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신과 출산

Search Result 27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Influences of Quality and Supply of Infrastructures related with Pregnancy and Childbirth on intentions of childbirth and Settlement (지역내 임신·출산인프라 수준이 출산 및 거주지이전 의사에 미치는 효과)

  • Jehee Lee;Hee-Sun Kim;Eunju Choi;Jong-Keun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3
    • /
    • pp.153-158
    • /
    • 2023
  •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 between pregnancy-childbirth infrastructures and intention to childbirth and relocation. We conduct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infrastructure level over the people's intentions to have any additional pregnancy and to relocate to other city. The results have showed that the younger the age and the higher the income is, the stronger the intention to have an additional pregnancy becomes, and that of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infrastructure, only the level of pediatrics service would affect the intention to have another pregnancy. As for the intention to relocate or move to another location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such intention tends to decline where there are overall sufficient and good pregnancy and childbirth infrastructure in place.

Analysis of the Use of Ambulance Services Among Pregnant, Childbearing, and Postpartum Women Using Data from the Korea Health Panel (한국의료패널을 이용한 구급 이송 서비스 이용 특성 분석: 임신, 출산, 산후기 여성을 중심으로)

  • Kang, Kyunghee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3 no.6
    • /
    • pp.152-158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socio-econom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use of ambulance services among pregnant, childbearing, and postpartum women based on data from the 2008-2016 Korea Health Panel. The analysis revealed that among the pregnant, childbearing, and postpartum women, the proportion using all ambulance services was 18.9% whereas 12.0% used private and 119 ambulances. Moreover, among those using ambulance services, delivery was the most common reason (38.7%) followed by complications of labor and delivery (20.0%) and pregnancy with abortive outcome (17.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users and non-users of ambulance services in terms of the average annual household income, emergency arrival time, and delayed arrival at the emergency room. As childbirth becomes more complicated due to low fertility and elderly mothers, the expansion and improvement of ambulance services as a social safety net for pregnant, childbearing, and postpartum women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Gender Preference and Sex Imbalance in the Population and Their Implication in Korea (한국의 성선호와 성비불균형 분석)

