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 연구

검색결과 13,335건 처리시간 0.042초

임상연구환자를 돌보는 병동간호사와 임상연구간호사의 역할기대와 협력 인식 (Role Expectations and Cooperation of Staff Nurses and Clinical Research Nurses who take care of Clinical Research Patientser)

  • 이혜영;김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20-430
    • /
    • 2021
  • 입원을 경험하는 임상연구 환자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이들을 돌보는 간호사들의 업무가 증가하고 있으나, 모호한 역할 경계로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임상연구업무 중 병동간호사의 참여가 가능한 직접실무 제공업무, 교육 및 상담업무, 옹호 및 조정업무에 대한 역할기대와 병동에서의 협력인식 및 협력 장애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병동 간호사 66명, 임상연구간호사 65명이었다. 자료수집은 SAS 9.3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wo-sample t-test, 𝑥2 test 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연구 간호업무의 직접실무 제공영역, 교육 및 상담영역, 옹호 및 조정영역을 포함한 역할기대 점수는 병동간호사는 4.56±0.41점, 임상연구간호사는 3.83±0.60점으로 서로에 대한 역할기대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병동간호사의 역할기대가 유의하게 (p<.001) 임상연구간호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두 군 간의 협력 인식은 5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협력장애요인으로는 업무과중과 임상연구에 대한 인식부재가 높은 순위로 나타났다. 높은 역할기대는 역할 갈등의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새로운 임상연구 간호업무에서의 병동간호사와 임상연구간호사의 역할 정립을 위하여 절차 마련과 효과적인 실무 관행의 정착, 공식적 시스템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군 간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서로를 동반자로 생각하고 상대에 대한 전문성을 인정할 수 있는 상호 신뢰하고 협력하는 문화가 형성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위생(학)과 재학생의 영성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pirituality on Clinical Practic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오나래;김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463-471
    • /
    • 2019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영성을 알아보고 영성이 임상실습 시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영성, 임상실습스트레스, 일반적 특성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조사는 K지역에 위치한 치위생과 재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2019년 3월부터 7월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성과 임상실습스트레스의 차이는 t-test,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영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치위생과 재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영성, 전공만족도, 학과성적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과에 지원한 동기가 성적일 경우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치위생과 재학생의 영성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비하여 구체적 비교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치위생과재학생에 대한 영성과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이에 대처할 전략적 모색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for Nursing Students)

  • 김금이;이보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885-896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후 임상실습 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A대 간호학과 학생으로 임상실습을 경험한 3, 4학년 학생 전수인 118명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ver. 21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36점, 임상수행능력은 5점 만점에 3.42점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만족도의 하위영역은 교과만족이 가장 높고, 임상수행능력의 하위영역은 교육/협력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는 건강상태(F=3.896, p=.023), 대학생활 만족도(F=8.164, p<.001), 간호학 전공만족도(F=4.652, p=.011), 임상실습 여건만족도(F=11.889, p<.001), 임상실습량에 대한 만족도(F=13.504,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임상수행능력은 종교(t=6.682 p=.011), 대학생활 만족도(F=3.440, p=.03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r=.297, p=.001)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대학생의 노인간호학 실습 후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 만족도 및 간호이미지와의 융복합적 관련성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fter Gerontological Nursing Practic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Nursing Imag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문옥;차주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247-256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간호학 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만족도 및 간호이미지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간호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간호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2016년 9월1일부터 9월2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Win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3.13, 임상실습만족도는 3.14, 간호이미지는 3.32이었으며, 상관분석결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간호이미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이미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간호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임상실습만족도(${\beta}=.602$)로 설명력은 40%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간호이미지, 노인간호학 실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간호교육 및 실습전략이 필요하다.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와 Glasgow coma scale의 임상적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Clinical usefulness of Critical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CPSCS) and Glasgow coma scale(GCS) for Neurologic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 김희정;김지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3-344
    • /
    • 2012
  • 본 연구는 중증도가 높은 신경계중환자를 대상으로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와 Glasgow coma scale 적용의 유용성을 검정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임상 관련 특성에 따른 사망률 확인,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CPSCS)의 일반적 특성, 임상관련 특성에 따른 중증도 차이, GCS의 일반적 특성과 임상관련 특성에 따른 중증도 차이를 파악하고, 임상적 유용성을 검정하고자 한다.

  • PDF

의료기관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을 매개역할 중심으로 (Needs for clinical dietitian in hospital settings: Importance of doctor's awareness regarding clinical nutrition service as mediating variable)

  • 엄미향;박유경;송윤미;이송미;류은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5호
    • /
    • pp.519-529
    • /
    • 2017
  •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대한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부트스트래핑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이 연구의 결과물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5가지 가설을 다음과 같이 세웠다. 가설 1. '의사가 인식하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실행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 2. 의사가 인식하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 3.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 4. '임상영양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 실행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5. '임상영양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 이다. 가설검증 결과와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설 1~5까지의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1)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완전 매개로 작용한 경우는 임상영양서비스 실행 횟수에 상관없이 의사가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를 인식해야만 임상영양사 요구도를 인식한다는 것이며, 2)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불완전 매개로 작용한 경우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 사이에서 프로세스 역할을 수행하지만,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임상영양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의사들의 긍정적인 인식은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을 높이지만, 단순히 임상영양서비스의 양적 횟수 즉 임상영양서비스의 실행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아니라 환자 치료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질적 효과 즉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의사들에게서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러한 의료진의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임상영양서비스를 수행하는 임상영양사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영향을 준다고 여겨진다. 더불어 영양학 분야의 유사연구에서 사회과학 분야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명확한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본 연구가 발판이 되어 질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on Job Stress and Burnout)

