 고령 임부의 태아애착행위 증진 중재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임신 여성의 산전우울 실태 및 영향요인 (Status of Antepartum Depress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Pregnant Women)

  • 이은주;박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897-390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 여성을 대상으로 산전우울의 발생 정도와 이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D광역시 소재 종합병원 및 산부인과 병원 외래를 방문하거나 원내 특강을 받는 160명의 임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우울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한국형 EPDS(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임신 여성의 우울점수는 평균 $7.80{\pm}4.86$점(0-30점)이었으며, 대상자의 56.3%가 정상(0-8점), 23.1%가 경계선(9-12점), 20.6%는 심각한 수준(13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여성의 산전우울 영향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임부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순이었으며, 이 변수들은 산전우울을 36.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전우울을 예방하기 위해 이러한 변수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