  • 박재빈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7 no.1
    • /
    • pp.87-114
    • /
    • 1994
  • 1950년대부터 많은 개발도상국가들은 가족계획을 위주로 하는 인구제어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특히 가부장제도를 중심으로하는 동아시아 국가들에 있어서는 남아선호관이 출산력 저하나 피임 실천율이 증대에 지대한 유해요인으로 일관해 왔다. Sheps(1963)는 실증적으로 2명의 아들을 갖기 위해서는 약 3.9명 정도의 자녀를 두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한바 있다. 이와 같은 남아선호관의 여파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홍콩은 1980년대 증반에 이미 1.6명 수준의 저출산율을 이룩하였으며, 1970년대에 인구억제 정책을 시작한 중국도 2명 수준으로 저하되어 가족계획사업의 성공사례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국가들의 출산율은 지난 20-30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너무나 급진적으로 감소된 반면에 남아선호관의 상존으로 인한 성비(여자 100명당 남자수)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였다. 한 예로 한국의 경우 1960년도만 해도 6명 이상의 자녀를 출산하는 과정에서 1-2명의 아들을 둘 수 있는 확률은 매우 높았으나, 최근에는 출산율이 2명 이하로 저하되어 아들을 둘 수 있는 확률은 과거보다 3-4배 어려워졌기 때문에 인위적인 방법으로 아들을 두는 부모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1970년대 중반기부터 강력히 추진되어온 소위 "한자녀 갖기 운동"으로 인하여 여아출산인 경우 영아살해 또는 출생의 미신고등 많은 사회적 물의를 야기하였고, 최근에는 초음파검사를통한 선택적 인공임신중절(태아가 여아인 경우)으 경우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성비는 출산율이 급격히 감소된 1980년대 증반기부터 급격히 증가되었다. 즉 인구전체에 대한 성비는 1980년의 103.9명에서 1985년에 110명으로 증가하였고ㅡ 1990년 116.9명으로 증가되었다. 성비는 자녀의 수가 적을수록 높아지는 추세이다. 1991년 조사에서 출산을 종료한 부인의 경우 1자녀의 성비는 무려 206명이나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자녀를 원하는 부인이 아들을 둔 경우 1자녀에서 조산을 결심하기 때문인 것이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성비는 무엇보다도 자녀의 출산순위와 밀접하다. 1991년 출생신고자료의 경우 첫아이의 출생시 성비는 106.1명이고, 둘째아이가 112.8명이나, 셋째아이는 184.7명으로 크게 증가하고 넷째 이상의 경우는 212.3명이나 된다. 동일한 출산순위라도 이미 두고 있는 자녀의 성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1991년도 3번째 출산의 경우 딸만 2명을 두고 있는 자녀의 성에 아들만 2명 또는 아들과 딸을 각각 1명씩 두고 있는 경우에 비해 높은 성비를 보이고 있다. 자녀를 출산하는데 있어서 처음에는 아들ㅇ르 기다리지만 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적극적으로 아들을 낳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즉 임신한 자녀의 성이 딸로 판명되면 인공임신중절을 통해 임신을 종결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미 출생한 자녀의 성구성은 임신결과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즉 임신이 인공임신중절로 귀착되는 확률은 부모가 이미 아들을 두고 있는 경우에 일관성 있게 증가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남아선호관은 임신결과를 결정할뿐 아니라 선택절 인공임신중절에 의한 성비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주요 변수로써 할거되었다. 특히 피임실천이 보편화되고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의 이용이 손쉬운 현대사회에 있어서는 남아선호관이 출산력 저하에 저해요인으로서가 아니라, 인위적이던 자연적이던 간에 아들만 두면 단산하는 현행의 출산풍토하에서는 남아선호관이 오히려 출산력저하에 결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하겠다. 태아의 성 판별을 통한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의 건수는 1990년 한해에 약 20,000건 정도가 되고, 1986-1990년 사이에 총 80,000건으로 추정된다. 이 수치는 출생한 여아수의 5%에 해당한다. 현재 출생시 성비의 불균형은 연간 총출생수의 10% 미만에 불과한 3번째 이상의 출산에서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인구학적인 측면에서는 큰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앞으로 출산율의 감소와 더불어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이 년간 출생수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둘째, 첫째출산순위로 확산된다면 성비의 불균형은 급진적으로 가속화되어 전통적 결혼관습의 재연등 인간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새로운 차원에서의 사회인구학적인 문제가 야기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성비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우리 나라으 전통적인 의식구조인 남아선호관의 상종과 최신의 의료기술에 의한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에 기인된 것이기 때문에 이를 시정하기 위한 제반 사회제도적 극복정책은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여성 건강 톡톡 - 임신과 출산 신생아에 대한 오해와 진실

  • Son, Ji-Hye
    • 건강소식
    • /
    • v.38 no.8
    • /
    • pp.32-33
    • /
    • 2014
  • 첫아이를 임신하고 출산하고, 태어난 아이와 함께 보내는 첫 1년은 하루가 멀다 하고 궁금증과 고민거리가 생겨난다. 아프리카의 속담 중에는 "아이 하나를 키우기 위해서는 온 부족인의 손길이 필요하다."는 말이 있다고 한다. 그처럼 많은 도움과 경험, 오래된 지혜를 필요로 한다는 것. 지금까지 어렴풋이 짐작해왔지만 정확히는 알지 못했던 것들에 대해 하나하나 파헤쳐보자.

  • PDF

감염여성 혹은 부부의 임신 · 출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 Korea Alliance to Defeat AIDS
    • RED RIBBON
    • /
    • s.67
    • /
    • pp.34-35
    • /
    • 2005
  • 레드리본은 에이즈에 대한 일반인들의 의식을 알아보고 에이즈 인식 전환의 실마리를 찾고자 2005년 한 해 동안 하나의 주제에 대해 시민 5인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이번 호는 그 마지막으로 윤리적 문제와 감염인의 인권 문제로 양분되는 감염인의 임신과 출산에 대해 알아보았다.