  • 강정숙;임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263-273
    • /
    • 2015
  • 임상 간호사의 경우 교대근무와 예측하기 어려운 환자 상태의 변화와 같은 간호업무 특성으로 인해 높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경험하고 이는 간호사의 이직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왔다. 회복탄력성은 이러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감소시키고 업무 만족과 적응을 높일 것으로 기대되어 임상간호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를 대상으로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일개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로 자료수집은 해당 병원 간호부에 연구목적과 필요성을 설명한 후 협조를 받아 연구자가 직접 설문지를 배포한 후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회복탄력성이 임상 간호사의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파악되었다. 반면 회복탄력성이 임상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파악되지 않았다. 임상 간호사의 소진이 적절히 관리되지 않으면 고객이 지각하는 간호서비스의 만족도가 저하되고, 그로 인하여 병원조직의 경쟁력과 효율성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임상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통해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간호사의 업무 적응을 높이고 이직을 줄이는 적극적인 관리방안도 모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개발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평가 연구와 이를 병원 조직 내 제도로 정착시키기 위한 간호 관리자의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도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임상수행능력이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and Clinical Competence 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 이주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417-425
    • /
    • 2022
  • 이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임상수행능력과 임상실습만족도에 대한 관계를 파악하고, 임상실습만족도에 셀프리더십과 임상수행능력이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5월1일부터 5월 16일까지 조사하여, 186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WIN 28.0통해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셀프리더십의 평균은 3.44점이고, 임상수행능력의 평균은 3.82점, 임상실습만족도의 평균은 3.69점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만족도는 셀프리더십(r=.221, p=.002)과 임상수행능력(r=.262,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셀프리더십과 임상수행능력(r=.050, p=.494)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셀프리더십(β=.251, p<.001)과 임상수행능력(β=.208, p=.003)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0.4%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셀프리더십과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첨단재생바이오법의 제정 의의와 제한점 (Study on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Enactment of the Advanced Regenerative Bio Act)

  • 손성구;권경희
    • 의료법학
    • /
    • 제22권4호
    • /
    • pp.159-184
    • /
    • 2021
  • 첨단재생바이오법의 제정 의의는 본질적으로 '이식'이라는 의료행위인 재생의료를 약사법 규제에서 벗어나 의료기술적 접근으로 환자치료기회를 확대하는 데 있다. 그러나, 법이 시행된 지 1년여가 지난 상황에서 식약처가 승인하는 고위험연구는 1건도 승인되지 않고 있는 등 임상연구가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환자치료기회 확대를 위한 법률 취지에도 불구하고 법률적 근거가 미흡함에도 임상연구 승인을 위한 자료요건을 의약품 개발과 연결하여 정하고 있어 많은 연구자들이 자료요건을 맞추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법 제정 이전 약사법 체계 내의 세포치료제 임상연구를 위한 제출자료는 품질 및 비임상시험 자료가 상당히 면제되었지만, 첨단재생바이오법이 시행되면서 임상연구 계획 승인신청 시 품질 및 비임상시험자료를 의약품에 준해 요구하고 있다. 이를 바로잡으려면 치료기회 확대를 위한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의 정체성을 고려할 때 의약품 개발과 연결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음을 인식하고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의 정체성을 지키고, 한편으로 품목허가 시 임상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활용요건을 구체화하여 시장의 힘으로, 임상연구자의 자발적인 동기로 임상연구 승인을 위한 기본요건보다 필요한 자료를 스스로 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임상연구 동의서 교육 시행의 효용성 검증 (Valid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r Obtaining Consent in Clinical Study)

  • 김지은;이미성;김설화;양지혜;고승아;이초롱;양수연;신혜주;김보아;정종우
    • 대한기관윤리심의기구협의회지
    • /
    • 제5권2호
    • /
    • pp.51-58
    • /
    • 2023
  • Purpose: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obtaining consent education on errors in the consent process and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for researchers. Methods: From February 2019 to February 2022, a 30-minute, 1:1 face-to-face consent education developed using the ADDIE model was conducted on 78 nurses as principal investigators. An informed consent audit tool, which includes 6 items developed by Asan Medical Center Human Research Protection Center, was used to analyze errors in obtaining informed consent proces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ver. 25.0, and the Mann-Whitney U-test and χ2-test were utiliz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error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ult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4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6 in the control group,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Both 2 group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documentation errors, followed by format errors, errors related to a suitability of investigator, participant, or participant's legally acceptable representative, witness and confidentiality issues. After edu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format errors (p=0.002) and documentation errors (p<0.001)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without any errors in all items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35.7%)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5.6%),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Conclusion: The obtaining consent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informed consent error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suggesting the need for its expansion and accessibility, as well as the necessity for all researchers conducting clinical studies to receive the obtaining consent education.

  • PDF