  • PDF

3.0시대 건강수명 120세를 위하여 2 - 늘어가는 난임 소중한 아이와 만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Lee, Jin-Han
    • 건강소식
    • /
    • v.38 no.10
    • /
    • pp.10-13
    • /
    • 2014
  • 10월 10일은 임산부의 날이다. 저출산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출산을 장려하고 임신부를 배려하기 위하여 2005년 정부가 제정했다. 풍요와 수확을 상징하는 10월과 임신기간 10개월을 의미한다. 임산부의 날을 맞이해 임신이 되지 않아 고민이 많은 난임 부부들이 궁금해하는 사항을 알아봤다.

  • PDF

A Study of the Effect of the Socioeconomic Status of Couple on the Induced Abortion in Korea (부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인공임신중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일 연구)

  • Lee, Sung-Yong;Lee, Jung-Wha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4 no.1
    • /
    • pp.1-25
    • /
    • 2011
  • There are two main purposes in this study. First, we compare the effects of wives' characteristics with the effects of the husbands' characteristics on the induced abortion. Second, we analyze whether the determinants of the induced abortion have changed according to parity and conception period. The main findings are follows. First, both wives' and husbands' socioeconomic characters have insignificant effects on the induced abortion at parity 0, in the 1997 and 2000 Korean Fertility Survey data. Second, during the periods of the lowest-low fertility, after 2000 in Korea, wives' employments have positive effects at parity 0 and 1, while husbands' educational levels have negative effects at parity 1 on the induced abortion.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having children had been the universal social phenomenon before 2000 in Korea. however, after 2000, reproductions have become the women's choice, lather than the duty of married women. Women must weight the balance between the benefits and the costs of children so that women's fertility behaviors become a rational choice. Women's employm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se rational calculations. Second, both Western individualism and the traditional Korean familism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fertility behavior and the induced abortions in Korea. This rejects the diffusion theory, which tells that the traditional familism must be replaced by the Western individualism in order to decline the fertility rate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Effect of Interpregnancy Interval on Birth Weight (임신간격이 신생아체중에 미치는 영향)

  • Lee, Kwang-Yeul;SaKong, Jun;Kim, Seok-Beom;Kim, Chang-Yoon;Kang, Pock-Soo;Chung, Jong-Hak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6 no.2
    • /
    • pp.173-181
    • /
    • 1989
  • The effect of interpregnancy interval on birthweight of the subsequent child was investigated for the 1,347 womens of 25 to 40 years old age who visited OBGY and Pediatric department of the general hospital in Taegu city. Questions in designed questionnaire were asked by student interviewers who were trained in nursing school. Mean birth weight by interpregnancy intervals were compared by the intervals of 6 months. Mean birth weight increased from 3,250 grams for intervals of 6 months to 3,357 grams for intervals of 25-30 months, h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0.47). Correlations between the continuous variables which were suspected as con founders and interpregnancy interval and birth weight were investigate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age and interpregnancy interval was 0.39, between gestational period and birth weight 0.30 and between prepregnant weight and birth weight 0.16 and between birth weight of first baby and birth weight(of second baby) 0.44. But maternal age, gestational period and prepregnant weight were not considered as confounder, because they were not correlated simultaneously with birth interval and birth weight. Associations between the discrete variables which were suspected as confounders, and interpregnancy interval were investigated by Chi-square test. Associations between interpregnancy interval and educational level of mothers, types of husband's occupation, types of medical security, sex were not significant(P-values were 0.59, 0.75, 0.75, 0.82 respectively), so we did not considered these variables as confounding variable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birth weight, significant variables were birth weight of first baby, gestational period, sex of neonate and prepregnancy body weight of mother. Of the 1,347 births, the rate of low birth weight was 2% (27 birth). The rate for interpregnancy interval 7-12 months was highest as 3.6% and that for 13-18 months was lowest as 0.6%, but there was no regular tendency related with interpregnancy interv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